Public Broadcasting or Publicity Broadcasting? An Analysis of KBS News Coverage of the Korean Housing Market

KBS의 공보 방송 모형적 성격에 관한 연구 부동산 뉴스 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 Kim, Soo Young (Institute of Communication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Sung Gwa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수영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
  • 박승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Received : 2016.11.29
  • Accepted : 2017.01.18
  • Published : 2017.02.15

Abstract

What is the basic nature of Korean public broadcasting system? This research explores this question through an analysis of KBS news coverage of the Korean housing market. This study spotlights the internal news production processes. In detail, this study investigates newsroom routines, such as news selection, news gatherings, and news production.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KBS can be classified as "Publicity Model" following reasons. First, KBS news selection process stresses higher viewer ratings for competitive market share and belittles public interests of serving the citizen. This caused KBS news to provide fragmented and truncated news information and to constrict high quality news of significant information for citizen. Second, KBS newsroom operates under the minimum staff resource to produce news programmes and has developed official source dependency as a routine for news gathering. Third, under the limits of report format, KBS news worked as a neutral deliverer of government message and failed to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and diverse viewpoints.

본 논문은 KBS의 언론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부동산 뉴스 생산 과정을 분석했다. 부동산 분야는 국민의 기본권인 동시에 경제적 사회적 이해가 충돌하는 공적 의제라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택했다. 분석 결과 첫째, KBS 뉴스룸은 뉴스 선별 과정에서 시민에 대한 봉사보다 시청률을 강조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는 단편적이고 피상적인 뉴스를 제공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KBS 뉴스룸은 정부 출입처의 보도 자료에 의존하는 취재 관행 속에서 정부 발표를 부각시키고 정부의 입장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KBS 뉴스는 1분 30초 이하의 도식적 뉴스 형식의 한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대한 감시와 다양한 여론 전달이라는 공익적 역할은 경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KBS는 공영 방송을 표방하고 있지만 오랜 역사에 걸쳐 정착되어온 내부 관행을 통해 닫힌 공보 뉴스를 생산하고 있으며 국민 전체를 대표하고, 공적 의제에 대한 토론장의 제공과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기 보다는 정부를 홍보하고 특권층을 옹호하는 '공보 방송 모형'에 부합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인 (2003). <한국 방송의 정체성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 강동순 (2006). . 서울: 서교출판.
  3. 강상현 (2012). 공영방송의 미래와 비전. 최영묵 외(편), <공영방송의 이해> (407-438쪽). 서울: 한울.
  4. 강형철 (2004). <공영 방송론: 한국의 사회 변동과 공영 방송>. 서울: 나남.
  5. 국토연구원 (2014). 주거 실태 조사. URL: http://www.hnuri.go.kr/main.do
  6. 금융투자협회 (2015, 3월). 주요국가계 금융 자산 비교. URL: http://www.kofia.or.kr/index.do.
  7. 김수영.박승관 (2016). KBS와 BBC의 경제 뉴스성격 비교 연구: 공보 방송 모형과 공영 방송 모형. <미디어경제와 문화>, 14권 1호, 39-84.
  8. 김영석 (1993). 뉴스 제작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4호, 69-95.
  9. 김영주 (2013). 지상파 TV 뉴스: 현황, 문제점, 전망과 과제. <한국의 뉴스 미디어 2013> (31-65쪽). 서울: 한국 언론진흥재단.
  10. 나미수 (2012). 공영방송의 보도시사 프로그램. 최영묵 외(편), <공영방송의 이해> (165-207쪽). 서울: 한울.
  11. 박승관.장경섭 (2001). <언론권력과 의제동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2. 박재영 외(2016). <저널리즘의 지형: 한국의 기자와 뉴스>. 서울: 이채.
  13. 반현.홍원식 (2009). 국내 지상파 방송 뉴스 포맷 연구. <방송문화연구>, 21권 1호, 9-38.
  14. 백선기.최경진.윤호진(2011). <방송뉴스의 국제 비교 연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15. 설진아.남궁강 (2007). <6 자회담>에 관한 텔레비전 외교 뉴스의 정보원 분석. <한국방송학보>, 21권 4호, 69-100.
  16. 유재천.이민웅 (1994). <정부와 언론>. 서울: 나남.
  17. 이민웅 (1996). <한국 TV 저널리즘의 이해>. 서울: 나남.
  18. 이민웅.윤영철.최영재.김경모.윤태진.이준웅 (2006). <방송 저널리즘과 공정성 위기>. 서울: 지식산업사.
  19. 이재경 (2003). <한국 저널리즘 관행 연구>. 서울: 나남.
  20. 이재경 (2004, 9월). <한국 TV 뉴스 양식과 취재 시스템: 그 특성과 한계>. 한국 언론학회-KBS 공동 심포지움.
  21. 이준구 (2009). <쿠오바디스 한국 경제: 이념이 아닌 합리성의경제를 향하여>. 경기 파주: 푸른숲.
  22. 이준웅.황유리 (2004). 한국형 방송 뉴스 도식의 발견: 뉴스의내용적이며 구성적 특성과 뉴스 제작시스템. <한국방송학보>, 18권 3호, 232-292.
  23. 이춘호 (2008). 정부 부처의 엠바고 남발과 대응. <관훈저널>, 9109호, 25-33.
  24. 정수영.구지혜 (2010). 지상파 TV 뉴스의 다양성및 중복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4권 5호, 415-457.
  25. 정필모 (2012). <사유화된 공론장을 복원하려면>. 한국언론학회 3차 기획 세미나 자료집 (220-224쪽).
  26. 제정임 (2004). 부동산 투기 방조 조장하는 언론. <신문과 방송>, 12월호, 34-38.
  27. 조항제 (2012). 한국 공영방송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정체성. 최영묵 외 (편), <공영방송의 이해> (79-118쪽). 서울: 한울.
  28. 조항제 (2014). <한국 공영 방송의 정체성>. 서울: 컬처룩.
  29. 채명진.선혜진 (2006). 1960년대 한국의 PR 상황 및 사회적 수용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35호, 292-328.
  30. 최경영 (2010). <9시의거짓말>. 서울: 시사IN북.
  31. 최영묵 (2010). <한국 방송 정책론: 역사와 전망>. 서울: 논형.
  32. 최영묵 (2012). 방송 미디어 공공성과 거버넌스. 미디어 공공성포럼 (편), <한국사회와 미디어 공공성: 쟁점과 전망> (139-166쪽). 서울: 한울.
  33. 최영재 (2005). 경제정책을 '사건'으로 취급 가격 폭등에 일조: 부동산 보도의 정치경제학. <신문과방송>, 10월호, 108-11.
  34. 최영재.남재일 (2013). 텔레비전 뉴스 포맷의 국가간 비교연구. <언론과학연구>, 13권 3호, 661-692.
  35. 최이숙 (2011, 8월). .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한국의 텔레비전 방송 50년: 과거, 현재, 미래'.
  36. 최지황 (2013). <부동산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10.29/ 8.31/11.3 /8.29 대책에 따른 주택 매매가격 변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KBS <9시 뉴스> 홈페이지, URL: http://news.kbs.co.kr/vod/program.do?bcd=0001#2016.07.12
  38. Babbie, E. R. (2013).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3th ed.). Belmont, CA: Cengage Learning.
  39. Bennett, W. L. (1990). Toward a theory of press‐state relation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mmunication, 40(2), 103-127.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0.tb02265.x
  40. Blumler, J. G. & Gurevitch, M. (1995). The crisis of public communication. London, UK: Routledge.
  41. Blumler, J. G., & Hoffmann‐Riem, W. (1992). New roles for public television in Western Europe: Challenges and prospects. Journal of Communication, 42(1), 20-35.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2.tb00766.x
  42. Cobb, R. W. (1983). Participation in American politics: The dynamics of agenda-building.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3. Cooks, L. M., & Hale, C. L. (1992). A feminist approach to the empowerment of women mediators. Discourse & Society, 3(3), 277-300. https://doi.org/10.1177/0957926592003003002
  44. Curran, J. (2002). Media and power. New York, NY: Routledge.
  45. Curran, J. (2011). Media and democracy. New York, NY: Routledge.
  46. Entman, R. M. (2003). Cascading activation: Contesting the White House's frame after 9/11. Political communication, 20(4), 415-432. https://doi.org/10.1080/10584600390244176
  47. Entman, R. M., & Benjamin, I. (1994). The news before the storm: The Iraq war debateand the limits to media independence. In W. L. Bennett & D. L. Paletz (Eds.), Taken by storm: The media, public opinion, and US foreign policy (pp. 82-104).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8. Freeman, L. A. (2000). Closing the shop: Information cartels and Japan's mass media.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9. Gans, H. (1979). Deciding what's news: A study of CBS Evening News, NBC Nightly News, Newsweek, and Time.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50. Gavin, N. T. (Ed.) (1998). The economy, media and public knowledge. New York, NY: Leicester University Press
  51. Hall, S., Critcher, C., Jefferson, T., Clarke, J., & Roberts, B. (1978). The social production of news. In Policing the crisis: Mugging, the state, and law and order (pp. 53-77). Hampshire, UK: Palgrave Macmillan.
  52. Hallin, D. C. (1994). We keep America on top of the world: Television journalism and the public sphere. New York, NY: Routledge.
  53. Hallin, D. C., & Mancini, P. (2004). Comparing media systems: Three models of media and politic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Harrison, J. (2000). Terrestrial TV News in Britain: The culture of production. Manchester, UK: Manchester University Press.
  55. Kellner, D. (1990). Television and the crisis of democracy. Boulder, CO: Westview Press.
  56. Kinder, D. R., Adams, G. S., & Gronke, P.W. (1989). Economics and politics in the 1984 American presidential election.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3(2), 491-515. https://doi.org/10.2307/2111157
  57. Kovach, B., & Rosenstiel, T. (2007). The elements of journalism: What newspeople should know and the public should expect (1st rev. ed.). New York, NY: Three Rivers Press.
  58. Krippendorff, K. (2012).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Thousand Oaks, CA: Sage.
  59. Lippmann, W, (1922). Public Opinion. New York: Harcourt, Brace and Company.
  60. Machin, D., & Niblock, S. (2006). News production: Theory and practice. London, UK: Routledge.
  61. Mason, J. (2002). Qualitative researching. Thousand Oaks, CA: Sage.
  62. McNair, B. (1999). An Introduction to Political Communication. New York, NY: Routledge.
  63. McQuail, D. (1992). Media performance.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olitical Communication, 1-9.
  64. McQuail, D. (2003). Public service broadcasting: Both free and accountable. Javnost-The Public, 10(3), 13-28. https://doi.org/10.1080/13183222.2003.11008832
  65. Mediadem (2012). Media freedom and independence in 14 European countries: A comparative perspective. Retrieved from http://www.mediadem.eliamep.gr/wp-content/uploads/2012/09/D3.1.pdf
  66. Negrine, R. (1989). Politics and the mass media in Britain. London, UK: Routledge.
  67. Pan, Z. & Koisicki, G. (1993). Frame analysis: An approach to news discourse. Political Communication, 10(1), 55-75. https://doi.org/10.1080/10584609.1993.9962963
  68. Pfetsch, B. (1998). Government news management. In D. Graber, D. McQuail, & P. Norris (Eds.), The Politics of News: The news of politics. Washington, DC: CQ Press.
  69. Pharr, S. J., & Krauss, E. S. (1996). Media and politics in Japan. Honolulu, HI: University Hawaii Press.
  70. Schudson, M. (1989). The sociology of news production. Media, culture and society, 11(3), 263-282. https://doi.org/10.1177/016344389011003002
  71. Seidman, I. (2012).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72. Shoemaker, P. J., & Reese, S. D. (1996). Mediating the message. New York, NY: Longman White Plains.
  73. Sigal, L. (1986). Who? Sources Make the News. In R. K. Manoff, & M. Schudson (Eds.), Reading the news: A pantheon guide to popular culture. New York, NY: Pantheon Books.
  74. Van Dijk, T. A. (1988). News as discours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75. Yorke, I. (2013). Television news. Burlington, MA: Focal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