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Study on the Media Experience of Village Community Media Producers Focusing on the Production, Tasks and Policy Implications of Community Media in Jeju

마을공동체미디어 생산자의 미디어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주지역 공동체미디어의 생산과 과제,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 Jung, Yong Bok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Hanyang University)
  • 정용복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6.11.29
  • Accepted : 2017.01.23
  • Published : 2017.02.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 community media in Jeju by looking at the value that it's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reat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village community media, the specific value reflected in this process as well as how to activate and operate it sustainab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2 media participants in Jeju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we were able to see that the migrants who are not the indigenous became the center of village community media creation in Jeju and they felt very personal 'fun', 'enthusiasm' and 'satisfaction'. It was also completely open to access and participate in village community media and its contents were filled with stories of everyday life of village residents and hidden stories of old people in the village that were not recorded.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village community media was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it reflected well the opinions of individual media participants even if it had a joint meeting.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ues applied to the production process by village community media participants, they regarded the connection of communication b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restoration of communities through activation of communication in functionalism as an important valu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llenges and development plan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community media in Jeju, it was requir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village residents, ensuring space for village community media, providing insufficient broadcasting equipment, and the budget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etc. It was once again confirmed that the provision of a support system for the stable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is an urgent task for sustainable village community media.

본 연구는 제주지역 마을공동체미디어 참여자들이 생산과정에서 경험하는 가치를 조망함으로써 마을공동체미디어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마을공동체미디어 참여자 12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생성과 생산과정, 이 과정 속에 투영되는 특정한 가치, 이들의 역할을 보다 활성화시키고,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발전방안에 대해 주목했다. 분석 결과, 첫째로 제주지역 마을공동체미디어 생성에는 원주민이 아닌 이주민이 중심이 됐고, 지극히 개인적인 '재미'와 '열정', '보람' 등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을공동체미디어에 접근하고 참여하는 것에 대해 완전한 개방체로서 존재하고 있었으며, 미디어 콘텐츠는 마을주민들의 일상적인 삶의 이야기와 기록으로 남겨지지 않은 마을 어르신들의 숨은 이야기들로 채워지고 있었다.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생산과정의 특징으로는 수평적 소통이 이뤄지며, 공동회의라는 형식을 거치지만 미디어 참여자 개인의 의견을 전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둘째, 마을공동체미디어 참여자들이 생산과정에 적용하는 가치들을 살펴본 결과, 자발적인 참여에 따른 '소통의 연결고리'와 '소통의 확산체'로서 기능주의적 면에서 소통의 활성화를 통한 마을공동체의 복원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주지역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과제와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본 결과, 마을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마을공동체미디어 공간 확보, 방송장비 부족과 자치단체의 예산 지원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미디어를 위해 자치단체의 안정적 활동을 위한 지원시스템 마련은 시급한 과제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숙.소유석 (2016). 공동체 라디오 동작FM의 다중참여와 실천사례 연구: 네그리와 하트, 비르노의 다중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권 5호, 292-318.
  2. 강진숙.이은비 (2013). 공동체라디오 DJ의 미메시스적 실천과 유희성 연구: 창신동 라디오방송국 <덤>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5권 2호, 37-66.
  3. 강진숙.이은비 (2014). '서울마을미디어'의 다중 실천과 문화정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네그리와 하트의 '다중'개념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5권 3호, 143-185.
  4. 김구 (2016). <스마트사회와 공동체>. 서울: 대영문화사.
  5. 김민영.최현 (2015). 제주도 이주의 현황과 전망. <탐라문화>, 50권, 40-79.
  6. 김우영 (2013). 은평구 마을공동체로 바라보는 주민참여사업. <공공사회연구>, 3권 2호, 5-35.
  7. 김은규.최성은 (2013). 정규방송 도입 이후 공동체 라디오 운영구조 및 정책에 대한 평가적 고찰: 전문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3권 3호, 184-214.
  8. 김태영 (2012). 마을 공동체 복원의 고려요소. <건축>, 56권 6호, 14-19.
  9. 김희영 (2012). <미디어로 마을을 만나다: 마을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공동체 미디어의 역할 및 운용>. 미디어를 활용한 마을 이야기 만들기 사례집. 131-140.
  10. 김희영 (2014a). <마을미디어 현황과 과제>. 미디액트 개관 12주년 기념 라운드테이블 전국 마을미디어 팔도유람. 7-23.
  11. 김희영 (2014b). <마을과 사람을 잇는 마을미디어>. 국토연구원. 92-100.
  12. 문석진 (2013).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공공사회연구>, 3권 2호, 36-48.
  13. 박병춘 (2012). 지역공동체 성공요인 및 정책점 시사점: 지역공동체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0권 4호, 1-26.
  14. 박병춘.김석찬 (20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DB 정보 플랫폼 개발. <지역사회연구>, 20권 1호, 1-21.
  15. 박병춘.최현석 (2012). 지역공동체 실체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풀뿌리운동에 기반을 둔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0권 3호, 1-22.
  16. 박재영.강진구 (2016). 서울시 조선족 밀집지역과 거주 공간 확대에 대한 연구: 가리봉동.구로동.대림동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53권, 255-290.
  17. 박채은 (2006). <임파워먼트를 위한 소통: 대안미디어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경험과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반명진.김영찬 (2016).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마포 FM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78호, 79-115.
  19. 변혜선 (2016). 마을공동체를 통한 행복한 충북 실현. <충북 포커스>, 123호, 1-18.
  20. 손동유.이경준 (2013).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기록학연구>, 35호, 161-206.
  21. 안진.채영길 (2015). 공동체 미디어 실천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라디오 참여활동과 권능화. <한국방송학보>, 29권 6호, 94-136.
  22. 오완석 (2013). 마을공동체회복사업과 주민자치를 위한 정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공공사회연구>, 3권 2호, 104-125.
  23. 이기형.황경아 (2016). SBS의 역할과 성취 그리고 명과 암을 맥락화하기: 텍스트 분석과 미디어 생산자연구를 통해서 조명하기. <한국언론정보학보>, 75호, 83-144.
  24. 이동연 (2014). 마을미디어 현황과 과제. 미디액트 개관 12주년 기념 라운드테이블 <전국 마을미디어 팔도유람> (57-61쪽).
  25. 이명호 (2016). 공동체의 위기와 복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향촌공동체와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사회사상과 문화>, 19권 1호, 87-115.
  26. 이재완 (2014).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민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인지도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7권 4호, 409-437.
  27. 이주훈 (2012). 미디어로 마을을 만나다: 마을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공동체 미디어의 역할 및 운용. <미디어를 활용한 마을 이야기 만들기 사례집> (114-125쪽).
  28. 이주훈 (2015). 서울시 마을미디어 정책현황. <제주지역 마을미디어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 자료집> (5-19쪽).
  29. 이희랑 (2012). 미디어로 마을을 만나다: 공동체 미디어교육이 왜 마을을 향하는가?. <미디어를 활용한 마을 이야기 만들기 사례집> (126-130쪽).
  30. 이희환 (2016). 도시마을 공동체 복원의 가능성을 묻다. <인천학연구>, 25호, 283-293.
  31. 장시연.채영길 (2016). 공동체 미디어의 참여자 네트워크 특성과 의미 분석: 마포FM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5호, 720-731.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720
  32. 전대욱.박승규.최인수 (2012).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전략 연구>(연구보고서 2012-10).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3. 정의철 (2015). 이주민의 커뮤니케이션 권리와 역량강화: 이주민 미디어와 이주민 미디어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9권 2호, 257-286.
  34. 제주특별자치도 (2014). 제주특별자치도 정착이주민 실태조사 및 정착지원 방안 연구. URL: http://jeju.go.kr/group/part4/refer.htm?act=download&seq=802793&no=1
  35.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6). 제주특별자치도 마을공동체미디어 지원 조례안 입법예고. URL: http://www.council.jeju.kr/contents/index.php?mid=0607&job=detail&ebcf_id=2016_intra_com&eb_seq=85
  36. 채영길.김용찬.백영민.김예란.김유정 (2016).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커뮤니케이션 이론>, 16권 6호, 4-46.
  37. 최성은 (2010). <국가규제와 공공지원이 공동체미디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영국, 호주, 미국, 캐나다, 한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8. 최지민.황선영.김순은 (2016).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제도주의적 분석: B아파트 2단지 옥상 텃밭 가꾸기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권 2호, 29-54.
  39. 한선.이오현 (2008a). 한.미 공동체 라디오 비교연구: 하위 공론장 역할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언론과 사회>, 16권 4호, 79-114.
  40. 한선.이오현 (2008b). 공동체 라디오와 자기 효능감: 미국 공동체 라디오 KOPN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2권 5호, 275-294.
  41.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 (2016). 제주특별자치도의 인구 변화를 읽다. URL: http://kostat.go.kr/office/hnro/rohn_nw/2/5/index.board?bmode=read&aSeq=354804
  42. 홍숙영 (2015). 공동체 라디오를 통한 다문화 인식개선과 스토리설계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권 5호, 98-107.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098
  43. 황경수 (2015). 사회적 자본이 제주지역 공동체 문화인 괸당문화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권 3호, 1764-1772. https://doi.org/10.5762/KAIS.2015.16.3.1764
  44. 황석규 (2009). 제주국제자유도시 다문화정책의 과제와 미래. <탐라문화>, 35호, 371-404.
  45. Buckley, S., Duer, K., Mendel, T., & O'Siochru, S. (2008). Broadcasting, voice and accountability: A public interest approach to policies, laws and regulations.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6. Carpentier, N. (2007). The on-line community media database RadioSwap as a translocal tool to broaden the communicative rhizome. Observatorio Journal, 1, 1-26.
  47. Carpentier, N., Lie, R., & Servaes, J. (2003). Community media: Muting the democratic media discourse?. Continuum: Journal of Media & Cultural Studies, 17(1), 51-68. https://doi.org/10.1080/1030431022000049010
  48. Halleck, D. (2002). Hand-held visions: The impossible possibilities of community media. New York, NY: Fordham University Press.
  49. Hillery, G. A. (1955). Defin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2), 111-123.
  50. Howley, K. (2005). Community media: People, place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Ibrahim, Z. (2000). Tarzan doesn't live here any more: Musings on being donorsponsored in Africa.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3(2), 199-205. https://doi.org/10.1177/136787790000300208
  52. Jankowski, N. W. (2003). Community media research: A quest for theoretically grounded models. Javnost-The Public, 10(1), 5-14.
  53. M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4), 6-23.
  54. McNair, B. (1998). The sociology of journalism. London, New York, Sydney, Auckland: Arnold.
  55. O'Connor, A. (1990). The miners' radio in Bolivia: A culture of resista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0(1), 102-110.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0.tb02254.x
  56. Poplin, D. E. (1979). Communities: A survey of theories and methods of research, the concept of community. New York, NY: Macmillan Publishing Co.
  57. Rodriguez, C. (2001). Fissures in the mediascape: An international study of citizens' media. Cresskill, NJ: Hampton Press.
  58. Servaes, J. (1999). Communication for development: One world, multiple cultures. Cresskill, NJ: Hampton Press.
  59. Steve, B. (2011). Community media: A good practice handbook. Paris, FR: UNESCO.
  60. Tacchi, J., Slater, D., & Lewis, P. (2003). Evaluating community-based media initiatives: An ethnographic action research approach. Retrieved March 18, 2008, from http://pcmlp.socleg.ox.ac.uk/it4d/thinkpieces/tacchi.pdf
  61. Wasko, J., & Mosco, V. (Eds) (1992). Democratic communications in the information age. Toronto & Norwood: Garamond Press & Ab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