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atory Research about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Grounded Theory Based Analysis about Seoul Community Media Practice

마을미디어 실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마을미디어 활동에 대한 근거이론을 통한 분석

  • Lee, Hee Rang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Chung-Ang University) ;
  • Kim, Hee Young (Department of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Chung-Ang University)
  • 이희랑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 김희영 (중앙대학교 문화연구학과)
  • Received : 2016.11.30
  • Accepted : 2017.01.18
  • Published : 2017.02.15

Abstract

Maeul Community Media is community media practice that media education combine with community activism based on the region. Maeul Community Media appeared with Seoul city's supporting policy in 2012 and is now enlarging on a national scale beyond Seoul.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ng Maeul Community Media activists' practice process by using a grouned theory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of study participants who worked on as activists based on visual and radio field since 2012. By open coding based on grounded theory, 16 categories and 59 subcategories were discovered. The outcome of axial coding showed the centeral phenomena that can be called 'sustainable desire for Maeul Community Media act'. On the condition of the instability of public support and the absence of a village channel, the strategic practices were discovered, which are diversification of participants recruitment and modes of participation, invention of space-media, seeking multilateral distribution methodologies and the collective action plans of networks to stabilize the management and to empower Maeul Community Media networks. As a result, Maeul Community Media and civil society were networked by discovering and agenda-setting pending issues. And we could find that the desire and expectation for the role as a village's public sphere were enlarging.

마을미디어는 미디어교육이 마을공동체 운동과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서 등장하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미디어 활동이다. 2012년 서울시의 지원 정책과 함께 등장하여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는 마을미디어 활동가들의 실천 과정을 이해하고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 근거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2012년부터 지속적으로 활동해온 영상 및 라디오 분야 활동가를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라서 개방코딩한 결과 16개의 범주와 59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축코딩 결과 지속가능한 마을미디어 활동 욕구라는 중심 현상을 발견하였으며, 마을 채널의 부재와 공적 지원의 불안정한 정황에서도 운영의 안정화와 마을미디어네트워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스페이스미디어 발명, 다각적 배급방법 모색, 네트워크 공동행동의 전략적 실천을 하고 있으며 그 결과 마을의 현안을 발굴하고 의제화하면서 마을공동체와 시민사회와 네트워크됨으로써 마을의 공론장 역할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한층 더 커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영.윤선영 (2016). 간호사의 직장내 괴롭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46권 2호, 226-237.
  2. 강진숙.이은비 (2013). 공동체 라디오 DJ의 미메시스적 실천과 유희성 연구: 창신동 라디오방송국 <덤>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5권 2호, 37-66.
  3. 강진숙.이은비 (2014). '서울마을미디어'의 다중 실천과 문화정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네그리와 하트의 '다중' 개념을 중심으로. <방송과커뮤니케이션>, 15권 3호, 143-185.
  4. 강진숙.소유석 (2016). 공동체 라디오 동작FM의 다중참여와 실천사례 연구. <한국언론학보>, 60권 5호, 292-318.
  5. 권향원 (2016).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권 2호, 181-216.
  6. 김동윤 (2013). <인간관계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7. 김성경 (2013).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감각되는 장소와 북한 이탈여성의 '젠더'화된 장소 감각. <한국사회학>, 47권 1호, 221-253.
  8. 김세철.손은성 (2005), 소출력 FM방송의 활용과 지역사회 발전: 대구 성서공동체FM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24권 2호, 81-103.
  9. 김영천 (2013). <질적연구방법론1>. 서울:아카데미프레스.
  10. 김예란.김용찬.채영길.백영민.김유정 (2016). <공동체는 발명되어야 한다. 공동체의 발명, 운동의 재 발명>. 2016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61-80쪽).
  11. 김은규 (2004). <미디어와 시민참여: 시민미디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2. 김은규.최성은 (2013). 영국 공동체 라디오 정책 고찰을 통한 국내 정책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30권, 113-158.
  13. 남성진.최정호.이재모 (2011). 근거이론을 통한 지역사회복지사업의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9권, 101-128.
  14. 라도삼 (2012). <마을만들기 사례와 전략 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5. 박명희 (2014). 근거이론을 적용한 집단독서치료 참여자들의 변화경험과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권 3호, 463-488.
  16. 백미숙 (2004). 미국 라디오방송 제도의 성립과 공익개념 형성. <한국언론학보>, 48권 2호, 373-399.
  17. 서울시우리마을미디어문화교실 사업단 (2013). <2012 우리마을미디어문화교실 결과자료집>.
  18.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2014). 마을미디어, 판을 벌이다 (2013 마을미디어활성화사업 결과자료집).
  19.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2015). 꿈을 그리는 마을, 마을을 그리는 미디어 (2014 마을미디어활성화 사업결과자료집).
  20.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2016). Cheer UP! (2016 서울마을미디어 네트워크 1박 2일 워크숍 자료집).
  21. 성동규.염성규 (2013). 온라인 마녀 사냥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 30권 1호, 145-189.
  22. 유은혜 (2016). <국민의 영상문화향유 활성화를 위한 해외 지원정책 사례> (국정감사정책자료집).
  23. 윤상길 (2011). 한국의 지역사회와 지역커뮤니케이션의 구조.<한국민족문화>, 39권, 327-365.
  24. 이만제 (2003). 소출력 FM 도입을 위한 일본 사례 연구. <방송연구>, 통권 57호, 209-234.
  25. 이만제 (2007). 공동체 라디오방송 사업자 선정 정책방안. '공동체 라디오 방송 정책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자료집 (1-32쪽).
  26. 이영범.박성우.남승연.정무권 (2012). 근거이론을 통한 사회적기업의 지속발전 모형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2권 4호, 355-387.
  27. 이주훈 (2012).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역할 및 운용. 서울시민의 미디어참여와 미디어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 '서울시 마을미디어 활성화 정책에 대한 점검과 과제' 자료집 (31-43쪽).
  28. 이희랑 (2013). <공동체미디어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29. 이희랑.김희영.박지한.김주현 (2013). <마을미디어 사례연구>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연구 보고서).
  30. 임종섭.김명준 (2015). 근거이론방법의 고찰과 언론학 연구에 주는 함의. <한국언론학보>, 59권 2호, 427-452.
  31. 반명진.김영찬 (2016).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78권, 79-115.
  32. 조종혁 (1999). <커뮤니케이션학: 이론과 관점>. 서울: 세영사.
  33. 차재영 (1999). 미국의 공동체라디오 연구. <북미주학연구>, 8호, 199-213.
  34. 채영길.김용찬.백영민.김예란.김유정 (2016).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커뮤니케이션이론>, 12권 2호, 4-46.
  35. 최성은 (2012). 공동체라디오 법안의 필요성 및 해외 사례. '공동체라디오 발전 법제도 개선 토론회' 자료집 (5-18쪽).
  36. 허경 (2012). 서울시 마을미디어정책 현황과 과제. 서울시민의 미디어참여와 미디어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 '서울시 마을미디어 활성화 정책에 대한 점검과 과제' 자료집 (4-30쪽).
  37. 허경 (2015). 2015년 마을미디어의 좌표, 확산과 네트워킹을 위한 과제. '변화를 만드는 마을미디어포럼' 자료집 (59-105쪽).
  38. Ali, C. (2012). Media at the margins: Policy and practice in American, Canadian, and British community televi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6. 1119-1138.
  39. Ali, C. (2015). A community of communities? Emerging dynamics in the community media paradigm. Global Media and Communication, 11(1). 3-23. https://doi.org/10.1177/1742766515573970
  40. Berrigan, F. J. (1979). Community communication: The role of community media in development. Paris, FR: National Distributors of Unesco Publications.
  41. Carpentier, N., Lie, R., & Servaes, J. (2007). Multitheoretical approaches to community media: Capturing specificity and diversity, In L. K. Fuller (Ed.), Community media (pp. 218-235). NY: Palgrave Macmillan.
  42. Charmaz, K., (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박현성.이상균.이채원 (역) (2013). <근거이론의 구성>. 서울: 학지사.
  43. Habermas, J. (1981). Theories des kommunikatien Handelns: Handlung- srationalitat und gesellschaftliche Rationalisierung. 장춘익 (역) (2007). <의사소통행위이론2:행위합리성과 사회합리화>. 서울: 나남.
  44. Halleck, D. (2002). Hand-held visons: The impossible possibilities of community media. NY: Fordham University Press.
  45. Howley, K. (2010). Understanding community media. Tousand Oaks, CA: Sa.
  46. Lazarus, S. (1996). Anthropologe du Nom. 이종영 (역) (2002). <이름의 인류학>. 서울: 새물결.
  47. Lefebvre, A. (1974). La production de l'espace. 양영란 (역) (2011). <공간의 생산>. 서울: 에코리브로.
  48. Ranciere, J. (1998). Aux bords du politque. 양창렬 (역) (2008).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서울: 도서출판 길.
  49. Rennie, E. (2006). Community media: A global introduction. Rowman & Littlefield.
  50. Shuman, M. H. (2000). Going local: Creating self-reliant communities in a global age. New York, NY: Routledge.
  51. Strauss, C.,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김수진.신경림 (역) (2004). <근거이론의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