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Methodology and Flow of Discourses of Community Media Focusing on the Meta-analysis of Topics, Methods, and Issues of Academic Journals

공동체 미디어의 담론 흐름과 연구경향 학술논문의 주제, 방법, 쟁점에 대한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 Kang, Jin Suk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Chung-Ang University)
  •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16.11.28
  • Accepted : 2017.01.18
  • Published : 2017.02.15

Abstract

Online communities have become playgrounds for enjoyment and political public spheres as well as have been vitalized by participation of diverse users, which shows that users of online communities experience participatory democracy and new subjects who project the politic of everyday life eventu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at how phenomenon from above have been revealed in the academic discourses and seek the ways for development of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community media research. To do this, I analyze that features and tendencies of academic discourses which have historically been accumulated through applying method of meta-analysis into topics, methods, and issues in the precedence studies. Data is centered on Journals of 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and the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The reason why I choose these journals is that they have a long history of the publication compared to other journals, thus, I can collect various related articles. Total of 53 Samples are selected after input keywords '공동체' and 'Community'.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by offering the preliminary data in order to seek the ways for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and for the future theories and methodologies of community media through researching on precedence studies having piled from 2001 when the first article about community media was published to November 2016.

2000년대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는 다양한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활성화되었고, 정치적 공론장이자 일상적인 유희의 놀이터가 되어왔다. 이를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의 이용자들은 참여민주주의를 경험하고 궁극적으로는 일상의 삶 정치를 기획하는 새로운 주체상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관련한 현상들이 학술담론의 지형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진단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공동체 미디어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의 개발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 학술담론에 나타난 주제, 방법, 그리고 쟁점에 대한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역사적으로 축적된 학술 담론들의 경향성과 특이점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국내 언론학계의 학술등재지 논문들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언론 유관학회들 중에서도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등에서 발간하는 학술등재지들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정 이유는 다른 학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술지 발간의 역사가 오래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관련 학술담론들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키워드 입력은 여러 차례의 다양한 시도들을 거쳐 최종적으로 '공동체'와 '커뮤니티'를 투입한 결과 총 53건의 연구논문들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공동체 미디어 관련 논문이 처음 게재된 2001년 이후 2016년 11월 현재까지 축적된 과거의 학술담론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할 때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숙 (2009). 장애인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사례 연구: 장애인 미디어교육 교사 및 학습자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46호, 148-176.
  2. 강진숙 (2012). SNS 속도문화와 창조적 저항: 비릴리오와 키틀러의 속도와 주체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58호, 31-54.
  3. 강진숙 (2016).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연구의 주사위: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지금.
  4. 강진숙.소유석 (2016). 공동체 라디오 동작FM의 다중참여와 실천사례 연구: 네그리와 하트, 비르노의 다중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권 5호, 292-318.
  5. 강진숙.이은비 (2013). 공동체라디오 DJ의 미메시스적 실천과 유희성 연구: 창신동 라디오방송국 <덤>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5권 2호, 37-66.
  6. 구교태 (2005). 가상 커뮤니티 이용 욕구(needs)와 행위(behavior)에 관한 연구: 대학생들의 인터넷카페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0호, 7-33.
  7. 구자순 (2005). 고령층의 온라인 공동체 활동에 관한 연구: 남성과 여성 간에 차이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6호, 241-272.
  8. 권상희.방경화 (2006). 온라인 커뮤니티 내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자아성향(Self-construal)에 따른 관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6호, 423-462.
  9. 권지현.김명혜 (2015). 인터넷 팬 커뮤니티의 규율권력이 어떻게 행사되는가?: 디시인사이드 '주군의 태양' 갤러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2권 2호, 5-50.
  10. 김경모.정은령 (2012). 내러티브 프레임과 해석 공동체: '전작권 환수 논란'의 프레임 경쟁과 해석 집단의 저널리즘 담론. <한국언론정보학보>, 57호, 109-136.
  11. 김경희.김주연 (2004). 인터넷 커뮤니티 개설자의 개설동기와 커뮤니티 속성에 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3호, 5-37.
  12. 김민하 (2008). 한국 언론의 탐사보도와 시민공동체 형성의 전망: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의 공공저널리즘적 기능과 한계. <한국언론학보>, 52권 4호, 105-128.
  13. 김상배 (2010). 집합지성보다는 커뮤니티?: 한국사의 맥락에서 본 인터넷 문화의 특징.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7권 4호, 45-92.
  14. 김소정.양은주.권정혜 (2013). 온라인ᐨ오프라인 자기개방이 공동체 소속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수평적 집단주의와 수직적 집단주의의 비교.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0권 4호, 5-42.
  15. 김수아 (2007). 사이버 공간에서의 힘돋우기 실천: 여성의 일상생활과 사이버 커뮤니티. <한국언론학보>, 51권 6호, 346-380.
  16. 김유정 (2005). 사이버 커뮤니티 참여와 이용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한국언론학보>, 49권 3호, 291-317.
  17. 김유정.김용찬.김지현.우지희.정혜선.손해영 (2012). 중국동포 커뮤니티 형성과 에스닉미디어의 역할: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의 관점에서. <한국언론학보>, 56권 3호, 347-375.
  18. 김유정.조수선 (2001). 사이버 커뮤니티로서의 인터넷 사이트 연구: 여성 사이트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언론학보>, 45권 3호, 5-38.
  19. 김은규.최성은 (2013). 영국 공동체라디오 정책 고찰을 통한 국내 정책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30권, 113-158.
  20. 김은규.최성은 (2013a). 정규방송 도입 이후 공동체 라디오 운영구조 및 정책에 대한 평가적 고찰: 전문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3권 3호, 184-214.
  21. 김지연.강진숙 (2015). SNS 독서 커뮤니티의 집단지성과 미메시스 실천에 관한 연구: 벤야민의 미메시스와 레비의 집단지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9권 4호, 225-257.
  22. 김학수 (2007). 공동체 문제 가깝게 하기를 통한 과학커뮤니케이션 가능성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4호, 181-198.
  23. 노정규.민영 (2012). 정치 정보에 대한 선택적 노출이 태도 극화에 미치는 효과: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56권 2호, 226-248.
  24. 박경섭 (2015). 항쟁의 에토스와 공동체: 1980년 5월 광주의 마음을 찾아서. <한국언론정보학보>, 71호, 33-51.
  25. 박근서 (2011). 모드하기의 문화적 실천에 대한 연구: <엘더스크롤 IV: 오블리비언>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55호, 100-118.
  26. 박근영.최윤정 (2014). 온라인 공론장에서 토론이 합의와 대립에 이르게 하는 요인 분석: 개방형 공론장과 커뮤니티 공론장의 토론 숙의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58권 1호, 39-69.
  27. 박성복 (2007). 온라인 대인관계의 정서적 애착(emotional attachment) 형성에 관한연구: 온라인 커뮤니티의 번개모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1권 3호, 407-429.
  28. 박영득.이정희 (2013).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정치적 의견표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0권 2호, 73-109.
  29. 박유진.김재휘 (2006). 사이버 커뮤니티의 몰입과 정체성이 친커뮤니티행동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9호, 41-77.
  30. 박정의 (2001). 지역공동체 구조와 뉴스프레임이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17호, 37-60.
  31. 박준식 (2001). 가상 공동체의 구성 원리와 함의: 지구적 두뇌의 관점.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8호, 47-84.
  32. 박창식.정일권 (2011). 정치적 소통의 새로운 전망: 20-30대 여성들의 온라인 정치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1호, 219-244.
  33. 반명진.김영찬 (2016).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마포 FM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78호, 79-115.
  34. 배상률.이창호 (2016). 소셜미디어가 청소년 여가문화 및 팬덤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페이스북을 활용한 청소년 집단지성 토론단 운영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7권 3호, 189-218.
  35. 손해영.심홍진.황유선 (2011).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원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티 소속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방송학보>, 25권 1호, 116-158.
  36. 송경재 (2006). 자발적인 시민참여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사례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9호, 221-255.
  37. 안진.채영길 (2015). 공동체 미디어 실천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라디오 참여활동과 권능화. <한국방송학보>, 29권 6호, 94-136.
  38. 안진.최영 (2016).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프리카 TV <먹방 BJ 애봉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0권 2호, 5-53.
  39. 양소은.김은미 (2014). 누구와 소통하는가: 연결된 청소년의 공동체적 삶 역량 계발. <한국언론학보>, 58권 1호, 5-38.
  40. 양은경 (2006). 동아시아 문화정체성의 형성과 텔레비전의 소비: 배용준의 일본 팬 커뮤니티 가족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권 3호, 198-238.
  41. 양정혜.노수진 (2012). 휴먼 다큐멘터리가 재현하는 장애인: KBS 인간극장에 나타난 장애인 내러티브 분석. <한국방송학보>, 26권 3호, 371-415.
  42. 오미영.차동필 (2006). 케이블TV 방송국(SO)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조직 특성이 지역사회 관계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0권 4호, 156-197.
  43. 윤명희 (2007). 미니홈피 커뮤니티의 사회문화적 특징: 대학생 이용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1호, 83-122.
  44. 윤명희 (2008). 블로그의 사회이론적 탐색: '커뮤니티'의 시각에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5권 4호, 121-169.
  45. 윤선희 (2009). 아시아 공동체의 문화 정체성: 한국 역사 드라마의 아시아 미디어 수용에 대한 문화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46호, 37-74.
  46. 윤수진.손동영 (2014). 사회적 익명성이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공동체 신뢰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동질성(perceived homophily)과 공감경험(empathy)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1권 4호, 189-226.
  47. 윤해진 (2006). 온라인 서포트 커뮤니티에서의 인지된 익명성: 계층적 개념구조와 공적인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0권 6호, 305-332.
  48. 이영음 (2003). 사이버 공동체에서의 윤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2호, 187-220.
  49. 이은비.강진숙 (2013). 차이와 소수성을 위한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MWTV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질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권 6호, 441-468.
  50. 이은비.강진숙 (2013). 차이와 소수성을 위한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MWTV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질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57권 6호, 441-468.
  51. 임정수 (2006). 케이블방송의 커뮤니티 복지에 대한 케이블방송사와 시청자의 인식. <한국방송학보>, 20권 4호, 231-266.
  52. 임종섭.김진희.최수연.원용진 (2014). 온라인 공동체 규범인식과 몰입이 운영방식 만족, 지각된 가치, 오프라인 모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언론학보>, 58권 5호, 153-179.
  53. 장덕진.배영 (2006). 사이버 공간의 공동체와 연결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9호, 175-219.
  54. 장용호.공병훈 (2012). 문학 커뮤니티의 집합적 창작(collective creation) 과정에 대한 생태계적 모형 연구: 온라인 커뮤니티 문장(Munjang)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권 3호, 163-218.
  55. 장유정 (2016. 2.). <노년세대의 갈등유형과 소수자 미디어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중앙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전영아.강정한 (2010). 사이버 커뮤니티에서 유형별 사회자본이 정치적 의견표명과 호응에 미치는 효과: 광우병 촛불집회 사례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7권 3호, 177-226.
  57. 정의철 (2015). 이주민의 커뮤니케이션 권리와 역량강화: 이주민 미디어와 이주민 미디어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9권 2호, 257-286.
  58. 채영길 (2013). 다문화사회와 상호주관적 소통권: 미디어 중심에서 커뮤니티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커뮤니케이션이론>, 9권 4호, 136-175.
  59. 채영길 (2014). 한국 보수 언론 및 온라인 커뮤니티의 이주노동자 재현과 갈등 은유 분석. <한국언론학보>, 58권 4호, 210-237.
  60. 채영길.김용찬.백영민.김예란.김유정 (2016).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커뮤니케이션이론>, 12권 2호, 4-46.
  61. 최윤정 (2009). 온라인 커뮤니티 속 오피니언 리더 집단 검증: 이용 동기, 활동 정도, 대인관계 형성과정의 비교 분석. <한국언론학보>, 53권 4호, 372-394.
  62. 한선 (2014). 궐기하는 자들의 웃음 공동체 되기(becoming)의 가능성: '국정원 파파라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8권 3호, 59-86.
  63. 한선.이오현 (2008). 공동체 라디오와 자기 효능감: 미국 공동체 라디오 KOPN에 대한 민속지학적연구. <한국언론학보>, 52권 5호, 275-294.
  64. 황슬하.강진숙 (2014). 온라인 여성호명 담론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8권 4호, 356-388.
  65. 황주성.오주현 (2011). 인터넷 커뮤니티의 자기조직화에 대한 사례 연구: (주)다음 카페를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5호, 261-285.
  66. Campbell, D. T., & Fiske, D. W. (1959).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by the multitrait-multimethod matrix. Psychological Bulletion, 56, 81-105. https://doi.org/10.1037/h0046016
  67. Denzin, N. K. (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New York, NY: McGraw Hill.
  68. Kittler, F. (1986). Grammophon, Film, Typewriter. Berlin: Brinkmann & Bose.
  69. Matsaganis, M. D., Katz, V. S., & Ball-Rokeach, S. J. (2011). Understanding ethnic media: Producers, consumers, and societies. Los Angeles, CA: Sage.
  70. Negri, A., & Hardt, M. (2001). Multitude: War and democracy un in the age of empire. 조정환.정남영.서창현 (역) (2008). <다중: 제국이 지배하는 시대의 전쟁과 민주주의>. 서울: 세종서적.
  71. Patton, M. Q. (1987). How to use qualitative methods in evaluation. Newbury Park, CA: Sage.
  72.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홍용희.노경주.심종희 (역) (2000). <질적 사례연구>. 서울: 창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