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investigation on Key Issues Associated with the Yimjin(1712)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 The Distribution of Soil Piles and the Location of 'Suchul(水出)' written on the Mukedeng's Map

임진정계 경계표지 토퇴의 분포와 목극등 지도에 표시된 '수출(水出)'의 위치

  • Lee, Kang-W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강원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7.02.12
  • Accepted : 2017.02.25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paper reports the distribution of soil piles set up during the Yimjin(1712)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YBMD). Through the survey on the distribution of soil piles the location of 'Suchul'(水出: seepage zone) could be identified. The endpoint soil pile set up on the east-south bank of Heishigou(黑石溝) stream locates on $42^{\circ}04^{\prime}20.09^{{\prime}{\prime}}N$, $128^{\circ}16^{\prime}08.42^{{\prime}{\prime}}E$. The west beginning point of soil piles distributed in the south side of Tuhexian road locates on $42^{\circ}02^{\prime}20.14^{{\prime}{\prime}}N$, $128^{\circ}18^{\prime}53.40^{{\prime}{\prime}}E$. And the east endpoint of them locates $42^{\circ}01^{\prime}32.97^{{\prime}{\prime}}N$, $128^{\circ}21^{\prime}24.59^{{\prime}{\prime}}E$. From the west beginning point to the soil pile located in 2.1km distance from the beginning point, the distribution direction is west-east. The direction of soil piles after them is northwest-southeast. The total real length of soil piles distributed in the south side of Tuhexian(圖和線) road is about 4.2km more or less. The location of 'Suchul' written on the Mukedeng's map locates on $42^{\circ}01^{\prime}30.36^{{\prime}{\prime}}N$, $128^{\circ}21^{\prime}3.62^{{\prime}{\prime}}E$, The point locates in southeastward 222m distance from the soil piles endpoint of the south side of Tuhexian road. In reference of these reports this paper develops some reinterpretation on the YBMD.

이 논문은 현존하는 임진정계 경계표지 토퇴들의 분포와 특징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그를 통해 목극등 지도에 표시된 '수출(水出)'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흑석구 동남안을 따라 설치된 토퇴들 중 마지막 토퇴의 위치는 대략 북위 $42^{\circ}04^{\prime}20.09^{{\prime}{\prime}}$, 동경 $128^{\circ}16^{\prime}08.42^{{\prime}{\prime}}$이다. '도화선 도로변 토퇴군'의 서쪽 시점은 대략 북위 $42^{\circ}02^{\prime}20.14^{{\prime}{\prime}}$, 동경 $128^{\circ}18^{\prime}53.40^{{\prime}{\prime}}$이며, 동쪽 종점의 좌표는 대략 북위 $42^{\circ}01^{\prime}32.97^{{\prime}{\prime}}$, 동경 $128^{\circ}21^{\prime}24.59^{{\prime}{\prime}}$이다. 서쪽 시점에서 약 2.1㎞ 지점까지는 대체적으로 "서-동"의 방향이며, 그 이동은 대체적으로 "서북-동남" 방향이다. 도화선 도로변 토퇴의 총 분포 길이는 실제거리 약 4.2㎞ 정도이다. 목극등 지도에 표시된 '수출'의 좌표는 대략 북위 $42^{\circ}01^{\prime}30.36^{{\prime}{\prime}}$, 동경 $128^{\circ}21^{\prime}3.62^{{\prime}{\prime}}$이다. 동쪽 마지막 토퇴의 동남 방향 지도상 평면 직선거리 약 222m 지점이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임진정계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勘界使謄錄 上(국립중앙도서관 古2102-84-1)
  2. 勘界使謄錄 下(국립중앙도서관 古2102-84-2)
  3. 大韓北輿要選, 金魯奎(국립중앙도서관, M古1-2001-27)
  4. 備邊司謄錄(국사편찬위원회)
  5. 承政院日記(국사편찬위원회)
  6. 雲養集, 金允植(한국고전번역원)
  7. 壬辰穆胡克登定界時所模(규장각 輿地圖(古4709-1))
  8. 朝鮮王朝實錄(국사편찬위원회)
  9. 土門勘界, 李重夏(규장각, 奎21036)
  10. 강석화, 2000,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경세원.
  11. 경인문화사, 1997, 最近北韓五萬分之一地形圖, 경인문화사.
  12. 동북아역사재단(역), 2013, 譯註 <統監府臨時間島派出所紀要>, 동북아역사자료총서 43, 동북아역사재단 (篠田治策 編著, 1910, 統監府臨時間島派出所紀要, 日本外務省外交史料館所藏).
  13. 백두산총서편찬위원회a, 1992, 백두산총서(수문), 과학기술출판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중앙과학기술통보사).
  14. 백두산총서편찬위원회, 1992b, 백두산총서(식물), 과학기술출판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중앙과학기술통보사).
  15. 백두산총서편찬위원회, 1994, 백두총서: 백두산 지도첩, 과학기술출판사(CNC 북한학술정보 백두산데이터베이스).
  16. 신영길(역), 2005, 간도는 조선땅이다: 백두산정계비와 국경, 지선당(篠田治策, 1938, 白頭山定界碑, 樂浪書院).
  17. 이강원, 2007a, 사막중국: 중국의 토지이용 변화와 사막화, 폴리테이아.
  18. 이강원, 2007b, "조선후기 국경인식에 있어서 두만강.토문강.분계강 개념과 그에 대한 검토," 정신문화 연구, 30(3), 91-118.
  19. 이강원, 2015, "임진정계시 '입지암류(入地暗流)'의 위치와 '토문강원(土門江源)'의 송화강 유입 여부," 대한지리학회지, 50(6), 571-605.
  20. 이강원, 2016, "역대 실지조사기록 검토를 통한 임진정계 경계표지물 분포 복원," 대한지리학회지, 51(5), 577-612.
  21. 이왕무.정욱재.양승률.서동일 역, 2008, 역주 <감계사등록(上)>, 동북아역사재단.
  22. 이왕무.정욱재.양승률.서동일 역, 2010, 역주 <감계사등록(下)>, 동북아역사재단.
  23. 이화자, 2012, "중국.북한 국경 답사기: 백두산 토퇴군(土堆群)의 새로운 발견," 문화역사지리, 24(3), 140-159.
  24. 이화자, 2013, "백두산 정계의 표식물: 흑석구(黑石溝)의 토석퇴에 대한 새로운 고찰," 동방학지, 162, 241-281.
  25. 大日本帝國陸地測量部, 1933, 滿洲十萬分一圖.
  26. 篠田治策, 1938, 白頭山定界碑, 樂浪書院.
  27. 日本放送協會(NHK), 2009, 北朝鮮 白頭山: 知られざる "聖なる峰"(TV documentary).
  28. 朝鮮總督府, 1916, 朝鮮交通圖, 陸地測量部.
  29. 朝鮮總督府臨時土地調査局.大日本帝國陸地測量部, 1933, 假製版 五萬分之一地形圖.
  30. 吉林省革命委員會外事處辦公室編印, 1974, 中朝.中蘇.中蒙有關條約.協定.議定書匯編.
  31. 李花子, 2013, "康熙年間長白山定界與圖們江上流堆柵的走向," 朝鮮.韓國史硏究, 13, 175-212.
  32. 李花子, 2014a, "黑石溝土堆考," 淸史硏究, 第1期, 37-52.
  33. 李花子, 2014b, "豆滿江正源形成考," 韓國學論文集, 第22輯, 90-102.
  34. 李花子, 2015, "1885年,1887年中朝勘界的重新認識," 社會科學輯刊, 第1期(總第216期), 111-120.
  35. 中國測繪史編輯委員會 編, 2002, 中國測繪史第三卷(中華人民共和國 1949-1989), 測繪出版社.
  36. Machida, H., Moriwaki H. and Zhao D. C., 1990, The Recent Eruption of Changbai Volcano and its Environmental Effects, Geographical Reports of Tokyo Metropolitan University, 25,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