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ptic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Warm and Cold periods appeared at Late Autumn of Seoul

서울의 늦가을에 나타나는 온난기와 한랭기 기온변화의 종관 특성

  • Park, Byong I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7.01.26
  • Accepted : 2017.02.22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warm and cold periods(WP, CP) of November appeared in the daily normal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Seoul for 1941~1970 and 1971~2000 and to investigate synoptic characteristics of the temperature changes of WP and CP. The WP temperatures are increased clearly(p value 0.000), the CP temperatures are also warming but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WP, there are not apparent trends corresponding the warming of WP temperature, in the Siberian High, Sea Level Pressure(SLP), 925hPa surface wind(U925, V925)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high period(1972~1979) of WP temperature, there are positive SLP anomaly and anomalous anticyclonic circulation pattern of 925hPa wind field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n the winter monsoon is weakened and the WP temperature is ascending. In CP, the Siberian high are weakening, the Hokkaido eastern low are strengthening and the westerlies(U925) over the Korean Peninsula are enlarging. So CP temperature are suppressed in rising trend or shows weak descent.

이 연구에서는 서울의 1941~1970년과 1971~2000년의 평균 일최저기온의 차이와 이의 조화파 합성에서 11월 중순의 기온 상승기(온난기)와 11월 하순의 기온 정체기(한랭기)를 설정하고, 온난기와 한랭기의 평균기온의 경년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종관장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온난기에는 시베리아 고기압, 주변 해면기압과 925hPa 면의 바람장 등에 기온 상승에 상응하는 경년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온난기 기온이 높은 시기(1972~1979)에는 우리나라 북부를 중심으로 고기압 편차와 고기압성 회전 편차가 나타나 겨울철 계절풍이 약화되어 기온이 상승하는 온난기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랭기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은 약화되고 있으나 홋카이도 동쪽 저기압이 강화되고 우리나라 부근의 서풍이 강화되어 우리나라의 기온 상승이 억제되거나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희성.김경현, 2007, "우리나라 자연 계절의 분포 특성과 변화 경향," 기후연구, 2, 105-117.
  2. 권영아.권원태.부경온, 2007,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자연 계절 시작일 및 지속기간 변화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42, 835-850.
  3. 권영아.김지연.이승호, 2005, "꽃샘추위의 발생 분포와 변화 경향," 대한지리학회지, 40, 285-295.
  4. 권재일.최영은, 2014, "앙상블 경험적 모드 분해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봄 시작일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9, 675-689.
  5. 기상연구소, 2009, 기후변화 이해하기 V-입춘에서 대한까지, 기상청.
  6. 기상청 번역, 2008, 기후변화 2007 -과학적 근거-, 기상청(IPCC, 2007, Climatic Change 2007 - The Physical Science Basis -, Cambridge Univ. Press).
  7. 기상청, 2012,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8. 기상청 번역, 2015, 기후변화 2014 -종합보고서-, 기상청(IPCC, 2014, Climatic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IPCC).
  9. 김선영.이승호, 2009, "한국의 황사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4, 675-690.
  10. 김선영.이승호, 2013, "한국에 출현한 황사의 발원지별 기상 특성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8, 167-183.
  11. 박병익, 2011, "서울의 겨울철 일평균 기온에 나타난 계절 추이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6, 152-167.
  12. 양진석, 1998, "한국의 춘계한발의 종관기후학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4(1), 43-56.
  13. 양진석, 2000, "한국의 추계한발의 종관기후학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6(2), 57-69.
  14. 윤진일, 2006, "기후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일의 시공간 변이,"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 68-76.
  15. 이병설, 1979, "우리나라의 자연계절에 관한 연구," 지리학, 14(2), 1-11.
  16. 이병설, 1985, "삼한사온과 기온특이일," 한국기상학회지, 21(1), 34-45.
  17. 이승호, 1995, "한반도 주변의 기압배치형에 의한 자연계절의 구분," 지리학연구, 26, 65-78.
  18. 정영근, 2012, "한반도 주변 1000-hPa 고도장의 군집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3, 337-349.
  19. 조창현.이승호.장동호, 2012, "극한기후 지수 설정에 관한 고찰," 기후연구, 7, 136-145.
  20. 진미정.박선엽, 2015, "우리나라 기후 절기별 기온 변화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50, 23-36.
  21. 최광용.권원태.D. A. Robinson, 2006, "우리나라 사계절 개시일과 지속기간," 대한지리학회지, 41, 435-456.
  22. 최광용.김준수, 2015, "우리나라 겨울철 극한저온현상 발생 시 종관 기후 패턴," 대한지리학회지, 50, 1-21.
  23. Ding, T., Qian, W. H., and Yan, Z. W., 2009,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old surge event over China during 1960-2007,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 Letters, 2, 339-344, doi: 10.1080/16742834.2009.11446823.
  24. Jeong, J. H., Ou, T., Linderholm, H. W., Kim, B. M., Kim, S. J., Kug, J. S., Chen, D., 2011, Recent recovery of the Siberian High intensity, Journal of Gepophysical Research, 116, D23102, doi: 10.1029/1022.JD015904.
  25. Jhun, J. G. and Lee, E. J., 2004, A new East Asian winter monsoon index and associated characteristics of the winter monsoon, Journal of Climate, 17, 711-726. https://doi.org/10.1175/1520-0442(2004)017<0711:ANEAWM>2.0.CO;2
  26. Kim, D. W., Byun, H. R., Lee, Y. I., 2005, The long-term changes of Siberian high and winter climate over the northern hemisphere,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1, 275-283.
  27. Kim, K. Y. and Roh, J. W., 2010, Physical mechanisms of the wintertime surface air temperature variability in South Korea and the near-7-day oscillation, Journal of Climate, 23, 2197-2212, doi: 10.1175/2009JCLI3348.1.
  28. Moon, S. E. and Um, H. H., 1980, The divisions of the natural season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16(1), 45-54.
  29. Panagiotopoulos, F., Shahgedanova, M., Hannachi, A., Stephenson, D. B., 2005, Observed trends and teleconnections of the Siberian High: A recently declining center of action, Journal of Climate, 18, 1411-1422. https://doi.org/10.1175/JCLI3352.1
  30. Qian, C., Fu, C., Wu, Z. and Yan, Z., 2011, The role of changes in the annual cycle in earlier onset of climatic spring in Northern China,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8, 284-296. https://doi.org/10.1007/s00376-010-9221-1
  31. Qian, C., Yan, Z. W. and Fu, C. B., 2012, Climatic changes in the twenty-four solar terms during 1960-2008, Chinese Science Bulletin, 57, 276-286, doi: 10.1007/s11434-011-4724-4.
  32. Wang, L. and Chen, W., 2014, An intensity index for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Journal of Climate, 27, 2361-2374. https://doi.org/10.1175/JCLI-D-13-00086.1
  33. Zhang, Y., Sperber, K. R., Boyle, J. S., 1997, Climatology and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Results from the 1979-95 NCEP/NCAR reanalysis, Monthly Weather Review, 125, 2605-2619. https://doi.org/10.1175/1520-0493(1997)125<2605:CAIVOT>2.0.CO;2
  34. 日本氣象協會, 1976, 1971-'75 天氣圖集成.
  35. 日本氣象協會, 1982, 1976-'80 天氣圖集成.
  36. NASA GISS 연구소, 전구평균기온, https://data.giss.nasa.gov/gistemp/grap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