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Social Welfare and Safety" (tentative) Curriculum Development

'사회복지와 안전(가칭)' 교과과정 개발 연구

  • 이경진 (용인송담대학교 사회복지과)
  • Received : 2016.12.27
  • Accepted : 2017.01.16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the necessity of conducting safety education to undergraduat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and suggest a curriculum developing plan founded on social concern over safety along with its importance in the middle of changing welfare environment. I surveyed 12 experts with Delphi method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n verified reliability of the irresponses and validity of conten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urriculum was named as "Social Welfare and Safety" and proposed to be operated as "a regular course (3credits/3hours․2credits/ 2hours)". In terms of objectives and goals of the curriculum, 9 themes were proposed including "Establishment of safety awareness and necessity of safety management" and "Studying safety management methods depending on different types of facilities". For the curriculum contents, 20 themes were proposed including "Safety management by social workers" and "Countermeasures for safety accident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order for the new curriculum to be successfully conducte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details regarding operation of the curriculum such as curriculum operation manuals, curriculum guidelines, etc.

본 연구는 변화하는 복지환경 가운데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중요성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안전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과목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 현장 및 학계 전문가 12인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조사를 실시하고 기술 통계분석과 응답의 안전성,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목의 명칭은 '사회복지와 안전'으로, 교과목의 학점 및 시간은 정규교과목(3학점 3시간 2학점 2시간), 교과목의 목적 및 목표는 '안전관리의 필요성 및 안전의식 정립', '시설 유형에 따른 안전관리방법 학습'을 포함 9개의 의견이 수렴되었다. 교과목의 내용에 관한 의견으로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위험관리', '시설 내 안전사고 발생 시 대응방안'을 포함 20개의 의견이 수렴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새로운 교과목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세부적인 방안 마련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노충래, 사회복지와 위험관리, 집문당, 2009.
  2. 현외성, 이광석, 임현승, 조추용, 양영자, 이성희, 현대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공동체, 2014.
  3. 문선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비젼과 미션," 한국사회복지교육, 제4권, 제2호, pp.43-67, 2008.
  4. 김문근, "사회복지시설 안전 관련 법률 및 규정에 관한 연구: 정신재활시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2권, 제3호, pp.135-16, 2015.
  5. 文部科學省. 生きる"力おはぐくむ學校ての安全敎育, 2010.
  6. 박미은, 사회복지 위험관리의 이해, 집문당, 2010.
  7. 서동명, "서울시 사회복지사 근로실태조사 분석 결과," 서울사회복지사 근로환경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pp.3-44, 2013.
  8. 최인범, 전순호, "학교안전.보건교육의 필요성과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안전학회지, 제21권, 제1호, pp.25-39, 1998.
  9. www.academyinfo.go.kr
  10. HCPC, Social workers in England, 2012.
  11. Faria G. et al. "Safety Education: A Study of Undergraduate Social Work Programs," The Journal of Baccalaureate Social Work, Vol.12, No.2, pp.141-153, 2007. https://doi.org/10.18084/1084-7219.12.2.141
  12. NASW, Social Worker Safety in the workplace, 2013.
  13. www.ncs.go.kr.
  14. 진선미, 장혁기, "사회복지 분야 NCS기반의 교육요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65-7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065
  15. 강신원, "초등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연구의 추세와 과제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Vol.28, No.2, pp.1-24, 2015.
  16. 박효정, 유선영, 학교 안전교육 현황과 내실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5.
  17. 류영주, 최지연, "초등학교 저학년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pp.745-763, 2016.
  18. 이지혜, "초등학교 안전교육 현황과 사회과 교육에서의 안전교육 방향 탐색," 한국초등교육, 제27권, 제2호, pp.259-278, 2016.
  19. 한여옥,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적용에 따른 초등학교 안전교육 실제," 서울교육, 제58권, 제1호, pp.142-149, 2016
  20. 김보균, 박인성, "대학생들의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 지식 및 요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7, No.3, pp.103-111, 2013.
  21. 이옥철, "대학생의 국민안전의식지수(PSCI) 및 응급상황대처 자기효능감에 대한 안전교육 효과,"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0, No.10, pp.1-18, 2014
  22. 김상엽, "대학생의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위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3, No.2, pp.279-289,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2.279
  23. 김혜령, 간호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내용 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4. 박아영, 간호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과 질 향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평가, 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5. 양광모, 박시현, "안전관리 직무에 대한 대학의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2013년 대한안전경영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문, 2013.
  26. 하연희, 김성원, "대학교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현황 분석 탐색 -부산광역시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6권: p.657, 2016.
  27. 김도희, 구차순, "사회복지 교육의 국제적 기준에 따른 한국 사회복지 교육 분석,"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 No.2, pp.67-93, 2008.
  28. 홍선미, 최명민, "사회복지교육실태 진단 및 사회복지교육의 질관리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사회복지교육, 사회복지교육실태, 사회복지교육의 전문성. 사회복지교육의 질,"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1, pp.1-31, 2010.
  29. 노혜련, "사회복지실천교육의 평가와 과제,"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5권, pp.51-86, 2011.
  30. 장현, 이봉진, "복지환경 다변화에 따른 사회복지 교과목 개편 필요성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8권, pp.158-174, 2012.
  31. 정종화, 최은라, 김제선, "사회복지교육과정 개편방향의 논의와 과제: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案)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7권, pp.1-24, 2014.
  32. 박용운, 김경미, 유태완,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운영 학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 설계모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652-66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652
  33. 김동배, 이혜원, "지역사회복지론의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제3권, pp.105-133, 1997.
  34. 이상균, 윤철수,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교과과정 및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18권, pp.53-85, 2010.
  35. 김혜래, 오창순, "델파이 조사를 통한 학교사회복지 교과과정 방향 모색,"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2귄, pp.51-72, 2010.
  36. 정순돌, 김성원, "대학 사례관리교과과정 내용구성,"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9권, pp.88-108, 2012.
  37. 배화숙, "사회복지사의 상담교육에 대한 욕구와 사회복지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3권, pp.179-200, 2013,
  38. 김진, 박미진, "대학의 실천지향적 노인복지 교육방향과 교과과정 연구," 비판사회정책, 제44권, pp.46-81, 2014.
  39. 서혜석, 김정은, 황성철, 이대식, 조성심, 이길구, "사회복지교육과정에서의 군사회복지 교과목 운영 방향,"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1-25, 2016.
  40. 송홍준, "대학교육 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556-56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556
  41. 강용주, 델파이 기법의 이해와 적용사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