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ompetence of Health Care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Adults

중년기 성인의 건강관리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

  • Received : 2016.12.09
  • Accepted : 2017.01.20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mpetence of health care(PCHC)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adult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412 middle-aged parents of university stud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CHC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family support, monthly income, exercise over 3times a week, subjective health status. However, religion and drinking made a differece only in PCHC on the other hand, sex and disease affected quality of life. All subdomains of PCHC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quality of life. Factors predicting quality of life among subdomains of PCHC were health perception, sociocultural relationship and socioeconomical involvement, which explained about 50.3%.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health perception, sociocultural and socioeconomical competence for middle-aged adults.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건강관리역량과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7일부터 10월 8일까지 G광역시 소재 1개 전문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의 학부모 중 40~64세에 해당하는 4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학력, 가족지지, 월소득, 주 3회 이상의 운동,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관리역량과 삶의 질 모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종교유무와 음주여부는 건강관리역량에만, 성별과 질병유무는 삶의 질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관리역량의 7개 하부영역은 삶의 질과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 건강인지, 사회문화적 참여, 사회경제적 관여영역이 삶의 질을 50.3% 예측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자신의 건강상태 뿐 아니라 건강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변 환경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문화적 이해와 참여, 지역사회 제반 시설과 정책 등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 지역사회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영호,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여명 및 건강수명," 보건복지포럼, 제193호, pp.5-18, 2012.
  2. 박은선, 최준선, "일부 중년기 성인에서 건강상태가 일반적 삶의 질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제12권, 제6호, pp.624-633, 2012.
  3. 한금선, 김정화, 이광미, 박지선, "임상 간호사의 삶의 질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430-437, 2004.
  4. 정재필,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따른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강서영, 박인혜, "일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02-313,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302
  6. 김은경, 박영숙, "부인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스트레스 및 삶의 질," 재활간호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14-122, 2010.
  7. 이은희, 이경숙, 소애영, Marilyn Smith-Stoner, "개인의 건강관리능력[Personal Power of Health Care; PPHC] 도구 개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29-139,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129
  8. S. N. Walker, K. R. Sechrist, and N. J. Pender, Health promotion model-instruments to measur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 II] (adult version), 1995. from https://deepblue.lib.umich.edu/bitstream/handle/2027.42/85349/HPLP_II-Dimensions.pdf?sequence=2&isAllowed=y
  9. 이경숙, 최정숙, 소애영, 이은희, "건강관리역량도구[Personal Competence of Healthcare Scale: PCHC]의 신뢰도 검증," 근관절건강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97-209, 2012.
  10. 노유자,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11. 서연숙, 중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수준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2. 이혜련, 노인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영향 요인,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3. The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ogical medlicine, Vol.28, No.3, pp.551-558. https://doi.org/10.1017/S0033291798006667
  14.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 BREF)," 신경정신의학, 제39권, 제3호, pp.571-579, 2000.
  15. 정찬영, 방사선 치료 중인 암환자의 정신병리,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전남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16. 윤수경, 탁영란, "혈액투석환자 가족의 부담감,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임상간호연구, 제20권, 제3호, pp.395-405, 2014. https://doi.org/10.22650/JKCNR.2014.20.3.395
  17. 김애정, "한국 성인의 삶의 질과 양생[養生]과의 관련성,"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4권, 제2호, pp.8-15, 2008.
  18. 김미경,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건강증진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1.
  19. 장영희, 김소의, 김유숙, 정선희, 박종, "우리나라 성인의 걷기운동과 삶의 질의 관련성,"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5호, pp.325-334,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5.325
  20. 김애경, 김정아, "성인의 생활양식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17권, 제5호, pp.772-782, 2005.
  21. 박영례, 손연정, "성인여성의 생애주기별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353-361, 2009.
  22. 김귀분, 최재은, 석소현,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사기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517-526, 2007.
  23. 이형만,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4. 이선재, 노인의 평생교육참여와 삶의 질 간에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