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Opera i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Development of Contemporary Opera

한국과 일본의 오페라 수용과 발전과정에 대한 비교 - 창작오페라를 중심으로

  • 손수연 (사)대한민국오페라단연합회)
  • Received : 2016.12.05
  • Accepted : 2017.02.15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South Korea and Japan are closely located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so we have developed our culture not only with many similarities but also with own distinct ways. These were also in adoption and development of Western music. Unlike Korea, Japan is showing its potential through Opera 'Yuzuru'. Even though opera is Western music style, communicating Asian culture through their own language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to secure status as a cultural power in the world. As the field of opera is expanded to media entertainment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ese and Korean opera, which used contemporary opera as a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It will help to develop into performing arts contents.

한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 밀접하고 같은 한자문화권에 속해있다. 때문에 많은 유사점을 가진 가운데 나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이런 특징은 서양음악의 수용과 발전 과정에서도 관찰된다. 창작오페라에 있어서 양국은 토대가 되는 서양음악의 도입경로나 시기, 소재, 자생력이 없는 순수공연예술이라는 일반적인 유사성을 보이고 있지만 답보상태인 한국에 비해 일본 창작오페라는 '유즈루'라는 세계무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내는 등 오페라를 통한 문화적 교류에 능동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부분에서 상이점이 존재한다. 오페라가 서양의 음악양식이라 할지라도 고급예술의 음악적 언어를 통해 자국의 문화를 전달하고 소통하는 것은 문화강국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문제 중 하나다.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오페라의 영역이 미디어엔터테인먼트로 확장되는 이때, 우리보다 앞서 창작오페라를 문화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활용했던 일본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창작오페라 발전과정을 비교 연구해 보는 것은 한국 창작오페라가 수준 높은 공연문화콘텐츠로 발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체육관광부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 p.122, 2015.
  2. 조성진, 오페라 감상법, 대원사, p.14, 1999.
  3. 최윤희,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p.23, 2013.
  4. 민경찬, "서양음악의 수용과 아시아 - 한국.중국.일본.타이완의 초기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 낭만음악, pp.99-139, 2005(12).
  5. 신대철, "한국.중국.일본의 서양음악 수용," 한국국악학회 한국음악연구, Vol.38, pp.143-172, 2005.
  6. 장윤선, 근대 일본의 서양음악 수용 연구 - 로쿠메이칸(鹿鳴館)의 매개적 역할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과정 음악원 음악학과 음악사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3.
  7. 채경화, 한국 고전문학을 활용한 오페라 창작 방법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8. 손수연, "한국 창작오페라 소재의 특징 분석과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글로컬 문화전략연구소 문화콘텐츠연구, 제5호, pp.45-70, 2015(6).
  9. 김숙현, 김평희, 박기순, 신인아, 이두원, 정현숙, 최윤희, 한국인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0. 허난영, "공연예술콘텐츠의 가치와 융합적 구조-공연예술실황영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pp.241-255, 2016(1).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241
  11. 방정배, 한은경, 박현순, 한류와 문화커뮤니케이션, p.9, 2007.
  12. 新國立劇場運營財團, 夕鶴 공연프로그램 북, 新國立劇場運營財團營業部, 2016.
  13. I. Stravinsky OEDIPUS REX, Decca, 2005.
  14. 團伊玖磨, オペラ 夕鶴 ピアノ.ヴォ一カルスコア 藥譜, 全音藥譜出版社, 1998(12).
  15. 이강숙, 김춘미, 민경찬, 한국문화예술총서 우리양악 100년, 현암사, 2001.
  16. 增井 敬二 著, 日本オペラ史- 1952 上, 昭和音樂大學オペラ硏究所 編, 水曜社, 2003.
  17. 김호연, 韓國 近代 樂劇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박사학위 논문, 2003.
  18. 김정희, 한국 창작오페라의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9. 현제명 작곡, 이서구 대본, 춘향전, 을유문화사, 1958.
  20. 한상우, 한국오페라 50년사, 세종출판사, 1998.
  21. 關根 礼子 著, 日本オペラ史 1953 - 下, 昭和音樂大學オペラ硏究所 編, 水曜社, 2011.
  22. 손수연, "한국창작오페라 조명하기," 월간 음악저널, Vol.264, 2011(12).
  23. http://www.daion.ac.jp/anniversary/kinen/detail.php?no=Mjgz
  24. 昭和音樂大學オペラ硏究所, 日本のオペラ年鑑 2014, 昭和音樂大學オペラ硏究所, 2015.
  25. http://www.nntt.jac.go.jp/english
  26. http://www.arko.or.kr
  27. 정은영, 최현주, "공연예술 콘텐츠로서 무용에 나타나는 설화의 수용양상과 의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3, pp.122-138, 2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