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Review of Industrial Security Concepts

산업보안 개념의 비판적 고찰

  • 이창무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 Received : 2017.02.17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Industrial security research has shown a rapid increase over the past decad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dustrial Security in 2008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s of industrial security in recent years, academic interests and research on industrial security are also spreading at a rapid pace. Although academic interest and research have grown in quantitative terms, research on theoretical fields that are the basis of academic systematization is extremely limited. There is a focus on the issue of specific issues and practical solutions without worrying about the theoretical basis including conceptualization. Therefore, in most studies, the concept of industrial security remains at the level of accepting the concept applied in the previous research. Most industrial security research focuses on the specific topic of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because it considers the concept of industrial security to be reduced to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lthough industrial security is composed of a wide range of fields, recognizing a specific field as an entirety of industrial security appears to be a serious problem. As a result, the concept of industrial security in industrial security research is being used ambiguously, incorrectly, and conveniently.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and recognize the concept of industrial security based on logical clarity and empirical feasibility.

산업보안 관련 연구는 지난 10여 년 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보안 관련 학회가 만들어지고, 대학에 산업보안학과가 신설되면서 산업보안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연구 또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학문적 관심과 연구가 양적으로 크게 성장한 반면에 학문적 체계화의 기초가 되는 이론 분야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개념화를 비롯한 이론적 바탕에 대한 고민 없이 특정 현안에 대한 문제 제기와 실무적인 해결 방안 제시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있는 형편이다. 때문에 대부분 연구에서 산업보안 개념은 선행연구에서 적용한 개념을 그대로 수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산업보안 연구 대부분이 '산업기술보호'라는 특정 주제로 집중된 이유가 산업보안 개념을 산업기술보호로 축소해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보안은 매우 다양한 영역과 분야로 이뤄져 있음에도 특정 분야를 산업보안의 전부로 인식하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로 인해 산업보안 연구에서 산업보안 개념은 모호하고 부정확하고 편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산업보안 개념을 논리적 명확성과 경험적 타당성에 근거하여 정확하고 히 인식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영.이환수 (2015). 산업보안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융복합 교육 방안, 한국산업보안연구, 5권 2호, 85-116.
  2. 고준철.김태수.주용마.김우현.강경식 (2010). 산업보안 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자산 및 위험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2권 4호, 1-11.
  3. 국가정보원 (1999). 산업보안실무, 국가정보대학원.
  4. 김금종.조성구.김동제 (2014). 산업보안 민간조사원의 직무 모델, 한국산업보안연구, 4권 2호, 175-203.
  5. 김문선.전대성.남경현.김규로.한찬명 (2013). 산업보안 역량 수준평가 및 개선방안, 품질경영학회지, 41권 4호, 649-657. https://doi.org/10.7469/JKSQM.2013.41.4.649
  6. 김창호.유재환 (2015). 산업보안 지원 정책 결정의 우선순위,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2호, 155-178.
  7. 김현동.이영일. (2014). SNS시대의 테러리즘 변화에 따른 산업보안 발전방안, 한국테러학회보, 7권 4호, 81-103.
  8. 김형근.안상희 (2014). 산업보안 교육훈련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환경 설계 방안, 한국산업보안연구, 4권 2호, 241-261.
  9. 남재성 (2012).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범죄 피해실태와 대책: 법.제도적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46호, 43-75.
  10. 노민선.이삼열 (2010). 중소기업의 산업보안 역량에 대한 영향요인 평가, 한국행정학보, 44권 3호, 239-259.
  11. 문훈주.천이수.송봉규 (2014). 일반 국민들의 산업보안 인식에 관한 연구: 산업보안정책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보안연구, 4권 2호, 81-118.
  12. 앤서니 기든스 지음, 김미숙외 옮김 (2009). 현대 사회학, 을유문화사.
  13. 우광제 (2015). 융합보안 관점에서 방위산업보안 개념 정립과 연구동향 분석, 융합보안논문지, 15권 6호, 69-78.
  14. 이장국 (2007). 안전에 대한 용어적 및 어원적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2권 2호, 28-35.
  15. 이창무 (2011). 산업보안의 개념적 정의에 관한 고찰, 산업보안연구학회지, 2권 1호, 73-90.
  16. 이창무.김민지 (2013). 산업보안이론, 법문사.
  17. 이하섭.조현빈 (2012). 민간조사제도를 활용한 산업보안 활동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0호, 199-228.
  18. 임헌욱 (2015). 산업보안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보안 교육방안 고찰, 보안공학연구논문지, 12권 6호, 597-608. https://doi.org/10.14257/jse.2015.12.03
  19. 정덕영.정병수 (2010). 대학내 산업보안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권 5호, 314-324. https://doi.org/10.5392/JKCA.2010.10.5.314
  20. 정병수.류상일.김화수 (2012). 산업보안의 연구경향 분석: 학술연구정보서비스(2000년-2011년)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9권 2호, 195-215.
  21. 정성배.박준석.최영호 (2015). 산업보안관리활동이 기업의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 14권 4호, 521-538.
  22. 조용순 (2014).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제도 발전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0호, 175-207.
  23. 최선태 (2010). 산업보안 전문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12권 4호, 221-255.
  24. 최순호.정우일 (2009). 경찰의 산업보안 활성화 방안, 한국경찰학회보, 11권 1호, 227-252.
  25. 최영호 (2015).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산업보안정책 준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17권 6호, 343-366.
  26. 황윤희.정호준.유진호 (2015). 다면평가제도의 산업보안 분야에 대한 활용방안과 효과성분석, 한국산업보안연구, 5권 2호, 117-140.
  27. Cunningham, William C. & Todd H. Taylor. 1985. Private Security and Police in America, Boston: Butterworth-Heinemann.
  28. Edmonson, A. C. and S. E. McManus (2007). Methodological Fit in Management Field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32, No. 4, 1155-1179. https://doi.org/10.5465/AMR.2007.26586086
  29. Fennelly, Lawrence J. (1999). Handbook of Loss Prevention and Crime Prevention, Boston: Butterworth-Heinemann.
  30. Firesmith, Donald G. (2003). Common Concepts Underlying Safety, Security, and Survivability Engineering, Pittsburgh, PA: Carnegie Mellon University.
  31. Turner, Jonathan. (1974). The Structure of Sociology Theory, Homewood, IL: Dors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