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regressive Cross-Lagged Analysi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ecurity Employees - Utilization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

보안업 종사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관한 자기회귀교차지연 분석 - 한국노동패널자료의 활용 -

  • 김우진 (텍사스 주립대학교(UTRGV) 체육학과)
  • Received : 2017.02.09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security related workers. For this purpose,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were classified into security employe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20.0,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before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time t-1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time t, and that job satisfaction at time t-1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t time 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2)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lso significant 3) The cross-lagged coefficients show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precedes job satisfaction and serves as a predictor

본 연구는 보안관련 종사자를 중심으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관한 종단적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자료에서 경비, 경호, 보안서비스, 경찰, 교도관 종사자를 분류한 뒤 자기회귀교차지연 분석을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과 AMOS 20.0을 이용하였으며, 가설 검정 전에 타당도 검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t-1 시점의 조직몰입이 t 시점의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t-1 시점의 직무만족이 t 시점의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교차회귀계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1차년 조직몰입 ${\rightarrow}$ 2차년 직무만족, 2차년 조직몰입 ${\rightarrow}$ 3차년 직무만족),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교차회귀계수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2차년 직무만족 ${\rightarrow}$ 3차년 조직몰입). 교차회귀계수를 종합해 봤을 때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선행하며, 예측변인으로 작용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선후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남, 안영수 (2007). 정부기관 항공전문인력의 조직몰입 특성과 직무만족에 대한연구-해양경찰청 항공인력을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 63-69.
  2. 김근혜, 유성모 (2014).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뇌교육연구, 14, 75-104.
  3. 김미선, 박성수 (2015). 여성교정공무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교정연구, 66, 145-168.
  4. 김민석, 짐종백, 김정모, 신정택 (2015). 스포츠 센터 관리자의 경쟁가치 리더십이 조직원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0(4), 249-262.
  5.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6. 김영호, 류은영, 이경호, 서영석 (2010). 한국 중앙행정기관의 조직구조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분석-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정책과학회, 14(4), 317-341.
  7.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으로 논문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8. 김진환, 김상진 (2016). 군 경호.경찰직 요원의 안전욕구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보안학회, 16(3), 65-74.
  9. 김창호, 염대관 (2016). 경호원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특성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경호경비학회, 47, 63-84.
  10. 김창호, 이영석, 김평수 (2005). 민간경비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경비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10, 53-77.
  11. 박영주 (2008). 수사경찰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15, 147-171.
  12. 박준석, 정성숙 (2005). 경호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10, 127-171.
  13. 방하남, 김상욱 (2009).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결정요인과 구조분석. 한국사회학, 43(1), 56-88.
  14. 배두열, 김일곤 (2011). 민간경비업자의 사회적 책임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융합보안학회, 11(5), 53-63.
  15.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출판사.
  16. 윤해옥, 최효식 (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97, 1-27.
  17. 이동영, 김현정 (2013). 경찰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간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경찰관을 대상으로. 한국경찰학회, 41, 93-121.
  18. 이정욱, 김진모 (2012).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직무성과와 자기효능감, 개인창의성 및 조직몰입의 인과적 관계. 산업교육연구, 24, 21-48.
  19. 임동호 (2012).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교육회, 12,(3), 21-38.
  20. 임창호 (2016). 경찰관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찰승진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61, 55-88.
  21. 정은영, 류소연 (2016). 병원 종사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2), 227-237.
  22. 정재휘, 이선주, 송영주 (2015). 국내 대기업 팀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지각된 팀장 감성역량의 조절효과. 학습과학연구, 9(2), 96-119.
  23. 정철우, 최낙범 (2014). 직무만족 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찰조직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13(2), 369-392.
  24.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19(1), 161-177.
  25. 홍세희, 박민선, 김원정 (2007). 인터넷 중독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 검증: 성별 간 다집단 분석. 교육심리연구, 21(1), 129-143.
  26. Brayfidd, A. H., & Rothe, H. F. (1951).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35, 307-311. https://doi.org/10.1037/h0055617
  27. Freedman, D. A. (1987). As others see us: a case study in path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and Behavioral Statistics, 20(12), 101-128.
  28. Kandauda, A. S., Tae Kyoung, L. Catherine, W. O., & Frederick O. L.(2016). Higher-Order Growth Curves and Mixture Modeling with Mplus. A Practical Guide. Routledge: New York.
  29. Poter, L. W., Steers, R. M., Mowday, R. T., & Boulian, P. V.(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 603-609. https://doi.org/10.1037/h0037335
  30. Smith, P. C. (1992). In Pursuit of Happiness: Why Study General Job Satisfaction?, In Cranny, J., Smith, P. and Stone, E. P.(Eds.), Job Satisfaction: How People Feel about Their Jobs and How It Affects Their Performance. New York: Lexington Books, 5-19.
  31. Steers, R. M., & Porter, L. W. (1997).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e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New York: McGRAW-Hill, 4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