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it of interpreting 'security service' in current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direction of legislating and revising private security industry

현행 「경비업법」상 경비개념과 경비업무 해석의 한계 및 민간보안산업 관련 입법의 제·개정 방향

  • 최은하 (제주국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김나리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유영재 (중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7.02.05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Security Act has been partially revised many times since it was revised to "Security Service Act". Main contents of such revision consist of the addition of security work such as protection or special security, responsibility enforcement of security company or security guard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security service based on security work of previous security service act. But, it needs to be checked out that the fundamental matter about the concept of 'security' is directly related as double-edged sword in such flow of legal revision. That is because security service satisfies the multiple needs for security in the modern risky society and is based on the concept of active management whose goal is to forster and develop the function of actual security service comparing that current "Security Service Act" regulates the formal security service whose goal is permission of security service and systematic management based on article 2 as previous facilities and manned security that is guard duty-centered security service in another respect. So, this study pointed out the limit of interpreting security and security service in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in respect of providing private security service and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legislation and efforts are required for 'security for citizen' by reinterpreting the legislation and revision of private security service-related law as the normal regulation of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the special law of "Privat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경비업법은 1976년 "용역경비업법"으로 제정된 이래 수많은 일부개정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개정작업의 주된 내용은 기존의 용역경비업의 경비업무를 기초로 신변보호 업무나 특수경비와 같은 경비업무의 추가, 경비업자 또는 경비원의 책임 강화 및 경비업의 체계적 관리를 다루는 규정이 그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법률개정의 흐름에는 '경비' 개념에 대한 본질적 문제가 양날의 칼처럼 직결되어 있음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일면, 현행 "경비업법"은 기존의 시설 인력경비 즉, Guard duty 중심의 경비서비스로 제2조의 경비업무를 근간으로 하여 경비업의 허가와 그 체계적 관리를 대상으로 하는 형식적 경비업을 규정하고 있음에 비해, 또 다른 관점에서 경비업은 보안(security)산업의 일종으로 현대의 위험사회에서 다원화된 보안욕구를 실현하고, 실질적 경비업의 기능을 육성과 발전의 대상으로 하는 적극적 경영 개념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보안서비스 제공의 관점에서 "경비업법"상의 경비 및 경비업무의 해석에 대한 한계를 지적하고, "민간보안산업법"으로서 "경비업법"의 일반 법규성과 특별법으로서 민간보안서비스 관련 법률의 제 개정 작업을 재조명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입법의 제 개정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민보안'의 시대에 걸맞는 입법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완 (2008). 뉴테러리즘의 민간시큐리티 연계와 발전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7, 1-13.
  2. 공배완 (2008). 시큐리티의 학문적 지향성과 시큐리티 산업의 시장 지향성- 한국 시큐리티의 발전현황을 중심으로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7, 15-31.
  3. 김태민 (2013). 민간경비산업의 실효적 법개정사안,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0권 제1호, 123-144.
  4. 김태민.신상민 (2016). 보안산업 육성을 위한 법률 제명 개정에 관한 논의 : 경비업법의 개정, 융합보안논문지, 16(1), 3-12.
  5. 김태환 (2010). 우리나라 교통유도경비 도입방안의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3, 21-39.
  6. 박장규.김남중 (2013). 한국 신변보호업의 발전과정과 개선방안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13(2), 33-43.
  7. 박주현.최정택 (2008). 민간경비업에 대한 규제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5(1), 87-105.
  8. 박준석 (2008). 한국 민간경비 시장의 과제와 활성화 도입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5, 173-198.
  9. 박형식 (2013). 개정 경비업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 논문지, 13(5), 129-135.
  10. 서진석 (2011). 우리나라 시큐리티산업의 정책 방향 : 경비업법 개정 과정 분석을 통하여, 융합보안논문지, 11(5), 41-51.
  11. 손찬호 (2007). 지역경찰 방범활동에 있어서 민간경비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 활성화를 중심으로 -, 치안정책연구소 책임연구보고서 2007-27.
  12. 송수복 (2014). 경비업법상 경비업의 직무범위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 28(2), 259-290.
  13. 신현주.김주찬, 민간경비산업 관련 규제의 주요 쟁점과 자율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2권 제2호, 2015. 8, 207-224면.
  14. 신형석.이기세 (2013). 개정 경비업법의 규제수단강화와 그 정책적 함의, 아주법학, 7(3), 103-129.
  15. 안황권.김일곤 (2010). 교통유도경비 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7(3), 43-63.
  16. 안황권.최경철 (2016). 경비업법령의 문제와 개정방향, 융합보안 논문지, 16(1), 39-48.
  17. 이상원.이승철 (2010). 한국의 교통유도경비 도입방안 -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5, 147-164.
  18. 이상철.이민형 (2011). 경비업법상 윤리적 요소와 경호윤리 법제화 방향에 관한 논의, 한국치안행정논집, 8(3), 71-89.
  19. 이상훈 (2013). 개정 경비업법의 평가와 정책과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6, 349-386.
  20. 이종환.이민형 (2011). 경비업법 제7조 제1항 관리권 범위에 대한 법적 해석, 한국경호경비학회, 26, 59-87.
  21. 이창무 (2010). '민간경비' 용어의 수정 필요성에 관한 고찰,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9(1), 203-226.
  22. 이창무 (2011). 산업보안의 개념적 정의에 관한 고찰, 한국산업보안연구, 2(1), 73-90.
  23. Berger, David L, (1999). Industrial Security, 2nd ed., Woburn, MA: Butterworth-Heinemann.
  24. Hannon, Leo F., JD. (1992). The Legal Side of Priavate Security., Westport, CT: Quorum Books.
  25. Nemeth, Charles P. (1989). Private Security and the Law. Cincinnati, OH: Anderson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