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marriage migran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학령기 자녀가 있는 결혼이민자 여성의 생활만족도 예측 변인

  • Sung, Miai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Choi, Yeojean (Dept. of Consumer and Family Sciences, Sungkyunkwan University)
  •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
  • 최여진 (성균관대학교 소비자 가족학과)
  • Received : 2016.12.01
  • Accepted : 2017.02.16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migran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we draw data from the 2015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NSMF). The target group was marriage migrant wives who were in a first marriage and had school-aged children (N=3,004). We used OLS regression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the target group's life satisfaction with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rriage migran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had maintained their marriage for at least 14 year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both their spouses and their children. Also,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pouse's child care roles. They did not support the multi-cultural policy of assimilation. Their Korean proficiency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More than half had jobs and had not attended a parent meeting. Second, althoug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everyday lives, thei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were less than that of migrant wives with children below 5 years of age. Third, all variables explained 38.8% of the life satisfaction experienced by marriage migran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s,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of spouse's child care role, monthly family income, 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 experience attending a parents meeting, and Korean proficienc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ife satisfaction of this target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can provide certain implications for family life education and policy within a multi-cultural society.

Keywords

References

  1. 고은미(2009). 학교 가정 통신문을 활용한 여성결혼 이민자 대상 독해 자료 구성 방안 연구. 국어문학, 46, 5-32.
  2. 공은화.신유경(2016). 다문화가정 여성의 생활만족도 관련 변인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756-76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756
  3. 권복순.차보현(2006).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8(3), 109-134.
  4. 김경미(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 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5(2), 185-208.
  5. 김경미(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인터넷 이용과 한국사회 적응. 정보사회와 미디어, 25, 1-27.
  6. 김연수.박지영(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0, 269-297.
  7. 김은경(2008). 중소도시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83-94.
  8. 김은경(2010). 경남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 상호작용이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12.
  9. 김이선.민무숙.김경미.주유선(2011).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 김진희.박옥임(2008).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결혼이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 비교: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8(1), 127-160.
  11. 김현숙.김희재.오중환(2011).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27-51.
  12. 김현실(2011).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20(2), 188-198.
  13. 김희경(2010).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 유형분석. 여성연구, 78, 119-158.
  14. 남부현.김옥남(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 -수도권의 고학력여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113-142.
  15. 남부현.오정아(2013).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임신과 출산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131-154.
  16. 문선숙.김창희.심미경(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및 도움요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3(1), 101-112.
  17. 박미정.엄명용(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1-26.
  18. 박재규(2009). 국제결혼 여성이민자 및 남편의 가족생활 적응 연구: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26, 137-163.
  19. 박정숙.박옥임.김진희(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0.
  20. 배경희(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41, 33-54.
  21. 법무부(2008).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07년 11월 호).
  22. 법무부(2016).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6년 11월 호).
  23. 서홍란.김기언.김양호(2008). 베트남 여성결혼 이민자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121-143.
  24. 설동훈.이계승(2011). 여성 결혼이민자 부부의 결혼 만족도와 이혼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지역사회학, 13(1), 117-147.
  25. 설동훈.이혜경.조성남(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 조사 및 중장기 지원 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6. 성미애(1999). 남성 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후 적응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성미애(2011).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한 미 비교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63-81.
  28. 성미애(2015). 핏줄 의식과 댜문화 사회
  29. 최연실 외(2015). 한국가족을 말하다, 서울: 하우출판사
  30. 성미애.최여진(2015). 학령기 자녀와 함께 사는 분거 가족 기혼 여성의 스트레스 관련 변인 고찰. 가족과 문화, 27(4), 89-111.
  31. 성상환.한광훈(2011). 도서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언어문화 실태 조사 연구. 교육문화연구, 17(3), 227-249.
  32. 송선화.안효자(2011).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양육경험. 정신간호학회지, 20(2), 167-179.
  33. 양성은.이미영(2011). 도서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이해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17(3), 251-284.
  34. 양순미(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3), 223-252.
  35. 양순미(2010).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사회참여활동 태도가 미치는 효과. 농촌사회, 20(1), 233-263.
  36. 양현아(2013). 가족 안으로 들어온 한국의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실험. 저스티스, 134(2), 298-335.
  37. 여성가족부(2016). 2015년 다문화가족실태조사.
  38. 원서진.송인욱(2011).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6(2), 95-113.
  39. 이영분.이유경 (2010). 거주지역에 따른 결혼 이민자 여성의 자아분화 및 문화적응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145-157.
  40. 이은주.전미경(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관련 변인 메타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125-141. https://doi.org/10.7466/JKHMA.2013.31.5.125
  41. 이지영(2012).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모스트레스가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7(2), 105-125.
  42. 이호경(2010). 정부의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지원대책 현황과 문제점: 여성이민자가족의 사회통합지원 대책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4(9), 187-207.
  43. 임연옥.윤현숙.황지성(2016). 노인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 부부관계와 자녀관계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 1-28.
  44. 임혁(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189-221.
  45. 장경섭.진미정.성미애.이재림(2013).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한국 가족주의에 대한 진단과 정책적 함의.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6. 장은애.최영(2010).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정체성 유형과 생활만족도. 사회과학연구, 26(3), 1-25.
  47. 전경옥(2007). 젠더 관점에서 본 다문화 사회의 사회통합. 아시아여성연구, 46(1), 7-42.
  48. 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 교육지원이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9(3), 161-186.
  49. 정기선.한지은(2009).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한국인구학, 32(2), 87-114.
  50. 정주연(2008). 베트남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회복지학생연구논총, 1, 228-262.
  51. 정주원.조소연(2016). 여성결혼이민자 부부의 문화 및 언어수용태도와 사회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2), 185-197. https://doi.org/10.7856/kjcls.2016.27.2.185
  52. 주애란(2011). 맞벌이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2), 221-229. https://doi.org/10.5807/kjohn.2011.20.2.221
  53. 통계청(2016). 2015년 연간 가계동향.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4/3/index.board?bmode=read&bSeq=&aSeq=351677&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54. 함진옥.조인주(2012). 전북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및 심리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4(3), 65-97.
  55. 행정자치부(2015). 2013년 외국인 주민 현황.
  56. 허철행.임경숙(2012). 다문화가정의 결혼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부산광역시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5(4), 201-228.
  57. OECD.(2013a). 웰빙의 측정 2013.
  58. OECD.(2013b). 주관적 웰빙 측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59. Amit, K.(2010).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immigrants from Western countries and from the FSU in Israel. Social Indicators Research, 96(3), 515-534. https://doi.org/10.1007/s11205-009-9490-1
  60. Buetell, N.(2006). Life satisfaction, a sloan work and family encyclopedia entry. In Sloan work-family encyclopedia (pp. 1125-1127). Boston, MA: Boston College. http://workfamily.sas.upenn.edu/glossary/l/life-satisfaction-definition.
  61.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Russell Sage Foundation: NY.
  62. Diener, Ed.(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63. Jan, M. & Masood, T.(2008). A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among women. Studies on Home and Community, 2(1), 33-42. https://doi.org/10.1080/09737189.2008.11885250
  64. Liebkind, K.(1996). Acculturation and stres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7(2), 161-179. https://doi.org/10.1177/0022022196272002
  65. Mace, D. & Mace, V.(1976). Marriage enrichment: A preventive group approach for couple. In D. H. Olson(Ed), Treating relationship. Lake Mille, lowa: Graphic Publishing Company, 321-338.
  66. Marks, S. R.(1977). Multiple roles and role strain: some note on human energy, time and commit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2(4): 921-936. https://doi.org/10.2307/2094577
  67. Pavot, W. & Diener, Ed.(1993).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5(2), 164-172. https://doi.org/10.1037/1040-3590.5.2.164
  68. Sung, M. & Byun, J.(2013). Factors associated with marital conflict for baby boomer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4(1), 103-113. https://doi.org/10.6115/ijhe.2013.14.1.103
  69. Sung, M., Chin, M., Lee, J. & Lee, S.(2013). Ethnic variations i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life satisfaction of migrant wives in South Korea. Family Relations, 62(1), 226-240. https://doi.org/10.1111/j.1741-3729.2012.00753.x
  70. Ward, C. & Ranm-Deuba, A.(1999).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revisited.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0, 422-442. https://doi.org/10.1177/0022022199030004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