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 Household : Comparing Single to Married Household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연구 : 미혼과 기혼 비교를 중심으로

  • 서명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김영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이현옥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6.12.02
  • Accepted : 2016.12.20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single household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of having been married or not, and thereby to suggest an alternative policy which differenciate single households with their exposure to married life from those without their exposure to married life. The analyzed data is based on social statistics in 2015 of the Statistics Korea, with 4,406 people, over 30, who are either never married singles or married but divorced or bereaved singles. Finding are,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between unmarried single households and married, and unmarried single households are more prepared than married ones. Second,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single households was higher than married ones. Third, the effects of th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were shown from both groups, and married single households were more sensitive to the effect of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혼과 기혼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의 미혼과 기혼의 차별화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 자료는 통계청의 2015년 사회조사 자료로 30세 이상의 1인 가구이며, 미혼, 기혼(이혼, 사별)인 4,4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제적 노후준비는 미혼과 기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기혼보다 미혼이 경제적 노후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만족도는 기혼에 비해 미혼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혼과 기혼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미혼, 기혼 모두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기혼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시도편(2010-2035), 2012.
  2.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5.
  3. 현대경제연구원,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시사점, 2015.
  4. 한혜진, 정순희,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 준비에 대한 연구," 한국FP학회, 제6권, 제2호, pp.35-62, 2013.
  5. 최혜련,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 참여가 노후준비도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6. 보험연구원, 보험소비자설문조사결과, 2010, 2015
  7. 한국사회보건연구원, 복지정책 수요조사 및 분석 보고서, 2015.
  8. S. Stack and J. R. Eshleman, "Marital Status and Happiness: A 17-Nation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0, No.2, pp.527-536, 1998. https://doi.org/10.2307/353867
  9. M. Stock and W. A. Okun, "Marital Status and Subjective Well-Being: A Research Synthe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7, No.4, pp.947-953, 1985. https://doi.org/10.2307/352338
  10. 강은택, 강정구, 마강래, "1인 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미혼 1인 가구와 기혼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1호, pp.3-23, 2016.
  11. 이선형, 최은희,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예비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4권, 제4호, pp.193-212, 2010.
  12. 한혜진, 오은주, 정순희, "1인 가구의 주관적 경제 인식 및 경제적 노후준비와 재정만족도 관계 연구," 한국FP학회, 제7권, 제1호, pp.173-198, 2014.
  13. 이윤정, 김순미, "남녀 노인독신가구의 경제상태와 소비지출의 영향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제42 권, 제12호, pp.93-106, 2004.
  14. 정운영, 정세은, "1인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연구-저소득가구와 고소득가구의 비교,"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119-1134, 2011.
  15.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275-297, 2008.
  16. 심영, "독신가구의 경제생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0권, 제6호, pp.197-208, 2002.
  17. 최옥금, "노인가구의 소비지출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1권, pp.277-296, 2011.
  18. 김시월, 윤정혜, 조향숙, 이정화,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23권, 제4호, pp.301-339, 2012.
  19. 김옥연, 문영기, "1인 가구 주거실태 분석: 서울시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주거환경학회지, 제7권, 제2호, pp.37-53, 2009.
  20. 신미림, 남진, "서울시 1인 가구의 주택수요 예측," 국토계획, 제46권, 제4호, pp.131-145, 2011.
  21. 신상영, 서울의 1인 가구 주거현황과 정책과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1.
  22. 한지희, 정소이, 박준영, "1인 가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거실태 분석-2010 인구주택총조사를 바탕으로,"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31권, 제2호, pp.161-162, 2011.
  23. 반정호,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변화," 월간노동리뷰, 통권 85호, pp.55-67, 2012.
  24. 김혜영, 선보영, 진미정, 사공은회, 비혼 1인 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연구보고서, pp.2-314, 2007.
  25. 변미리, 신상영, 조권중, "1인 가구, 서울을 변화 시킨다," SDI 정책리포트, 제30호, pp.1-18, 2009.
  26. 전귀연, 배문조, "성인기의 노후준비의식과 노후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3-24, 2010.
  27. 김수현, 직장인들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공주시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8. 차경욱, "남성 일인가구의 경제구조 분석-연령 및 혼인상태에 따른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pp.253-269, 2006.
  29. 김남희, 최수일, "여성 노인의 신체적.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11호, pp.241-252, 2011.
  30. 김희주, 주경희,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권, pp.125-158, 2008.
  31.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제24권, 제3호, pp.13-29, 2004.
  32. 하춘광, "공적연금수급노인과 일반노인의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비교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pp.1-21, 2007.
  33. 강현정, 김윤정, "여성노인의 가구유형 및 빈곤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지, 제20권, 제1호, pp.71-80, 2009.
  34. 임연옥, 박재연, 윤현숙,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노부모세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학회, 비판사회정책, 제33권, pp.7-44, 2011.
  35. 이민아, 김지범, 강정한, "동거형태와 한국노인의 삶의 질 만족도," 보건과 사회과학, 제29권, 한국보건사회학회, pp.41-67, 2011.
  36. R. E. Lucas, "Time Does Not Heal All Wounds: A Longitudinal Study of Reaction and Adaptation to Divorce," Psychlolgical Science, Vol.16, No.12, pp.945-950, 2005. https://doi.org/10.1111/j.1467-9280.2005.01642.x
  37. D. C. Myers, "Close Relationships and Quality of Life. In Kahneman. D. Diener. E. & Schwarz, N.(Eds). Well-being: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pp.374-391, 2005.
  38. H. J. Andress and M. Brocke, "Income and life statisfaction after marital disruption in Germany," Jourm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9, pp.500-512, 2007.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7.00379.x
  39. 김수완, "결혼해체 이후 삶의 변화: 경제적 상태와 생활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여성학, 제26권, 제1호, pp.35-67, 2010.
  40. 통계청, 사회조사결과 보도자료, 2015.
  41. 한겨레, "520만 1인 가구 절반이 신빈곤층," 2016.9.28.
  42. 이승신,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5권, 제4호, pp.44-61, 2012.
  43. 모흠, 사회적관계망이 중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4. 박미경, 사회적관계망의 긍정과 부정적기능에 따른 저소득층 여성 한부모의 우울감 및 생활만족도,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