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crepancies Between Public Perceptions and Epidemiological Facts Regarding Cancer Survival Rate in Korea : An Online Survey

암 생존율에 대한 한국 대중의 인식과 역학적 사실 사이에서 발생하는 불일치 : 온라인 설문을 중심으로

  • 김재우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강정규 (청주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김성호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16.10.06
  • Accepted : 2016.12.15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which factors affect the public perceptions of the survival rate of cancer.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s the public perception for 5-year survival rates of five major cancer(stomach, colorectal, liver, breast, uterine cervix) and actual epidemiological fact thereof. Data was collected from 19th to 24th April 2016 through online cross-sectional survey on 354 peopl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istograms were presented for the comparison with the epidemiological fac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ubjects tended to aware the survival rates of stomach cancer, colorectal cancer, breast cancer, and uterine cervix cancer as lower than they epidemiologically represented. Finally, the factors that substantially affect the perception of 5-year survival rates were revealed as the experience of diagnosed as cancer, the age, and whether the subject regularly involved in a workout.

본 연구의 목적은 5대 암(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중심으로 5대 암에 대한 대중의 5년 생존율 인식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역학적 사실과 비교하고 암 생존율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자료는 2016년 4월 19일부터 24일까지 단면 인터넷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총 354명의 설문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연구대상자의 5년 생존율 인식과 역학적 사실과의 비교를 위한 히스토그램 제시, 연구대상자의 5년 생존율에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의 생존율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역학적 사실보다 낮게, 간암의 생존율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역학적 사실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암 진단유무, 연령, 규칙적인 운동유무가 5년 생존율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M. Hewitt, S. Greenfield, and W. Stovall, From Cancer Patients to Cancer Survivor, National Academies Press, 2006.
  2. N. M. Aziz and J. H. Rowland, "Trends and advances in cancer survivorship research: challenge and opportunity," Seminars in Radiation Oncology, Vol.13, No.3, pp.248-266, 2003. https://doi.org/10.1016/S1053-4296(03)00024-9
  3. President's cancer panel, "A European Dialogue," Bethesda: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4.
  4. R. Borland, N. Donaghue, and D. Hill, "Illness that Australians most feared in 1986 and 1993," Austral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8, No.3, pp.366-369, 1994.
  5. M. E. Burman and C. Weinert, "Rural dwellers' cancer fears and perceptions of cancer treatment," Public Health Nursing, Vol.14, No.5, pp.272-279, 1997. https://doi.org/10.1111/j.1525-1446.1997.tb00375.x
  6. R. J. Donovan, G. Jalleh, and S. C. Jones, "The word 'cancer': reframing the context to reduce anxiety arousal,"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Vol.27, No.3, pp.291-293, 2003. https://doi.org/10.1111/j.1467-842X.2003.tb00397.x
  7. H. Y. Shin, J. Y. Lee, J. H. Song, S. M. Lee, J. H. Lee, B. S. Lim, H. R. Kim, and S. Huh, "Cause-of-death statistics in the Republic of Korea, 2014,"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59, No.3, pp.221-232, 2016. https://doi.org/10.5124/jkma.2016.59.3.221
  8.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301000000
  9. S. Y. Kim, D. W. Shin, H. K. Yong, S. Y. Kim, Y. J. Ko, B. L. Cho, Y. S. Lee, D. H. Lee, K. H. Park, and J. H. Park, "Public Perceptions on Cancer Incidence and Survival: A Nation-wide Survey in Korea,"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48, No.2, pp.775-788, 2015. https://doi.org/10.4143/crt.2014.369
  10. 전인희, 암 진단 고지에 대한 암 환자의 인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1. 조인향, 김분한, "암환자 인식에 관한 연구 -간호사.의사를 중심으로-," 대한종양간호학회, 제1권, 제2호, pp.252-253, 2001.
  12. 이해현, 일부농촌지역주민과 수도권지역 암 전문병원 내원환자의 암에 대한 인식 비교,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3. 최인근, 서희연, 설혜령, 최종권, 성화정, 박경화, 윤소영, 오상철, 서재홍, 최철원, 신상원, 김열홍, 김병수, "고려대학교 학생에서의 '암에 관한 인식도' 설문 조사 연구,"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제6권, 제2호, pp.172-176, 2003.
  14. R. J. Donovan, O. B. J. Carter, and M. J. Byrne, "People's perceptions of cancer survivability: implications for oncologists," The Lancet Oncology, Vol.7, No.8, pp.668-675, 2006. https://doi.org/10.1016/S1470-2045(06)70794-X
  15. 대한간학회, 한국인 간질환 백서, 도서출판 진기획, 2013.
  16. G. C. Harewood, M. J. Wiersema, and L. J. Melton, "A prospective, controlled assessment of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of screening colonoscopy,"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97, No.12, pp.3168-3194, 2002.
  17. D. N. Perlman, M. A. Clarke, W. Rakowski, and B. Ehrich, "Screening for breast and cervical cancer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nd perceived cancer survivability," Women & Health, Vol.28, No.4, pp.93-112, 1999. https://doi.org/10.1300/J013v28n04_06
  18. 양아기, "대학생의 암 예방 건강행위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 제22권, 제1호, pp.59-68, 2015. https://doi.org/10.7739/jkafn.2015.22.1.59
  19. 노현승, 암 가족력이 개인의 예방적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