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상경, & 권태현. (2008). 사회경제적 지위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생애주기별 차이에 대한 탐색적 고찰.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0, 332-355.
- 고정은, & 이선혜. (2012). 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322-351.
- 고현남. 이삼순, & 한희자. (2001). 농어촌지역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지, 10(4), 645-655.
- 김경준, & 김성수.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연구, 23(2), 211-232.
- 김동배, & 손의성. (2005).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25(4), 167-187.
- 김백수 & 이정화. (2013). 귀농인의 결혼만족도와 마을 공동체의식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7, 361-382.
- 김수현. (2013). 노인의 자원봉사 참여가 신체적 건강, 우울, 사회적지지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3(1), 53-66.
- 김순안. (2012). 가족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농촌노인의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19(3), 581-616.
- 김윤희, & 조영태. (2008). 지역특성이 취약집단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구학, 31(1), 5-30.
- 김형수. (2000). 노인과 자살. 노인복지연구, 10, 24-44.
- 민주홍, & 최희정. (2015). 배우자 사별과 우울감의 관계에 있어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4), 67-82. https://doi.org/10.7466/JKHMA.2015.33.4.67
- 박경순, 박영란, & 염유식. (2015). 성인자녀와의 사회적 지원 교환이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68, 273-301.
- 박미진. (2010). 빈곤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0(3), 895-910.
- 박봉길. (2008).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우울감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8(4), 969-989.
- 박영란, 박경순, & 정은화. (2014).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부정성이 농촌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2), 151-177.
- 박재규, & 이정림. (2010).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9, 99-128.
- 박현석, 등정영작, 이차임, 오정은, 홍성호, & 조주연. (2006). 노인 환자에서 다양한 단축형 노인우울척도의 비교. 가정의학회지, 27(5), 364-369.
- 배은석, & 박해긍. (2016).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공동체의 식이 지역사회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 지역주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8, 173-199.
- 보건복지부. (2016). 2016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세종:보건복지부.
- 서인균, & 이연실. (2015). 지역사회환경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69, 383-415.
- 성희자 & 이강형. (2013). 농촌지역 주민의 사회참여와 공동체의식이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315-332.
- 송미령, 김은경, & 유수정. (2010). 재가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심노인과 정상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4, 61-80.
- 송인욱, & 원서진. (2013). 지역간 비교를 통한 중고령자의 생산적 활동과 우울의 관계: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5, 305-324.
- 신영선. (2012). 농촌마을 주민 공동체의식 연구: 공동체 의식 측정항목 도출 및 형성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예상권, 박희정, & 장희정. (2011). 슬로시티 지역주민의 애착도와 공동체의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관광연구, 18(1), 1-26.
- 오민아, & 조혜영. (2017).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연구: 성취가치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1), 125-137. https://doi.org/10.7466/JKHMA.2017.35.1.125
- 오영은, & 이정화. (2012). 사회적관계망 크기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이 단독가구 농촌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555-580.
- 오인근, 오영삼, & 김명일. (2009). 여성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증진행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1), 113-136.
- 윤정원, & 엄기욱. (2015). 여성노인의 긍정적 사회관계망 기능이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노인복지연구, 69, 171-192.
- 이묘숙. (2012).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3), 231-259.
- 이미숙. (2010). 도시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7, 5-30.
- 이미애. (2011).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요인과 가족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4), 623-635. https://doi.org/10.7856/kjcls.2011.22.4.623
- 이보람, & 이정화. (2015). 가족유대감이 농촌 노인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마을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4(6), 795-809. https://doi.org/10.5934/kjhe.2015.24.6.795
- 이선혜, & 고정은. (2009). 노인의 우울증상 식별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9(2), 529-546.
- 이승원, 김동배, & 이주연. (2008).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 12(1), 107-125.
- 이정화. (2015). 농촌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정신건강: 우울과 자살생각을 중심으로.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5 춘계학술대회(농촌주민의 생활 안전과 예방), 농촌진흥청, 전주.
- 이평숙, 이영미, 임지영, 황라일, & 박은영. (2004).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2(3), 477-484.
- 이현경, 조성혜, 김정희, 김윤경, & 추향임. (2014). 농촌지역 중년과 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44(6), 608-616. https://doi.org/10.4040/jkan.2014.44.6.608
- 임광명. (2016).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택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3(2), 157-167.
- 임광명 & 박덕병. (2015).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 유형별 학교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 특성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4), 53-72.
- 장수지, 김수영, & 문경주. (2015). 노년기 사회통합의 가능성: 사회참여와 사회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지역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2, 1-29.
- 장희선, & 김윤정. (2010). 도서지역 여성독거노인의 신체적 건강, 경제상태, 사회적 관계의 실태에 관한 연구. 농촌 지도와 개발, 17(2), 233-259.
- 전병주, & 최은영. (2014). 노인의 사회적 배제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관계망의 완충효과: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16(3), 237-274.
- 전지훈, & 정문기. (2017). 공동체 인삭과 행복의 영향관계 분석: 충청남도 마을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9(1), 137-166.
- 정선기, 송두범, & 임현정. (2015). 마을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 관계 분석. 지역사회연구, 23(4), 103-122.
- 정영미. (2007).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7(1), 71-86.
- 조윤득, & 윤은경. (2015). 독거노인의 우울.불안감과 사회참여와의 관계에 미치는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0, 223-244.
- 최문형, & 정문기. (2015).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9(2), 273-306.
- 최선미, & 홍준형. (2017). 도시와 농촌 노인들의 자살 영향요인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도시와 농촌의 차이에 따른 정책대안 설계. 정부학연구, 23(2), 321-366.
- 최성재, & 장인협. (2002). 노인복지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최영. (2008).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103-123.
- 최예나, & 김이수. (2015). 사회적자본과 주민행복간 관계에 관한 연구: 공동체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4), 53-78.
- 최은정. (1999). 사회적 관계망, 사회적 지원과 노인의 정신건강 및 신체적 건강. 사회와 문화, 11, 185-203.
- 최정신, & 최윤지. (2016). 농촌 공동생활홈 이용에 따른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 영향 요인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S), 625-634.
- 통계청. (2015). 2015년 생명표. 대전: 통계청.
- 통계청. (2017). 2017 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2017 농업전망.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함철호, & 오혜연. (2010).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8, 229-250.
- 허준수, & 유수현. (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3, 7-35.
- Bergdahl, E., Allard, P., Lundman, B., & Gustafson, Y. (2007). Depression in the eldest in urban and rural municipalities. Ageing and Mental Health, 11(5), 570-578. https://doi.org/10.1080/13607860601086595
- Bread, J. R., Tracy, M., Valhov, D., & Galea, S. (2008). Trajectory and socioeconomic predictors of depression in a prospective study of residents of New York City. Animals of Epidemiology, 18(3), 235-243. https://doi.org/10.1016/j.annepidem.2007.10.004
- Bloom, J. R. (1990).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and health.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0(5), 635-637. https://doi.org/10.1016/0277-9536(90)90162-L
- Dalton, J. H., Elias, M. J., & Wonderman, A. (2007). Community psychology: Linking individuals and community.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 Gattino, S., De Piccoli, N., Fassio, O., & Rollero, C. (2013). Quality of life and sense of community: A study on health and place of residenc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1(7), 811-826. https://doi.org/10.1002/jcop.21575
- House, J. S.,, & Kahn, R. L. (1985). Measures and concepts of social support. In S. Cohen & S. L. Syme (eds.), Social support and health(pp. 83-108), New York, NY: Academic Press.
- Jeon, H. S., & Dunkle, R. E. (2009). Stress and depression among the oldest-Old: A longitudinal analysis. Research on Aging, 31(6): 661-687.
- Kenyon, D. B., & Carter, J. S. (2011). Ethnic identity, sense of commun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orthern plains american indian youth.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9(1), 1-9. https://doi.org/10.1002/jcop.20412
- Lee, G. R. (1979).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family.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1, 27-56.
- Li, Y., Sun, F., & He, X. (2011). Sense of communi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earthquake survivors following the 2008 earthquake in Chengdu China.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9(7), 776-785. https://doi.org/10.1002/jcop.20469
- Lin, N., Ye, X., & Ensel, W. (1999). Social support and depressed mood: A structural analysi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0, 344-359. https://doi.org/10.2307/2676330
- Marsden, P. (1990). Network data and measurement, Annual Review of Sociology, 16, 435-463. https://doi.org/10.1146/annurev.so.16.080190.002251
- M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 Mitchell, J. C. (1969). The concept and use of social networks. In C. Mitchell(Ed.), Social networks in urban situations (pp.1-50).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 Murali, V., & Oyebode, F. (2004). Poverty, social inequality and mental health.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10, 216-224. https://doi.org/10.1192/apt.10.3.216
- OECD. (2015). Ageing: Debate the issues. OECD insights, Paris: OECD Publishing.
- Peterson, N. A., Speer, P. W., & McMillan, D. W. (2008). Validation of a brief sense of community scale: confirmation of the principal theory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6(1), 61-73. https://doi.org/10.1002/jcop.20217
- Sheikh, J. I., Yea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5(1/2), 165-173 https://doi.org/10.1300/J018v05n01_09
- Pretty, G., Bishop, B., Fisher, A., & Sonn, C. (2007).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evance to well-being and everyday life in Australia. The Australian Community Psychologist, 19(2), 6-25.
- Townsend, A., Miller, B., & Guo, S. (2001).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middle-aged and older married couples: A dyadic analysis. Journal of Gerontology, 56, 352-364. https://doi.org/10.1093/geronb/56.6.S352
- Wilson, G., & Baldassare, M. (1996). Overall sense of community in a suburban region: The effects of localism, privacy, and urbanization. Environment and Behavior, 28, 27-43. https://doi.org/10.1177/0013916596281002
Cited by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mpathy Improvement Program for Rural Elderly Women vol.29, pp.4, 2017, https://doi.org/10.7856/kjcls.2018.29.4.521
- 마그마힐링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vol.15, pp.1, 2017, https://doi.org/10.22715/jkarhn.2020.15.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