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김광회 등(2015)의 체육영재의 영재성 검사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로써 이를 위하여 총 3회에 걸친 지도자 관찰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후 관찰평가 결과의 하위영역(실천지능, 학습지능, 훈련지능)과 영재 학생들의 체력 및 종목적합률(KOSTASS) 향상도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목별 지도자의 영재성 하위 영역간 상관성은 모든 영역에서 0.8 이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둘째, 체육영재성의 모든 하위영역은 제자리멀리뛰기, 50m 달리기, 사이드스텝 테스트 향상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p<.05). 셋째, 체육영재성의 모든 하위영역은 KOSTASS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5). 이상의 결과는 김광회 등(2015)이 제시한 영재성 평가도구가 체육영재 학생들의 기초체력 요인의 향상도 수준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학습과정이 요구되는 체력요인에 대한 상관결과는 체육영재성 평가도구가 학습과정 및 과제습득 수준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evaluation method for competition intelligence of sport talented children of of Kim et al.(2015). For this purpose, total 3 times of observation by sports leaders were accomplished for evaluation of competition intelligence. After finishing final observ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practice intelligence, learning intelligence, and training intelligence) and gifted students' physical fitness and KOSTASS were examined. First, as the reliability, the correlations between leaders' observation resul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0.8 in all sub-factors. Second, all sub-factors of competition intellig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 standing jump, 50m dash and side step test improvement(p<.05). Third, all sub-factor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KOSTASS(p>.05).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valuation tool by Kim et al.(2015) didn't not fully reflect the improvement level of basic physical fitness factors of the gifted students. However, the results of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factors requiring technical learning process showed that the gymnastic gauging tools included learning process and task acquisition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