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Changes of the Research Council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using Multiple Streams Framework

다중흐름모형을 이용한 과학기술 연구회제도의 정책변동 분석

  • Received : 2017.07.29
  • Accepted : 2017.10.24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cases of policy changes of the research council system which exists since 1999 as a policy tool to achieve the goals for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ir cooperation and organic connec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rough which process policies about the research council system have changed and whether they resulted in the successful achievements of the aimed policy goals, and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future. The Research Council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undergoing a change for four government replacements (from Kim Dae-jung's Government to Park Geun-hye's Government). In this study, the major policy making factors and the policy change process of each government case are analyzed in comparison using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as a result, their policy change type by the Hogwood and Peters's theory and the achievement of their policy goals of autonomy and responsibility were examined.

본 연구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고, 연구기관 간의 협력과 유기적인 연결이라는 정책목표하에 1999년 이후 지금까지 그 목표달성을 위해 정책수단으로 존재하고 있는 연구회제도의 정책변동 사례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연구회제도가 어떤 과정을 거쳐 정책변동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정책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정책의 효율적 추진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과학기술 연구회는 김대중 정부이후 박근혜 정부까지 네 번의 정권교체기마다 변화과정을 거쳐왔다. 여기서는 그 사례에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이용하여 각 정부별 주요 정책결정요인과 정책변동 과정을 비교 분석했으며, 그 결과로서 Hogwood and Peters의 정책변동유형과 출연(연)의 자율성 및 책임성이라는 정책목표의 달성정도를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STEPI.(주)기술과가치 (2004),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 대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전략적 발전방안 : 과학기술계, 서울 : 5개 연구회.
  2. 강근복.김재관.박근후.박정택 (2016), 정책학, 서울 : 대영문화사.
  3. 과학기술 출연(연) 발전 민간위원회 (2010), 새로운 국가과학기술시스템 구축과 출연(연) 발전방안, 서울 : 기초기술.산업기술 연구회.
  4.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1999), 국가 과학기술 연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대책 : 연합이사회의 발족과 출연연의 운영 효율화 방안.
  5.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2008),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문위원 검토보고서, 271회 국회(임시회) (2008.2.4).
  6. 국회 입법조사처 (2011),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개편의 방향과 과제, 국회 입법조사처, 정책보고서 제9호.
  7. 국회 입법조사처 (2014), 과학기술분야 연구회 통합 현황과 향후 과제, 국회 입법조사처, 이슈와 논점 (2014.2.25).
  8. 기획예산위원회 (1999), 정부출연(연) 경영혁신 자료집, 서울 : 기획예산위원회.
  9. 김성수 (2008), "과학기술 행정체제 개편의 특성 및 정책운영 쟁점 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22(1): 49-75.
  10. 김용훈.오영균 (2008),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 17(3): 279-297.
  11. 김용훈.윤지웅 (2008),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변화와 정합성", 행정논총, 46(4): 175-199.
  12. 김이교 (2005), "정부출연연구기관 개혁과정의 예비적 고찰", 한국공공관리학보, 19(1): 41-67.
  13. 김이교 (2008), "정부출연연구기관 지원체제 도입에 관한 연구 : 거버넌스 이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김인자.박형준 (2011), "과학기술 규제 정책의 형성과 변동 과정분석 : 생명 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0(1): 111-149.
  15. 나태준 (2005), "기관 설립을 통한 정책목표 달성의 한계와 대안 : 과학기술계 연구회 사례", 한국행정연구, 14(4): 71-94.
  16. 남궁근 (2012), 정책학 : 이론과 경험적 연구, 파주 : 법문사.
  17. 미래창조과학부 (2013), 출연(연) 개방형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과학기술분야 연구회 기능 재정립 방향(안), 2013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제4회 제7호.
  18. 미래창조과학부 (2014),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출연(연)의 변화와 혁신.
  19. 민철구 (1996), 이공계 출연연구기관의 운영현황과 정책과제, 서울 :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연구보고 96-10.
  20. 박균열 (2012),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정책변동 분석", 교육문제연구, 42: 41-71.
  21. 박해룡 (1990),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II)", 대구.경북행정학회보, 2: 119-130.
  22. 박호숙 (2005), "정책변동의 유형에 대한 재평가와 정책변동원인",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3. 성욱준 (2013), "개인정보보호법 입법 과정에 관한 연구 :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12-837.
  24. 양승일 (2014), 정책변동론, 서울 : 박영사.
  25. 양승일 (2015), "정책변동유형흐름모형의 검증 분석", 한국행정학보, 49(2): 507-530.
  26. 양홍석 (2015), "한국의 정책평가제도 변동에 관한 정부별 비교연구 : 정부성향과 국무총리 위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유성재 (2001), 연구예산 지원 시스템의 개선방안 : 출연연의 역할 및 운영체제 개선방안, 전국과학정보기술인협회.
  28. 유성재.손태원.이정원 (2002), 연구회 및 출연연구기관의 새로운 경영모형, 서울 : 5개 연구회.
  29. 유홍림.양승일 (2009), "정책흐름모형(PSF)을 활용한 정책변동 분석 : 새만금간척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8(2): 189-218.
  30. 유훈 (2009), 정책변동론, 서울 : 대영문화사.
  31. 이광수.김도기 (2010), "Kingdon의 모형을 적용한 교장공모제 정책변동 분석", 교육행정연구 , 28(3): 133-155.
  32. 이석희 (2004), "정부출연 연구기관 경영혁신과 연구회체제의 정립", 한국정책학회보, 13(5): 279-304.
  33. 이찬구 (2002), 영국의 연구회 및 산하 공공 연구기관의 운영시스템 분석 연구,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4. 이찬구 (2010), "과학기술 정책결정에서의 정책이전 연구 : 연구회 도입 사례", 사회과학연구, 26(1): 27-54.
  35. 이철원 (2007),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당면과제", 기술경영경제학회 31회 학술발표회.
  36. 임기철 (2001), "출연(연)의 임무와 역할 및 전략적 연구과제 수행", 전국과학정보기술인협회, 출연연의 역할 및 운영체제 개선방안 세미나.
  37. 정선양 (1999), "새 모습 갖춘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합이사회 : 주요 선진국의 운영 사례(독일, 미국, 일본, 영국)", 과학과 기술, 32(3): 49-60.
  38. 정선양 (2003), 독일 공공 연구기관의 연구회 체제 분석연구,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9. 정용남 (2010), "과학기술계 연구회 제도의 표류 원인에 관한 연구 : 결정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0(3): 163-200.
  40. 정용남 (2013), "정부변동과 정책변동 관계 이해 연구 :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3(4): 103-141.
  41. 정정길.최종원.이시원.정준금 (2005), 정책학원론, 서울 : 대명출판사.
  42. 천세봉.하연섭 (2013), "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 변동에 관한 신제도주의 분석 :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2(4): 87-113.
  43. 최병선 (2008), 과학기술계 연구회의 거버넌스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 : 기초기술.산업기술 연구회, 연구보고.
  44. 최성락.박민정 (2012), "Kingdon 정책흐름모형 적용의 적실성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12(1): 119-137.
  45. 한국행정연구원 (2012), 이명박정부 주요정책의 성과와 과제,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2012(46).
  46. 허 범 (1979), "정책종결의 본질과 전략", 사회과학, 17: 91-109.
  47. 황성수.김경대.오유미 (2015), "정책과정,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논문 분석 : 우리나라 옹호연 합모형 및 관련연구의 흐름과 특징에 관한 논의",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9(4): 1-26.
  48. Birkland, T. A. (1997), After Disaster: Agenda Setting, Public Policy and Focusing Events.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49. Birkland, Thomas A. (2006), Lessons of disaster: Policy Change after Catastrophic Events.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50. Hall, P. A. (1993), "Policy Paradigms, Social Learning and the State: The Case of Economic Policymaking in Britain", Comparative Politics, 25(3): 275-296. https://doi.org/10.2307/422246
  51. Hogwood, B. and Peters, B. G. (1982), "The Dynamics of Policy Change: Policy Succession", Policy Sciences, 14(1982): 225-245. https://doi.org/10.1007/BF00136398
  52. Hogwood, B. and Peters, B. G. (1983), Policy Dynamics, New York: St. Martin's Press.
  53. Howlett, M. and Ramesh, M. (1998), Policy Subsystem Configurations and Policy Changes: Operationalizing the Postpositivist Analysis of the Politics of the Policy Process, Policy Studises Journal, 26(3): 466-481. https://doi.org/10.1111/j.1541-0072.1998.tb01913.x
  54. Howlett, M., Ramesh, M. and Perl, A. (2009), Studying Public Policy: Structure, Policy Cycles & Policy Subsystems, 3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5. Kingdon, J. W. (1984),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Glenview: Scott, Foresman and Co.
  56. Kingdon, J. W. (1997),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Longman Publishing Group, 2nd edition.
  57. Kingdon, J. W. (2002),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Longman Classics Edition), Longman; 2nd edition (August 31, 2002).
  58. Knill, C. (2005), Introduction: Cross-national policy convergence,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icies, 12(5): 764-774. https://doi.org/10.1080/13501760500161332
  59. Pollitt, C. and Bouckaert, G. (2009), Continuity and Change in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Cheltenham, UK: Edward Elgar.
  60. Sabatier, P. A. (1988), A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of Policy Change and the Role of Policy-Oriented Learning Therein, Policy Sciences, 21(2): 129-168. https://doi.org/10.1007/BF00136406
  61. Sabatier, P. A. and Jenkins-Smith, H. C. (1999),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n Assessment, Boulder: Westview Press.
  62. Zahariadis, N. (2007),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Structure, Limitations, Prospects, In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2nd edition, Paul A. Sabatier, ed. Boulder, CO: Westview Press, 6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