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Local Government Capacities on the Improvement of Air Pollution in China

중국 지방정부 역량이 대기오염 개선성과에 미치는 영향

  • 홍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 박인권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Received : 2017.07.26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local government capacities on the improvement of air pollution.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 a dynamic panel model using a data set for air pollutants such as $SO_2$, $CO_2$, and particulate matters and the local governments' capacities for Chinese Provinces in the period of 2007 - 2014. The results show that of the three types of capacities, the organizational capacity measured by environmental personnel, environmental expenditures, and average size of environmental institutions is very important, while the institutional capacity and social capacity have a insignificant impact on the air quality improvement. Among the local government capacities, other than the organizational capacity, only the activity of environmental organizations, which is a social capacity, partial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air pollution. Regarding local conditions, vertical dependence of financial resources, GRDP per capita, and population density have a negative impact on improving air pollution.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local governments in China as to what capacities they should improve to improve air pollution.

이 연구는 중국 지방정부 역량이 대기오염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중국 성급 행정단위를 대상으로 $SO_2$, $CO_2$, 분진 등 대기오염 물질과 지방정부 역량에 관한 자료를 이용하여 동적패널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방정부의 역량 중에서 환경인력, 환경예산, 환경기관 평균규모 등 조직역량이 가장 중요하고, 제도역량이나 사회역량은 대기오염 개선에 대한 영향이 미미함을 보여준다. 조직역량 이외의 지방정부 역량 중에서는 사회역량인 환경단체의 활동성만이 부분적으로 대기오염 개선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역 여건과 관련해서는 재정의 수직적 의존도 및 1인당 GDP, 인구 밀도 등이 대기오염 개선에 부정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기오염 개선을 위해 중국 지방정부들이 어떤 역량을 특히 강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경.최충익.김희선, 2010,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특성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2(1), pp.67-86.
  2. 고재경.황원실.좌승희, 2007, 환경거버넌스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pp.3-9.
  3. 권혜연.정창훈.김용표, 2016, 지방정부의 대기환경예산 지출이 대기오염 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대기환경학회지, 32(6), pp.583-592. https://doi.org/10.5572/KOSAE.2016.32.6.583
  4. 김권식.이광훈, 2014, 공공연구조직의 자원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탐색, 한국행정연구, 23(2), pp.113-142.
  5. 김태룡.안희정, 2009, 자원봉사의 활성화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분석, 한국정책연구, 9(3), pp.197-218.
  6. 김태호.노종호, 2010, 공공봉사동기가 조직 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v.48(3), pp.143-168
  7. 김혜연, 2011, 사회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3), pp.1-29.
  8. 김혜정.이승종, 2006, 지역시민사회의 역량과 지방정부의 정책혁신, 한국행정학보, 40(4), pp.101-126.
  9. 민인식.최필선, 2012, 고급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STATA학회.
  10. 박석희, 2006, 공공부문의 성과관리와 조직역량, 한국행정학보, 40(3), pp.219-244.
  11. 박선옥, 2015, 성과기반 인적자원관리 제도가 공공기관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2. 박순애.윤경준.이희선, 2010, 지방자치단체역량이 녹색 성장정책 추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2(4), pp.107-128.
  13. 배상욱.양영주.윤한성, 2010, 내부마케팅이 종업원의 직무만족과 전환비용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2(2), pp.379-397.
  14. 신윤지, 2015, 지방정부의 환경역량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25, pp.25-46.
  15. 이승종, 2008, 지방역량강화를 위한 광역자치구역의 개편방안, 행정논총, v.46(3), pp.361-390
  16. 이재성, 2007, 지방정부 역량의 실증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3), pp.27-48.
  17. 이홍규.하남석.조성호, 2011, 중국 경제성장에 있어서 중앙과 지방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원.
  18. 정지현.김홍원.이승은.최지원, 2015, 중국 환경시장 분야별 특징 및 지역별 협력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19. 조성은.최성락, 2008, 환경행정이 환경개선에 미친 영향분석,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pp.1-16.
  20. 조성호, 2010, 광역자치단체 역량 강화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21. 조정원, 2015, 중국의 대기 오염과 환경 거버넌스의 실패:허베이성 스자좡시의 사례, 중국지식네트워크, pp.139-165.
  22. 최길수, 2005, 지방정부의 자치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학술대회, pp.411-445.
  23. 최미옥, 2005, 방폐장입지선정과 지방정부의 역량,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7(3), pp.115-133.
  24. 최봉기.조용상.이시경.조병희, 1993, 지방정부의 자치역량 강화방안-분석틀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5, pp.47-72.
  25. 최영출, 2003, 지방분권화에 따른 지방정부의 역량강화, 지방행정연구, 17(2), pp.27-49.
  26. 한병훈, 2015, 정부역량이 시민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109-134.
  27. 현영란, 2015, 지방정부역량이 지방정부와 비영리조직간 협력적 계약관계에 미치는 영향-거버넌스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2(2), pp.259-282.
  28. Arellano, M., Bond, S., 1991, Some tests of specification for panel data: Monte Carlo evidence and an application to employment equations,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58(2), pp.277-297. https://doi.org/10.2307/2297968
  29. Arellano, M., Bover, O., 1995, Another look at the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 of errorcomponents models. Journal of econometrics, 68(1), pp.29-51. https://doi.org/10.1016/0304-4076(94)01642-D
  30. Bao, Z. R., 2015, China's Environmental Policy: Factor Analysis of its Implement, Globethics Publications.
  31. HE, X. G., ZHANG, Y. H., 2012, Influence Factors and Environmental Kuznets Curve Relink Effect of Chinese Industry's Carbon Dioxide Emission-Empirical Research Based on STIRPAT Model with Industrial Dynamic Panel Data, China Industrial Economics, 1, pp.26-35
  32. HUANG, G. B., ZHOU, Y. A., 2014, Fiscal Decentralization, Energy Save and Emission Reduce-The Perspective of Transfer Payment from Central Government, Journal of Renmin University of China, 6, pp.67-76.
  33.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2016, CO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 Highlights. Paris: IEA Publications.
  34. Liu, H., Hu., 2012, Influence factor analysis carbon dioxide emission base on lmdi model-Taking Jiangsu province as an example, Industrial Technological Economics, 4 , pp.43-49.
  35. ODPM(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2003, Capacity Building in Local Government, Final Interlim Report to ODPM, London: Office of Deputy Prime Minister.
  36. Qian, Y., Weingast, B. R., 1996, China's transition to markets: market-preserving federalism, Chinese style, Policy Reform, 1(2), pp.149-185.
  37. Tang, D., Wang, C., Nie, J., Chen, R., Niu, Q., Kan, H., Perera, F., 2014, Health benefits of improving air quality in Taiyuan, China, Environment international, 73, pp.235-242. https://doi.org/10.1016/j.envint.2014.07.016
  38. 미국 환경보호국 웹사이트 https://cfpub.epa.gov/RBLC/index.cfm?action=Home.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