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arrative use of transitional object-characters in the family feature animation

가족용 장편애니메이션<인사이드 아웃>에 나타난 이행대상(transitional object) 캐릭터의 서사적 활용 연구

  • 박형동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 Received : 2017.11.01
  • Accepted : 2017.11.26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asons why the animation characters, 'Olaf (in Frozen Kingdom)' and 'Minions (in Super Bad)', etc., which were very successful in the merchandising market while having won the popularity better than the main characters are very popular even though such characters appeared only by playing a funny role while assisting the adventures of the main characters are not only because of their cute appearances but also because such characters have their own core features in their inner world as the transitional object-characters. Simply expressing, a 'Transitional Object' as a concept suggested by a child psychologist, 'Donald Winnicott', means a lovey doll or an imaginary friend which temporarily replaces an infant's mother during the procedure when the infant is mentally separated from its mother. However, in case that the theory of transitional objects was applied directly to many narrative content characters for doing a study, there must have been done some studies in advance for establishing some new criteria and indexes related to the transitional object-characters of such narrative contents. Accordingly, while thinking that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growth-subject and a growth mediator must be dealt with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in order to define a transitional object-character in a narration clearly, this researcher established some emotional index for judging the propensities of a transitional object-character on the basis of such way of thinking. The index is composed of 4 kinds of emotional roles (quasi-family member, growth mediator, lovey doll, an imaginary friend), 6 kinds of emotional supports (hugging, protecting, accepting, giving the initiative, improving the relationship and mutual supervising) and 4 kinds of emotional impressions (impression by contacting, impression to protect and impression accepting an attack). In case that some main characters of a family feature animation, 'Inside Out', are analyzed while the index mentioned above is applied, it was found that 'Bing Bong' and 'Sadness' have a high propensity as a transitional object-character. Especially, it could be inversely inferred in which ways some good transitional object-characters can help the narrations on growth of a family feature animation by taking a look at the character, 'Sadness' that has the highest propensity as a transitional object-character. The transitional object-character, 'Sadness' assists the narration on growth internally and externally by helping the internal maturity of a growth-subject in a way of projecting the tasks for the internal maturity of a growth-subject while helping the growth-subject to be successfully externally in a way of providing the growth-subject with some kinds of facilitating emotion. A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ince such kinds of emotional experiences provided by such transitional object-characters are displaced to not only the relevant growth-subjects but also the audience who are emphasized with such growth-subjects as they are, such transitional object-characters play a role of hidden benefactors who induce some immersion into the narrations and provide child and adult audience with various layers of emotional satisfaction.

주인공의 모험을 조력하는 감초역할로 등장했지만 머천다이징 시장에서 크게 성공한 애니메이션캐릭터 올라프(겨울왕국), 미니언즈(슈퍼배드) 등등의 대중적인 인기비결은 귀여운 디자인에 있기도 하지만 해당 캐릭터의 심층에 이행대상의 특성들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행대상(transitional object)이란 아동심리학자 도널드 위니콧이 제안한 개념으로 간단히 표현하자면 유아가 어머니에게서 정신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어머니를 대신하는 애착인형이나 상상 친구를 말한다. 하지만 이행대상 이론을 서사콘텐츠캐릭터연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행대상 캐릭터에 관한 기준과 지표를 새롭게 정립하는 연구가 선결 되어야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장주체와 성장조력자의 '정서적 관계'를 기준으로 이행대상 캐릭터의 성향을 판단하는 정서적 지표를 새롭게 구축하였다. 그 지표는 4가지 정서적 역할(유사가족, 성장매개, 전기이행대상, 후기이행대상), 6가지 정서적 행위(안아주기, 보호하기, 받아주기, 주도권제공, 관계개선, 상호주관), 3가지 정서적 인상(접촉인상, 보호제공인상, 보호유도인상, 공격수용인상)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위 지표를 적용하여 가족용 장편애니메이션<인사이드아웃(Inside out)>의 주요캐릭터들을 분석해 보았을 때 빙봉(Bing Bong)과 슬픔이(Sadness)가 높은 이행대상 캐릭터 성향을 보였다. 특히 슬픔이의 분석을 통해 가족용 장편애니메이션의 이행대상 캐릭터들이 어떠한 양상으로 작품의 성장서사를 강화하는데 활용되는지 유추 할 수 있었다. 이행대상 캐릭터인 슬픔이는 성장주체에게 '촉진적 정서'를 제공하는 양상으로 성장주체가 외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돕고 성장주체의 내적인 성숙과제를 '투사' 하는 양상으로 성장주체의 내적성숙을 도와 성장서사를 안팎으로 보조하고 있었던 것이다. 연구결과 이행대상 캐릭터들이 성장주체에게 제공하는 정서적 체험은 성장주체에게 감정이입하는 관객들에게도 전이되어 가족용 장편애니메이션의 어린이관객과 어른관객들에게 각각 다른 층위의 정서적인 만족감을 안겨주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Gomez L, 김창대, 김진숙, 이지연, 유성경 역, 대상관계이론 입문, 학지사, 2008.
  2. 김만수, 스토리텔링 시대의 플롯과 캐릭터, 도서출판 월인, 2012.
  3. 나이젤.c 벤, 심리학-하룻밤의 지식여행7, 김영사, 2001.
  4. 도널드 위니콧 , 이재훈 역, 성숙과정과 촉진적 환경,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5. 도널드 위니콧 , 이재훈 역, 놀이와 현실,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6. 라파엘 무안, 유민희 역, 영화 장르, 동문선, 2009.
  7. 마델레인 데이비스, 데이빗 윌브릿지, 이재훈 역, 울타리와 공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8. 브루노 베텔하임, 김옥순 역, 옛이야기의 매력 1, 시공주니어, 1998.
  9. 솔로몬 찰스, The Art of 겨울왕국, 대원씨아이, 2014.
  10. 오쓰카 에이지, 선정우 역, 캐릭터 메이커, 북바이북, 2014.
  11. 오쓰카 에이지, 선정우 역, 이야기의 명제, 북바이북, 2015.
  12. 히로꼬 사사키, 고향옥 역, 그림책의 심리학, 우리교육, 2004.
  13. 김경희, 유아 정서발달 이론과 모성적 돌봄:위니콧의 이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 1998.
  14. 김수영, E. B. White의 샬롯의 거미줄에 나타난 샬롯의 다양한 역할들, 동화와 번역, vol.14(2007).pp281-303.
  15. 양세혁, <니모를 찾아서> 캐릭터에 내재된 두려움과 욕망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29(2012)pp.1-36.
  16. 윤혜영, 픽사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이선영, 위니캇의 안아주기 개념에 대한 하나님의 안아주기의 연계성과 초월성,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8. 이영림, 아동문학과 어린이의 성장:E.B.White의 샬롯의거미줄 연구,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9. 이영준, 눈사람과 고릴라를 통해 본 아동의 놀이 공간: '후기 전이 대상','잠재적 공간'과 '중간영역'을 중심으로, 현대영어영문학, 제58권 3호(2014), pp.151-70.
  20. 황혜영, 김지홍, 국내의 가족(Family)용 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4(2006)pp.232-4.
  21. 조이뉴스24, "'인사이드 아웃' 감독 "네 안의 슬픔을 허하라"(일문일답)",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1100&g_serial=905529, 2015.06.26
  22. 아주경제, "'토이스토리' 2030이 뽑은 '다시 보고싶은 픽사' 영화 1위 선정...2위는?", http://www.ajunews.com/view/20160711134422115, 2016.07.11
  23. Christopher Booker, The seven basic plots, Bloomsbury Academic, 2004.
  24. Lisa Stock, Inside out-the essential guide, Dorling Kindersley, 2015.
  25. Peter L. Rudnytsky, Transitional Objects and Potantial Spaces_literary uses of D.W.WINNCOTT,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26. Manon Ham, "The Child vs his Family: Pinocchio as a Reaction to the Mirror Stage and the Transitional Object", Universiteit van Amsterdam MA-Thesis, 2013.
  27. Michael Rustin, "Fantasy and reality in Miyazaki's animated world". Psychoanalysis, culture & society, vol.17(2012),pp.169-84. https://doi.org/10.1057/pcs.2012.21
  28. <니모를 찾아서> (Finding Nemo, 2003)
  29.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1937)
  30.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2001)
  31. <슈퍼배드> (Despicable Me, 2010)
  32. <이웃집 토토로>(My Neighbor Totoro, 1988)
  33.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 2015)
  34. <피노키오>(Pinocchio,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