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과 죽음불안간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 Received : 2017.08.16
  • Accepted : 2017.10.10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learned that perceived burdensomeness of aged people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 path of perceived burdensomeness to death anxiety, a path of spirituality to death anxiety and a path of perceived burdensomeness to spirituality. In short, higher perceived burdensomeness results in higher death anxiety, and higher spirituality lowers the death anxiety. This refers that perceived burdensomeness is predictor of death anxiety. In addition, it also indicates that mediated effect of spirituality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full/partial mediator models - partial mediator model supposes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s that differ from the way of perceived burdensomeness influences on death anxiety, while full mediator model supposes only indirect path.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proposal to promote the quality of living of the elderly by reducing perceived burdensomeness that stimulates death anxiety and giving opportunity for experiencing spirituality to cope with death anxiety.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인식된 짐스러움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 두 변수와의 관계에서 영성이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은 불안에 이르는 경로와 영성이 죽음불안에 이르는 경로, 인식된 짐스러움이 죽음불안에 이르는 경로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이 높을수록 죽음불안이 높아졌고, 영성이 높을수록 죽음불안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식된 짐스러움이 죽음불안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인식된 짐스러움이 영성을 통해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를 가정한 부분매개모형과 간접 경로만을 가정한 완전매개모형에서 영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식된 짐스러움과 죽음불안과의 관계에서 인식된 짐스러움이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영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죽음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영성의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고 이 결과에 근거하여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영길, "노인의 사회활동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5권, 제1호, pp.13-25, 2013.
  2. A. M. Abdel-Khalek, "Death anxiety in clinical and non-clinical groups," Death Studies, Vol.29, pp.251-259, 2005. https://doi.org/10.1080/07481180590916371
  3. R. H. Lehto and K. F. Steinm, "Death Anxiety : An Analysis of an Evolving Cooncept.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An International Journal, Vol.23, No.1, pp.23-41, 2009.
  4. 박세연 역, 죽음이란 무엇인가, Kagan, Shelly, 2012, Death(Open Yale Courses), 서울: 엘도라도.
  5. 한경옥, 전요섭, "노인의 영적 안녕감 형성이 죽음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복음과 상담, 제19권, pp.296-323, 2012.
  6. 이현지, 조계화,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6권, 제4호, pp.717-731, 2006.
  7. 김혜숙, "영적 안녕감과 죽음 준비도 그리고 내세관이 죽음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492-50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492
  8. 임송자, 송선희,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pp.243-25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243
  9. 박선애, 허준수, "노인의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1호, pp.59-88, 2012.
  10. 전영기,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1. 이한나, 강은나, 김세원,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 요인 연구: 가족기능, 영적안녕감 및 자아통합감의 효과 검증,"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311-332, 2010.
  12. 윤매옥,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죽음 불안, 영적 안녕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9권, 제4호, pp.513-521, 2009.
  13. 이경열, "영성 증진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4호, pp.779-800, 2006.
  14. K. I. Pargament, B. Cole, L. Vandecreek, T. Belavich, C. Brant, and L. Perez, "The vigil: religion and the search for control in the hospital waiting room,"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4, pp.327-341, 1999.
  15. 이혜숙, "영성적 관점에서 가족 레질리언스의 이해와 적용," 교회사회사업, 제11권, pp.7-37, 2009.
  16. 정덕신, 배성만, 주은선, "영성과 포커성적 태도가 중년 여성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9권, 제3호, pp.301-314, 2014.
  17. 홍영준, 이정훈, "은퇴베이비부머의 영적안녕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45권, 제9호, pp.95-119, 2014.
  18. 이서정, 이희경, "영성과 대처방식간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인간이해, 제32권, 제1호, pp.135-152, 2011.
  19. 이지영, 이가옥,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 제24권, 제2호, pp.193-215, 2004.
  20. 문태언, 변상해, "노인의 종교활동 참여가 자기 존중감 및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7권, 제3호, pp.115-120, 2012.
  21. 최금주, 제석봉, "노인의 영성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38권, pp.109-125, 2007.
  22. 현외성, "중고령자의 영성, 교회만족 및 생활만족," 노인복지연구, 제54권, pp.35-60, 2011.
  23. 추경진, 청소년,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감,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4. 석예진,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을 조절변인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5. C. Bryan, "The Clinical Utility of a Brief Measure of Perceived Burdensoneness and Thawarted Belongingness for the Detection of Suicide Military Personnel," Journal of Cliinical Psychology, Vol.67, No.10, pp.981-992, 2011. https://doi.org/10.1002/jclp.20726
  26. K. A. Van Orden, T. K. Witte, K. H. Gordon, T. W. Bender, and T. E. Joiner, "Suicidal desire and the capability for suicide: Tests of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among adults,"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Vol.76, No.1, pp.72-83, 2008. https://doi.org/10.1037/0022-006X.76.1.72
  27. D. I. Templer,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death anxiety scal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Vol.82, pp.165-171, 1970. https://doi.org/10.1080/00221309.1970.9920634
  28. 고효진, 최지욱, 이흥표, "Templer 죽음불안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1권, 제2호, pp.315-328, 2006.
  29. 조민호,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형을 통해서 본 한국군의 자살,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0. R. F. Palouzian and C. W. Ellison,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D. Perman (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 pp.224-236, 1982.
  31.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2.
  32. 홍세희, "임상심리학이론의 경험적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매개모형과 잠재평균 모형의 분석,"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임상심리학회 2001년 3월 워크샵 자료집, 2001.
  33. 홍세희,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지수 선정기준과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34.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 서울: 21세기사, 2013.
  35. 김경진, 용진선, "암 병원 간호사의 영성, 죽음불안 및 소진,"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64-273, 2013.
  36. 김세원, 노년기 영성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7. 추경진, 이승연,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청소년과 노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발달, 제25권, 제3호, pp.31-53, 2012.
  38. 홍미숙, 생명사랑 프로그램이 농촌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 우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9. 이영미, 조윤옥, "기독노인의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과의 상관관계," 상담학연구, 제14권, 제4호, pp.2469-2484, 2013.
  40. 박형규,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임종교육서비스, 사회적지지, 자아통합감에 따른 태도 분석,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