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eachers' Satisfaction about High Schools Equipped with Excellent Facilities and with General Facilities -Focusing on high schools in Gyeonggi-do

우수시설 고등학교와 일반시설 고등학교의 시설에 대한 교원만족도 비교 연구 -경기도 소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10.18
  • Accepted : 2017.11.24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fundamental data which is necessary to improve a design for the general high school. For doing this, teachers' satisfaction about using spaces of high schools equipped with excellent facilities and with general facilities respectively was compared and analyzed. Selected schools for this study were 3 high schools with superior facilities and 3 high schools with general facilities, all of which have been built or renovated since 2010. Data were collected by doing a field survey, a literature survey, and a questionnair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4 ways: Reliability analysis about satisfac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demographic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on overall satisfaction and the use of facilities, and t-tes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pending on schools. Findings showed that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 in high schools with excellent facilities whereas it was low in high schools with general facilities. Also, in order to enhance overall satisfaction of facilities, it suggests that building and continuously maintaining a circular route and a walkway which do not have the concealed space should be necessary.

본 연구는 우수시설학교와 일반시설학교의 이용 및 관리자 측면에서 공간 이용만족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향후 일반고의 설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0년 이후 신 증축 및 개축한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중 교육부 우수시설 학교 3곳과 일반시설 학교 3곳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현장조사와 문헌조사, 교원 설문조사의 방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교육시설환경 만족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 교원의 인구사회학적 분석, 전체만족도와 시설 이용에 대한 회귀분석, 학교별 만족도 차이검증을 위해 t-test를 각각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시설에 대한 전체만족도는 우수시설 고등학교에서 높게 나타났고 일반시설 고등학교에서 낮게 나타나 참고해야 할 사항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교시설 이용의 전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차폐되고 은밀한 장소가 발생 되지 않는 순환로 및 산책로의 조성 및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류호섭, "PFI사업 학교의 설계현황과 새로운 학교 건축을 위한 제언,"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9권, 제6호, pp.5-13, 2007.
  2. 김보라, 함주현, "서산시 중.고등학생들의 척추측 만증 인지도와 치료현황 조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204-212, 2011.
  3. 황인호, 장성화, "교사의 심리적안녕감, 공감능력, 직무효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32-242, 2012.
  4. 이지은, 사용자 참여형 학교설계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 정영식,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온 라인수업 제도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500-59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500
  6. 이화룡, 조창희, "학교건축의 디자인품질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 28권, 제5호, pp.69-77, 2012.
  7. 유제용, 공공교육시설의 품질향상을 위한 우수 설계.시공 학교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8. 한주연, 우수시설학교 외부공간의 물리적 특성과 청소년의 만족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9. 류호섭, "2000년 이후의 일본 우수학교 시설 사례 소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18권, 제6호, pp.40-51, 2011.
  10. 성은영, 양상현, "2000년 이후 중.고등학교 시설의 건축 특성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우수시설학교'수상작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19권, 제1호, pp.25-35, 2012.
  11. 하인철, "교육부 선정 우수시설학교 수상작을 통해 본 학교 시설의 변화,"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 20권, 제4호, pp.59-62, 2013.
  12. 박성철, 조진일, 최형주, 노근철, 정태환, 박희원, 고인룡, 학교시설의 디자인 품질 지표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RR2011-28, 2011.
  13. 은동신, "함께하는 학교, 특수학교가 나아가야할 방향-이천 다원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24권, 제3호, pp.7-13, 2017
  14. 맹준호, 이호진, 김성중, 이승민, 박영빈, 새로운 교육 공간 재구조화 방안연구, 한국교육환경연구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