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ctivity on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Design Thinking Project and Team Activity Satisfaction

디자인씽킹 프로젝트와 팀활동만족도를 매개로 한 지식공유활동이 컴퓨팅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 박정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전자상거래무역학과) ;
  • 박상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 Received : 2017.08.20
  • Accepted : 2017.11.23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Our society has changed from an industrial society to a knowledge - based society, and the need for new knowledge creation activiti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various knowledge is emphasized.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universities aiming at nurturing human resources for society have sought new approaches and changes. The discussion of various curriculum for the future talent training in the university is aimed at the goal of developing problem solving ability irrespective of the subject of education or major. In this study, we tried to show that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can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creative team activities by combining design thinking method in computer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course of university. To do this, we conducted a design thinking team project for students of computer general education course at G university in Gyeongnam province and conducted a surve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verified by statistical methods. The variables of this study satisfied both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knowledge sharing, team activity satisfaction, and design thinking project satisfaction factors all affect computing thinking ability.

Keywords

References

  1. 피터 드러커, Next Society, 한국경제신문사, 2002.
  2. 홍효정, 이재경,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교양교육 연구, 제9권, 제3호, 2015.
  3. 이화선, 최인수, "대학교양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의 방향," 창의력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2014, pp.1-17.
  4. Wing, J. M.,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 ACM 49, 2006, pp.33-35.
  5. B. C. Czerkawski, E. W. LymanIII, "Exploring issues about computational thinking in higher education," Tech Trends, Vol. 59, No. 2, 2015, pp.57-65. https://doi.org/10.1007/s11528-015-0840-3
  6. CSTA & ISTE,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education teacher rewource second edition," http://www.iste.org/docs/ct-documents/ct-teacher-resources_2ed-pdf.pdf?sfvsn=2, November, 11, 2015.
  7. 한선관, 류미영,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생능출판, 2016.
  8. 최정원, 이영준, "컴퓨팅 사고력 평가 방안 설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2권, 제2호, 2014, pp.177-178.
  9. 나정은,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교과과정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1월, 2015, pp.161-166.
  10. 박성희,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대학에서의 SW 교육에 관한 고찰,"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4호, 2016, pp.1-10. https://doi.org/10.14400/JDC.2016.14.4.1
  11. 차준섭, "대학 SW교육의 현장 적합도 분석에 기반한 현장 맞춤형 SW 교육 과정 설계에 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4권, 제4호, 2015, pp.86-92.
  12. 김재휘.김동호,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20권, 제1호, 2016, pp.69-82.
  13. 이민하,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8권, 2017, pp.195-206.
  14. 조연순, 성진숙, 이혜주, 창의성 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방법,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15. 홍효정, 이재경,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교양교육 연구, 제9권, 제3호, 2015, pp.163-192.
  16. 김영정,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한국 인지과학회 논문지, 제13권, 제4호, 2002.
  17. Schwarz, R(2002), The skilled facilitator: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consultants, facilitators, managers, trainers, and coaches., John Wiley & Sons.
  18. d.school, 'd.school bootcamp bootleg', 2013. (http://dschool.stanford.edu/wp-content/uploads/2013/10/METHOCARD-v3-slim.pdf)
  19. 톰 켈리, 데이비드 켈리, 유쾌한 크리에이티브, 청림출판사, 2014.
  20. CNET Korea. What is Design Thinking? Why do you need?, 2014, (http://www.cnet.co.kr/view/11335).
  21. 박상혁, 오승희, "사회혁신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디자인 씽킹과 비즈니스 모델 젠 연계 방법론,"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3권, 제1호, 2017.
  22. 곤노 노보루, 디자인 씽킹, Argo9 Media Group, 2010.
  23. 하주현, "문제발견, 창의적 사고, 창의적 인성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3호, 2003, pp.99-115.
  24. Brown, T., Design thinking. Harvard business review, 86(6), 2008.
  25. Bergevin P., A Philosophy for Adult Education, Seabury Pr., 2006.
  26. 송영수, "기업내 HRD 활동을 위한 퍼실리테이터의 역할 및 필요역량 탐색," 기업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2010, pp.51-72.
  27. 잉그리드 벤스, 퍼실리테이션 쉽게 하기, ORP연구소, 2006.
  28. 기미토시 호리, 문제 해결을 위한 퍼실리테이션의 기술, 일빛, 2005.
  29. Schwarz, R(2006)., The facilitator and other facilitative roles. Organization Development: A Jossey-Bass reader. San Francisco: Jossey-Bass.
  30. Granovetter, Mark S.,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 1973, pp.1360-1380. https://doi.org/10.1086/225469
  31. 염민선, 조혜정, "유통 볼런터리체인에서 조직 구조특성, 관계특성이 네트워크 역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자원기반이론과 네트워크이론의 통합관점," 마케팅연구, 제29권, 제1호, 2014, pp.149-177.
  32. 박상혁, 박정선, 이명관, "성공적인 6차산업을 위한 가치사슬 모형과 빅데이터 활용 방안,"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1권, 제2호, 2015, pp.141-152.

Cited by

  1. 플립드러닝과 하브루타 학습법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코딩 수업 설계 및 적용 vol.14, pp.2, 2017, https://doi.org/10.17662/ksdim.2018.14.2.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