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피터 드러커, Next Society, 한국경제신문사, 2002.
- 홍효정, 이재경,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교양교육 연구, 제9권, 제3호, 2015.
- 이화선, 최인수, "대학교양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의 방향," 창의력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2014, pp.1-17.
- Wing, J. M.,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 ACM 49, 2006, pp.33-35.
- B. C. Czerkawski, E. W. LymanIII, "Exploring issues about computational thinking in higher education," Tech Trends, Vol. 59, No. 2, 2015, pp.57-65. https://doi.org/10.1007/s11528-015-0840-3
- CSTA & ISTE,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education teacher rewource second edition," http://www.iste.org/docs/ct-documents/ct-teacher-resources_2ed-pdf.pdf?sfvsn=2, November, 11, 2015.
- 한선관, 류미영,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생능출판, 2016.
- 최정원, 이영준, "컴퓨팅 사고력 평가 방안 설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2권, 제2호, 2014, pp.177-178.
- 나정은,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교과과정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1월, 2015, pp.161-166.
- 박성희,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대학에서의 SW 교육에 관한 고찰,"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4호, 2016, pp.1-10. https://doi.org/10.14400/JDC.2016.14.4.1
- 차준섭, "대학 SW교육의 현장 적합도 분석에 기반한 현장 맞춤형 SW 교육 과정 설계에 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4권, 제4호, 2015, pp.86-92.
- 김재휘.김동호,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20권, 제1호, 2016, pp.69-82.
- 이민하,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8권, 2017, pp.195-206.
- 조연순, 성진숙, 이혜주, 창의성 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방법,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 홍효정, 이재경,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교양교육 연구, 제9권, 제3호, 2015, pp.163-192.
- 김영정,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한국 인지과학회 논문지, 제13권, 제4호, 2002.
- Schwarz, R(2002), The skilled facilitator: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consultants, facilitators, managers, trainers, and coaches., John Wiley & Sons.
- d.school, 'd.school bootcamp bootleg', 2013. (http://dschool.stanford.edu/wp-content/uploads/2013/10/METHOCARD-v3-slim.pdf)
- 톰 켈리, 데이비드 켈리, 유쾌한 크리에이티브, 청림출판사, 2014.
- CNET Korea. What is Design Thinking? Why do you need?, 2014, (http://www.cnet.co.kr/view/11335).
- 박상혁, 오승희, "사회혁신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디자인 씽킹과 비즈니스 모델 젠 연계 방법론,"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3권, 제1호, 2017.
- 곤노 노보루, 디자인 씽킹, Argo9 Media Group, 2010.
- 하주현, "문제발견, 창의적 사고, 창의적 인성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3호, 2003, pp.99-115.
- Brown, T., Design thinking. Harvard business review, 86(6), 2008.
- Bergevin P., A Philosophy for Adult Education, Seabury Pr., 2006.
- 송영수, "기업내 HRD 활동을 위한 퍼실리테이터의 역할 및 필요역량 탐색," 기업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2010, pp.51-72.
- 잉그리드 벤스, 퍼실리테이션 쉽게 하기, ORP연구소, 2006.
- 기미토시 호리, 문제 해결을 위한 퍼실리테이션의 기술, 일빛, 2005.
- Schwarz, R(2006)., The facilitator and other facilitative roles. Organization Development: A Jossey-Bass reader. San Francisco: Jossey-Bass.
- Granovetter, Mark S.,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 1973, pp.1360-1380. https://doi.org/10.1086/225469
- 염민선, 조혜정, "유통 볼런터리체인에서 조직 구조특성, 관계특성이 네트워크 역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자원기반이론과 네트워크이론의 통합관점," 마케팅연구, 제29권, 제1호, 2014, pp.149-177.
- 박상혁, 박정선, 이명관, "성공적인 6차산업을 위한 가치사슬 모형과 빅데이터 활용 방안,"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1권, 제2호, 2015, pp.141-152.
Cited by
- 플립드러닝과 하브루타 학습법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코딩 수업 설계 및 적용 vol.14, pp.2, 2017, https://doi.org/10.17662/ksdim.2018.14.2.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