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원구, 강민희, 양정림 등(2009). 컴퓨터를 이용한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노인과 치매노인의 뇌 활성화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 1-13.
- 강진호(2016). 전산화 인지훈련이 경증 치매환자의 인지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 삶의 질에 미치는 영 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8(2), 71-83.
- 김연희(2006). 노인 인지기능장애의 재활치료, 대한임상 노인의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52-57.
- 김연희, 장은혜, 이상직 등(2003). 기억력 훈련을 위한 컴퓨터 인지치료프로그램의 개발. 대한재활의학회지, 27(5), 667- 674.
- 김영근(2011). 한국형 컴퓨터기반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 임상적 효과 검증. 부산, 부산대학교.
- 김훈주, 이성자, 감경윤(2009). 컴퓨터-보조 인지프로그램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에 관한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2(2), 35-46.
- 박수희, 양영애(2011). 치매 환자 인지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5(2), 9-15.
- 박주영, 박주형, 양영애(2009). 부산.경남 지역의 컴퓨터- 보조 인지재활 프로그램(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CACR)의 사용 현황.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3(1), 43-53.
- 손지형, 박소연, 김진경(2013).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이 경증치매노인의 기억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7(1), 1-14.
- 오병훈, 김영기, 김지혜 등(2003). 인지재활훈련이 노인성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45(4), 514-519.
- 이병희, 박준수, 김나라(2011).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인지, 신체적 수행능력, 보행,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2), 307-328.
- 이효정(2016). 맞춤형 인지프로그램이 치매와 경도인지 손상노인의 LOTCA-G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4(1), 21-29. https://doi.org/10.15268/KSIM.2016.4.1.021
- 정복희(2016). 복합재활중재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저하와 치매환자의 인지와 손기능에 미치는 연구. 대한통합의학회지, 4(3), 49-59. https://doi.org/10.15268/KSIM.2016.4.3.049
- 정원미, 황윤정, 윤종철(2010). 지역사회 경증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재활 치료(COMCOG)효과. 한국노년학회지, 30(1), 127-140.
- 정진숙, 이근매(2010).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 콜라주 미술치료가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7(1), 131-148.
- 중앙치매센터(2016). 대한민국치매현황 2016.
- 함민주, 황윤희, 엄숙 등(2010). 전산화 인지프로그램 (Rehacom)이 치매노인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전 연구.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2(2), 41-49.
- Caselli RJ, Beach TG, Yaari R, et al(2006). Alzheimer's disease a century later. J Clin Psychiatry, 67(11), 1784-1800. https://doi.org/10.4088/JCP.v67n1118
- Chen SH, Thomas JD, Glueckauf RL, et al(1997).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11(3), 197-210. https://doi.org/10.1080/026990597123647
- Cipriani G, Bianchetti A, Trabucchi M(2006). Outcome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compared with those on patients affected by mild cognitive impairment. Arch Gerontol Geriatr, 43(3), 327-335. https://doi.org/10.1016/j.archger.2005.12.003
- Cummings JL, Vinters HV, Cole GM, et al(1998). Alzheimer's disease etiologies, pathophysiology, cognitive reserve, and treatment opportunities. Neurol, 51(1 suppl 1), S2-S17.
- Eriksson M, Dahlin-Ivanoff S(2002). How adult with acquired brain demage perceive computer training as a rehabilitation too: a focus-group study. Scand J Occup Ther, 9(1), 119-129. https://doi.org/10.1080/11038120260246950
- Glisky EL(1997). Rehabilitation of memory dysfunction. In: Feingerg TE, des, Behavioral Neurology and Neuropsychology. New York, McGraw Hill, pp.491-495.
- Galante E, Venturini G, Fiaccadori C(2007). Computer-based cognitive intervention dementia; preliminary results of a randomized clinical trial. G Ital Med Lav Ergon, 29(3), B26-32.
- Gold DA(2012). An examination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essment in order adult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J Int Neuropsychol Soc, 34(1), 11-34.
- Gunther VK, Schafer P, Holzner BJ, et al(2003). Long-term improvements in cognitive performance through computer- assisted cognitive training: A pilot study in a residential home for older people. Aging and Mental Health, 7(3), 200-206. https://doi.org/10.1080/1360786031000101175
- Hofmann M, Rosler A, Schwarz W, et al(2003). Interactive computer- training as a therapeutic tool in Alzheimer's disease. Compr Psychiatry, 44(3), 213-219. https://doi.org/10.1016/S0010-440X(03)00006-3
- Zoltan B(1996). Vision, perception and cognition. 3rd ed, New Jersey, Slack.
- Kashima H, Kato M, Yoshimasu H, et al(1999). Current trends in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memory disorders. Keio J Med, 48(2), 79-86. https://doi.org/10.2302/kjm.48.79
- Trombly CA, Ma HI(2002). A synthesis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ersons with stroke, part I: Restoration of roles, tasks, and activities. Am J Occup Ther, 56(3), 250-259. https://doi.org/10.5014/ajot.56.3.250
- World Health Organization(1992).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 10th edition, Geneva, W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