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a nationwide survey of the occurrence and density of the migratory locust (Locusta migratoria), high density was continuously observed in the reclaimed areas of Mangun-myeon in Muan-gun, Jeollanam-do, and Sanye-myeon in Haenam-gun, Jeollanam-do, Korea. We have analyze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NADH dehydrogenase subunit (NAD) 2, NAD4, and NAD5 genes in order to determine the origins of the migratory locusts at two sit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igratory locusts in Haenam-gun were closely related with those in Liaoning Province and Heilongjiang Province in the northeast China. In contrast, the migratory locusts in Muan-gun were most similar to those in Japan. Because Korean migratory locusts were not included in the previous global study on the evolution and migration of migratory locusts, we did not know the origin of Korean migratory locusts, earlier. Phylogenetic analyse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igratory locusts from the northeast Chinese population might have migrated and settled in Haenam-gun in Korea. Moreover, another northeast Chinese population might have migrated to Muan-gun in Korea though Sakhalin, Russia and Hokkaido, Japan. However, the possibility that the migratory locusts moved from northeast China might be isolated from each other in Korea, and that the Muan population might migrate to Japan cannot be excluded.
풀무치의 전국적인 발생현황 및 밀도조사의 결과, 한국에서는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과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간척지에서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밀도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우리는 두 지점에서 발생하는 풀무치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하여 NADH dehydrogenase subunit (NAD) 2, NAD4 와 NAD5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남풀무치의 경우는 중국동북부의 Liaoning성 과 Heilongjiang성 개체군과 기원이 비슷하고, 무안풀무치의 경우는 일본풀무치와 기원이 비슷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전의 전 세계적인 풀무치의 진화에 관한 연구에서 한국의 풀무치가 포함이 되지 않아서 한반도 풀무치의 기원은 알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북동부 지방에서 8만 년 전에 분리된 풀무치 중 일부가 한반도로 이동을 하여 해남 지역에 정착을 하고 일부는 러시아 사할린과 일본 홋카이도섬을 거쳐서 무안으로 이동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로 내려온 풀무치가 해남과 무안계통으로 분리된 후 일본으로 이동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