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쇄원 48영」과 「소쇄원도」에 나타난 식물의 의미와 위치

The Meaning and Location of the Plants in 48 Yeong and Soswaewondo

  • 투고 : 2017.10.11
  • 심사 : 2017.12.26
  • 발행 : 2017.12.31

초록

Soswaewon as a typical villa garden of Korea is a symbolic garden that its diverse compositions imply a specific meaning. This study reviewed the purpose of introduction, meaning, and location of the landscape plants as one of the compositions and covering quite a large part of Soswaewon through 48 Yeong (meaning 48 poems of Soswaewon) and Soswaewondo (meaning Map of Soswaewon). In 48 Yeong, 27 verses describe landscape plants as their key poetic matter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top 3 plants are bamboos, pine trees, and Japanese apricots. The three plants are called Sehansamwoo(歲寒三友) showing constant fidelity and loyalty in any changing situations, which was regarded to represent the nature of scholars. And also the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and planting location of the plants in Soswaewon by comparing 48 Yeong and Soswaewondo, and the result showe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That seems to be caused by the limitations in the comparison, because in case of 48 Yeong, the location and frequency of landscape plants can be examined only through the context of the verses, and Soswaewondo showed different production time from 48 Yeong and expressed them only in a form of drawing. The plants have symbolic meanings multi-layered and ambiguous. With their symbolic meanings, the landscape plants reviewed through 48 Yeong consistently represent fidelity and loyalty, man of virtue, and hermit. That is, Soswaewon is the garden granting some significance to its compositions by interacting with the thing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희안, '양화소록', 개정판, 이병훈 역, 을유문화사, 서울, 2000
  2. 국립문화재연구소, '원림 복원을 위한 전통공간 조성기법 연구: 명승 제40호 담양 소쇄원', 대전, 2015
  3.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초판, 태학사, 서울, 2013
  4. 고규홍, '이 땅의 큰 나무', 초판, 눌와, 서울, 2003
  5. 김영모, '시짓기와 원림 조영방법에 관한 연구: 瀟灑園四十八詠을 통해본 瀟灑園의 造營方法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1권, 2호, 2003, 1-17쪽
  6. 김진성, '소쇄원의 식물 1. 소쇄원48영(瀟灑園四十八詠)의 조경 식물', 전남대학교 소쇄원연구회 세미나, 2016.12.
  7. 김준연, '시대에 따른 소쇄원 수목의 변화에 대한 고찰',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5권, 6호, 2012, 511-515쪽
  8. 김현미, '조선시대 별서정원 소쇄원의 意境양상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박상진, '궁궐의 우리 나무', 개정판, 눌와, 서울, 2011
  10. 박준규.최한선.박행보(2001), '시와 그림으로 수놓은 소쇄원 사십팔경', 초판, 태학사, 서울, 2000
  11. 소쇄원시선편찬위원회, '소쇄원시선', 2판, 소쇄원.담양군, 1997
  12. 심우경, '소쇄원에 내재된 상징성', '소쇄처사 양산보 탄신 500주변 기념 국제심포지움', 한국정원학회, 2003.10.17.
  13. 위첨첨.김재식.김정문, '담양소쇄원과 소주창랑정의 조영사상과 경관구성요소에 관한 意味비교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권, 1호, 2017, 36-47쪽 https://doi.org/10.14700/KITLA.2017.35.1.036
  14. 유재은, '소쇄원의 조경식물에 대한 고찰', 명지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8집, 1999, 70-82쪽
  15.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개정판, 넥서스 BOOKS, 서울, 2004
  16. 이선,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한국 전통 조경식재', 초판, 수류산방.중심, 서울, 2006
  17. 정동오, '양산보의 소쇄원에 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1권, 2호, 1973, 27-33쪽
  18. 정동오, '소쇄원의 조경식물', 호남문화연구, 9집, 1977, 135-155쪽
  19. 조규희, '조선시대 별서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20. 천득염.한승훈, '소쇄원도와 (소쇄원)사십팔영을 통하여 본 소쇄원의 구성요소', 건축역사연구, 3권, 2호, 1994, 67-90쪽
  21. 천득염, '한국의 명원 소쇄원', 초판, 발언, 서울, 1999
  22. 천득염, '은일과 사유의 공간: 소쇄원', 초판, 심미안, 광주,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