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inkability of Public Inform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공공데이터 간 연관성에 관한 연구

  • Jeong, Da Woon (Graduate School of Urban Information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 Yi, Mi Sook (Dept. of Urban Information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 Shin, Dong Bin (Dept. of Urban Information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Received : 2017.10.24
  • Accepted : 2017.12.18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In Korea, starting with the Government 3.0 Policy, the utilization of public data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to promote economic growth has been highlighted as a major issue. However Korea is currently only able to open and provide accumulated data stored in the public domain. To resolve this issue, we need to not only open and provide public information, but also to create new information by linking the data and developing related services.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linkability of public information and provides lists of the linkable public data.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have performed preconditioning processes on the accessi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data. Next, we have deduced the major keywords in public data through analyzing the morphemes, and then the core keywords (Top 10) and their linkable keyword lists through an analysis of social networks. Based on the outcome of this study, a subsequent study will deduce new information by linking the public data and creating various services and information contents. Furthermore, not only conceptual but also practical linking measures need to be created, and a related law must be prepared.

한국은 정부 3.0 정책을 기조로 하여 경제 성장을 증진하기 위한 주요 추진 동력으로써 공공데이터의 활용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정부는 현재 공공 영역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의 공개나 제공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단순 공공데이터뿐만 아닌 공공데이터 간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정보를 창출하고, 관련 서비스의 개발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목록을 수집 및 정제하고,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해 핵심 주제별 연관성이 높은 공공데이터 정보 목록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수집한 공공데이터 목록을 지자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접근 용이성 측면과 가공 용이성 측면에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불필요한 공공데이터를 정제하였다. 다음으로 개념적인 차원에서의 공공데이터 간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형태소 분석을 통해 공공데이터의 대표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후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핵심 키워드(상위 10개) 및 연관성이 높은 공공데이터 목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공공데이터 간 연계를 통해 융${\cdot}$복합된 새로운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개념적 연계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연계 방안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법${\cdot}$제도적 정비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ang, H.L., Kang, G.W., Lee, E.J., and Kim, S.R. (2012), Analysis of research subject network in the field of oncogene,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5, No. 2, pp. 369-3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Kim, J.W., Lee, D.H., and Bae, S.H. (2014), A study on the current legal issues of the re-use of the public sector data in Korea, Korean Lawyers Association Journal, Vol. 63, No. 4, pp. 5-45. (in Korean)
  3. Lee, S.K., Jung, S.W., Kim, H.G., and Yom, Y.H. (2011),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opics in Korean nursing sc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5, pp. 623-6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23
  4. Seo, H.J. and Myeong, S.H. (2014), Policy alternatives for user-oriented public data utilization : focusing on ICT managers' perception in private sector,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 17, No. 3, pp. 6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