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planation of the Title of 'Siyongjeongdaeeopbo' in Daeakhubo Volume 2

『대악후보』 권2 시용정대업보(時用定大業譜) 편명(篇名) 해설 고찰

  • Lee, Jong-Sook (Department of Da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Nam, Sang-Sook (School of Korean Tradition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 이종숙 (국립강원대학교 무용학과) ;
  • 남상숙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 Received : 2016.09.08
  • Accepted : 2016.11.02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disclose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erroneous explanation of the title of the musical script 'Jeongdaeeop,' which is Jongmyojeryeak(Jongmyo Shrine ritual music), shown in Daeakhubo, Korea's treasure No.1291. Daehakhubo imitated and adopted expressions like 1 Byeon(change) and 1 Pyeon(edition), shown in the music written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the foundation of Jongmyojeryeakbo music. Originally, 'Jeongdaeeop' record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consisted of 6-Byeon and 13-Pyeon compositions, except Inlet and Outlet tunes. King Sejo, however, while rearranging this music into Jongmyo Shrine Mumuak music, reduced it to 9 tunes. And, when registering such arrangements in the musical scripts in the Annuals of King Sejo, he did not list the explanation of the titles as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He just listed the nine tunes. In contrast to the musical scripts in the Annals of King Sejo, in Daeakhubo the details of Byeon and Pyeon under the nine tune titles are listed as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This study revealed that Byeon and Pyeon expressed in Daeakhubo were the results of arbitrarily transcribing the different Byeon and Pyeon of 'Jeongdaeeop' and 'Balsang'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into the revised 'Jeongdaeeop'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hus, under the titles of each score in 'Jeongdaeeop' of Daeakhubo are written the explanations of the muscial scores shown in both 'Jeongdaeeop'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and 'Balsang'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Thus, the story of the son Ikjo is described even ahead of the story of the father Mokjo, and stories total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ovements are described, creating overall errors. Such errors were presumably caused by powers that created the false musical script 'Sokakwonb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and disguised it as a traditional musical script.

대한민국의 보물 제1291호인 "대악후보(大樂後譜)" 소재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ll}$정대업(定大業)${\gg}$악보의 편명(篇名)에 대한 해설 오류의 문제점을 밝힌 논문이다. 종묘제례악보의 근간이 된 "세종실록(世宗實錄)" 악보에 표기된 제1변(變) 제1편(編)과 같은 표기가 "대악후보"에 모방 도입되어 있다. 본래 세종조의 ${\ll}$정대업${\gg}$은 인입(引入)과 인출(引出) 곡을 제외하고, 6변 13편으로 작곡되었다. 그런데 세조는 이 음악을 종묘의 무무악(武舞樂)으로 개편하면서 9곡으로 축소정리하였다. 그리고 "세조실록(世祖實錄)" 악보에 기재할 때 편명 아래에 "세종실록" 악보와 같은 편명 해설은 첨부하지 않았다. 그냥 9곡의 악조(樂調)에 대해서만 표기했었다. "세조실록" 악보와는 대조적으로 "대악후보"에는 "세종실록" 악보처럼 변과 편이 9곡 편명 아래에 일일이 표기되어 있다. 본 연구결과 "대악후보"에 표기된 변 편은 "세종실록"의 ${\ll}$정대업${\gg}$${\ll}$발상(發祥)${\gg}$곡의 각기 다른 변 편 표기와 해설을 세조조 개편된 ${\ll}$정대업${\gg}$에 순서대로 임의 표기한 것임을 밝혔다. 즉 "대악후보" ${\ll}$정대업${\gg}$의 악곡들 편명 아래에는 "세종실록"의 ${\ll}$정대업${\gg}$ 편명해설과 "세종실록" ${\ll}$발상${\gg}$ 9곡 편명해설이 나란히 기술되어 있다. 그 결과 아들인 익조(翼祖)의 이야기가 아버지인 목조(穆祖)의 이야기에 앞서 나란히 기술되기도 하고, 본래의 악장 내용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가 기술되는 등 전반적인 오류가 발생했다. 이같은 오류는 일제강점기 "속악원보(俗樂源譜)"라는 허구의 악보가 제작되고, 이 허구를 전통성으로 가장하려는 세력에 의해 발생하였다고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세조실록
  2. 세종실록
  3. 국립국악원 편, 1989, 속악원보(全), 한국음악학자료총서11, 서울 은하출판사, p.45(인편), 57(의편), 76(예편), 106(지편), 134(신편)
  4. 국립국악원 편, 1981, 대악후보(全), 한국학자료총서1, 서울 전통음악연구회, p.52
  5. 김미영, 2010, <정대업(定大業)>과 <파진악(破陣樂)>의 연출 양식 비교 -춤대형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5호, 대한무용학회, pp.1-23
  6. 김종수 역주, 1994, 역주 증보문헌비고 -樂考-, 上, 서울국립국악원, p.175
  7. 남상숙, 2009, 조선조 궁중음악의 단절과 속악원보, 서울 민속원, p. 34, 36, 91, 113, pp.414-415
  8. 남상숙, 2005, 대악후보와 속악원보의 영산회상 연구, 한국전통음악학, 6호, 한국전통음악학회, pp.221-239
  9. 남상숙, 2004, 대악후보,의 영산회상과 4.2.4.4.2.4 육대강보 고찰, 한국음악연구, 35, 한국국악학회, pp.41-68
  10. 남상숙, 2003a, 속악원보,의 편찬체제와 수록곡 분석, 종묘제례악의 전승 -국악학 학술회의-, 국립국악원.문화재청 주최, 국악연수관 207호, p.59, 61, pp.56-58
  11. 남상숙, 2003b, 종묘제례악보 고찰 -세조실록악보,에서 현행까지-, 한국음악사학보, 31, 한국음악사학회, p.21, 25
  12. 송혜진, 2003, 20세기 보태평.정대업의 전승과 연원에 관한 소견, 종묘제례악 및 일무 관련 학술발표회, 자료집(종묘제례보존회),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p.65
  13. 이종숙, 2012, 종묘제례악 일무의 왜곡과 실제, 서울 민속원, p.35
  14. 국조보감, 제7권, 세종조 3, 27년(을축, 1445), 한국고전번역원,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a006&gunchaId=av007&muncheId=01&finId=008 (2016.8.13.검색)
  15. 속악원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2016.8.24. 검색)
  16. 한국고전번역원, http://sillok.history.go.kr/search/inspectionDayList.do?id=kda_12906004_001 (2016.8.13.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