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tupa of Buddhist Monk Soyo in Baegyangsa temple, Jangseong, was erected to pay a 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Buddhist monk Soyo, who worked for Baegyangsa temple as a chief monk, and is a bellshaped stupa with the detailed pattern of a Korean traditional buddhist bell. It is composed of pinkish-grey sandstone and the body of the stupa was damaged by longitudinal cracks on the front and back areas and the exfoliation caused break-out in the most part of the sculpture on the left and right areas. According to the ultrasonic test and infrared thermography analysis for physical deterioration diagnosis, most weathering aspects appeared on the body of the stupa and some exfoliated part that could not be seen with the naked eye was detected 6.1% and 5.9% on the left and right side respectively. Hyperspectral imaging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assess biological deterio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urface of the stupa was covered 71.8 ~ 79.9% with vegetation like algae, lichen and moss.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was higher relatively on the bottom part near the ground, right and back areas of the stupa. Therefor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exfoliated part and bio-deterioration is necessary and the environment condition needs to be fixed to prevent extra damages on the stupa.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은 백양사 주지를 역임한 소요대사의 유업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범종의 세부양식이 그대로 표현되어 있는 석종형의 승탑이다. 이 승탑은 담회색의 사암으로 구성되며, 탑신석의 전 후면에는 수직균열이 관찰되고 좌 우면에는 박리 박락으로 인해 조각의 상당부분이 유실되어 있다. 초음파측정 및 적외선 열화상 분석을 실시하여 물리적 손상도를 평가한 결과, 소요대사탑은 탑신석에 풍화양상이 집중되어 나타나며, 이미 박락이 발생한 영역의 주변으로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는 박리부가 좌면에서 6.1%, 우면에서 5.9% 확인된다. 또한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 분석으로 생물학적 손상도를 평가한 결과, 승탑 좌 우면의 71.8%와 79.9%가 생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생물의 활력도는 우면, 후면과 지면에서 가까운 기단석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진단결과를 종합한 결과, 향후 지속적으로 훼손이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는 박리영역과 생물에 대한 1차적인 보존처리와 함께 보존환경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