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Sustainability of 'Making Traditional Soy Sauce' in Korea

'장 담그기'의 전승양상과 지속가능성에 관한 고찰

  • Yang, Mi-kyoung (Dept. of Cultural Properties Managemen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양미경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리학과)
  • Received : 2016.06.30
  • Accepted : 2016.08.04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ransmission of foo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ries to answer what maintains and promotes traditional food culture, though researching into the specific example of 'making traditional soy sauce.' For that, I chose three different cases to research into the continuation and change in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soy sauce making. The first instance is when the informant makes traditional soy sauce by herself. The second example is when the informant makes traditional soy sauce with ready-made soybean lumps.The last case is that people sharing the same ideology about food organize a community('kye') and make soy sauce together each year and reserve 'seed soy sauce.' This is a new type of food community. The changes in tools and skills,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in food communities caused changes in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soy sauce making. Because of these factors, the way of making traditional soy sauce is changing a lot. The informants, however, believed that the tradition of 'making soy sauce' will last, as far as the taste of soy sauce made in the traditional method stays the same. Therefore,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sustain communities of people who remember and enjoy the taste of traditional soy sauce in order to keep the tradition of making traditional soy sauce.

본고는 '장 담그기'라는 구체적 사례를 통해 무형유산으로서 음식의 전승성이라는 문제를 살펴보고, 음식관습을 지속 유지시키는 원동력이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서로 다른 세 가지 유형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장 담그기'의 전승양상에서 나타나는 지속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사례는 '장 담그기'의 전과정을 직접 수행하는 경우다. 두 번째는 구입한 메주로 '장 담그기'를 실천하고 있는 사례다. 세 번째 사례는 음식에 관한 이념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 계를 조직하여 매년 장을 담그고 '씨간장'을 적립해가는 경우로, 매우 새로운 음식공동체의 출현을 엿볼 수 있다. '장 담그기'전승에서 변화를 이끌어내는 요인은 도구와 기술, 생산과 소비, 그리고 음식공동체의 변화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인들 때문에 오늘날 '장 담그기'전승은 실제 상당 부분 변화되고 있지만, 면담대상자들은 전통적 방식으로 만든 장맛이 유지되는 한 본인들의 '장 담그기'전통은 지속된다고 믿고 있었다. 따라서 '장 담그기'가 계속 전승되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장맛을 기억하고 향유할 줄 아는 '맛의 공동체'의 지속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박물관, 2001, 경기민속지 -의식주편- 4
  2. 김지선, 2015, 농촌 간장문화의 전통과 변화 -안동 가일마을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대전역사박물관, 2012, 조선 사대부가의 상차림
  4. 문화재관리국, 1969-1981,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12
  5. 배영동, 2002, 된장을 통해 본 민족음식의 전통과 변화 한국민속학 제35집, 한국민속학회
  6. 빙허각 이씨.이민수 역, 1988, 규합총서, 기린원
  7. 서유구.이효지 외 역, 2012, 임원십육지 정조지, 교문사
  8. 송재선, 1998, 음식속담사전, 동문선
  9. 안일국, 2010, 전통적 된장 담그기의 전승지식과 전승양상 - 안동시 풍산읍 소산 1리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한창 외, 2004, 발효식품학, 신광출판사
  11. 이한창, 1999, 장 역사와 문화와 공업, 신광출판사
  12. 정동효 외, 2006, 콩발효식품, 홍익재
  13. 주영하, 2014, 오해와 자가당착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2014 비교민속학회 추계대회 발표집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비교민속학회
  14. 주영하, 2013, 식품공업업의 성장과 뒤안길 식탁 위의 한국사, 휴머니스트
  15. 주영하, 2011, 식구론 -주택과 가족제도의 변화가 음식 소비에 미친 영향- 음식인문학, 휴머니스트
  16. 주영하, 2003, 음식과 식민주의 -외래문화가 음식민속에 끼친 영향- 실천민속학 새책 제4집, 실천민속학회
  17. 줄리언 바지니.이용재 옮김, 2015, 철학이 있는 식탁, 이마
  18. 함한희, 2014, 김장, 가족 그리고 전승성 2014 제2회 김치학 심포지엄 발표집 - 김치의 인문학적 이해-, 세계김치연구소
  19. Fieldhouse, Paul., 2002, Food and Nutrition : Customs and culture, nelson thornes
  20. 경향신문, 1998. 11. 12, 반짝 아이디어 '깜짝 히트'
  21. 경향신문, 1984. 4. 3, 아파트에서도 장 담글 수 있다
  22. EBS 다큐프라임, 2012. 3. 13, 한국음식을 말하다 2부 - 밥상 위의 근대
  23. <국가통계포탈> 홈페이지(http://kosis.kr)
  24.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cha.go.kr)
  25.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http://www.mfds.go.kr/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