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ssible E-Book Interaction Technology Trends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의 인터랙션 기술동향

  • Published : 2016.12.01

Abstract

본 문서에서는 장애인 접근성을 지원하는 전자책 시스템에서 시각장애인 또는 독서장애인 사용자와 전자책뷰어간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기술 전반 및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그리고 '인터랙션'이라는 독립된 기술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접근성 관련 국내 외 표준 및 가이드라인과 전자책 뷰어 및 스크린리더 제품군, 그리고 새로운 인터랙션 연구 문헌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의 인터랙션 기술개발 방향에 참고할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사용자 및 시스템 특성 고려사항을 분석해본다. 이를 근거로 접근성을 지원하는 전자책 인터랙션 기술의 향후 개발 방향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시각장애인 및 독서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전자책 응용 등 관련된 기술개발에 참고가 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Gutenberg Project, www.gutenberg.org
  2.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3. 한국정토통신기술협회, www.tta.or.kr
  4. W3C의 WAI, www.w3.org/WAI
  5. 이경호, "전자책 포맷 기술 및 표준 동향," TTA Journal, 제130권, 2010, pp. 47-52.
  6. 정의석, "EPUB3.0," TTA Journal, 제144권, 2012, pp. 55-58.
  7. 남동선, "전자책 및 전자출판 시장 동향," 정보과학회지, 제28권, 2010, pp. 16-25.
  8. NULI, nuli.navercorp.com
  9. EPUB3 Accessibility Guidelines Accessibility QA Checklist, www.idpf.org/accessibility/guidelines/content/qa/qachecklist.php
  10. 국제 DAISY Consortium, www.daisy.org
  11. www.apple.com/accessibility/osx/voiceover
  12. www.apple.com/accessibility/ios/voiceover
  13. J. Preece and H. Sharp, "Interaction Design: Beyond Human-Computer Interaction," Wiley.
  14. 김현경, "IT 인터랙션 장애의 정의 및 세부유형 분석," 대한인간공학회, 2014, pp. 6-10.
  15. 김정심, "전자출판물 활용을 위한 독서장애인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9권, 2015, pp. 75-97.
  16. 이경희, "독서장애인용 모바일 전자책뷰어 인터페이스 설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제16권, 2013, pp. 100-107.
  17. 정원홍,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시각장애인용 음성도서 서비스 모델 구축 및 평가," 정보관리학회지, 제32권, 2015, pp. 221-236.
  18. 권정민, "햅틱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장애 아동 교육 콘텐츠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2011, pp. 505-517.
  19. C. Xu, "Tactile Display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TeslaTouch," CHI, 2011, pp. 317-322.
  20. H.S. Shin, "Background Display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Mobile Touch Devices," ICCE, 2013, pp. 464-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