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rrelation between Motor Capacity, Capability, and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뇌성마비 아동의 능력, 수행능력, 수행 간 상관관계

  • Kim, JangGon (Dept. of Physical Therapy, Youngdong University) ;
  • Kim, TaeYoon (Dept. of Physical Therapy,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김장곤 (영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김태윤 (원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Received : 2016.04.30
  • Accepted : 2016.06.25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tinguish 3 concepts(capacity, capability, and performance) for the motor activ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CP) and examinate relation between capacity(can do in a standardized environment), capability(can do in daily environment), and performance(does do in daily environment). Cross-sectional analysis with a assessment record of children with CP (n=40; 19males, 21 females; mean age 6y 6mo, SD 3y 8mo) was performed. Levels of severity according to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GMFCS) included level1(13%), level2(10%), level3(43%), level 4(33%), and level 5(3%). Motor activities capacity was assessed by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66). Capability and performance were assessed using 2 scales(functional skill, caregiver assistance) of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Correlations between capacity and capability was 0.811(p < .05), and between capability and performance were high(r=0.711, p < .05).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apacity and performance is the lowest(r=0.711, p < .05). Motor performance levels are only partly reflected by the motor capacity and motor capability levels in children with CP. Because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Contextual factors (particularly, social factors such as family fun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and evaluate the capacity, capability, and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활동에 대한 3가지 개념(능력, 수행능력, 수행)을 구분하고 능력(표준화된 환경에서 할 수 있는 것), 수행능력(일상 환경에서 할 수 있는 것), 수행(일상환경에서 하는 것) 사이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평균연령 6.6세의 뇌성마비 아동 40명(남자 19명, 여자 21명)의 평가 기록을 이용한 단면조사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대운동기능분류체계(GMFCS)에 따른 중증도는 1단계 13%, 2단계 10%, 3단계 43%, 4단계 33%, 4단계 3%였다. 운동활동 능력은 대동작기능평가(GMFM)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수행능력과 수행은 소아장애평가척도(PEDI)의 2가지 척도(기능적 기술, 보호자 도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능력과 수행 사이의 상관관계는 0.811(p<.05)이었고, 수행능력과 수행 사이의 상관관계는 0.845(p<.05)로 가장 높았다. 능력과 수행 사이의 상관관계는 0.711(p<.05)로 가장 낮았다.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에 대한 능력과 수행능력은 일상생활에서의 수행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 수행에는 배경요인(특히, 가족기능과 같은 사회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능력, 수행능력, 수행에 대해 명확하게 구분하여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