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 Customized Integrated Health Care Program for Male Living Alone

독거남성을 위한 맞춤형 통합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임순희 (충청남도 예산군 보성보건진료소) ;
  • 장양민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6.10.15
  • Accepted : 2016.12.26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Customized Integrated Health Care Program' for male living alone in a single region and assist health promotion of the participants. Methods: This study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Eleven participants in the 'Happy Cooking Class for Male Living Alone' who made 100% of attendance from February 18 to September 8, 2016 were analyzed. Nonparametric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BP), Blood sugar(BS), Cholesterol, Hemoglobin(Hb), Dementia screening test, Depression screening te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Customized Integrated Health Care Program. Results: After applying the 'Customized Integrated Health Care Program', Hb level(z=-2.724, p=.006) and Dementia screening test(z=-1.974, p=.048)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nclusion: As the elderly living alone increase in number, it seems that social support networks and health care programs contribute to health promotion of the participants and positively affect the rest of their life.

Keywords

References

  1. 김신월, 신준호, 손석준, 허영란, 강명근 (2009). 일 농촌지역에서 수행된 노인 영양 공급 프로그램의 효과. 농촌의학․지역보건, 34(1), 113-123.
  2. 김예성 (2014). 노인의 독거여부에 따른 건강 증진행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4(3), 400-429.
  3. 김지은, 신상아, 이동우, 박준현, 홍은주, 정효지 (2015). 한국 노인의 식생활 지침 실천도와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관련성.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8(3), 221-227. https://doi.org/10.4163/jnh.2015.48.3.221
  4. 남기민, 정은경 (2011).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2(0), 325-348.
  5. 보건복지부(2014). 노인실태조사, www.mohw.go.kr
  6. 박수현, 박경영 (2014). 독거노인을 위한 관계 형성 집단활동프로그램.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8(2), 43-51.
  7. 박진경, 손숙미 (2003). 독거 여자 노인의 식행동, 우울정도와 영양소 섭취량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8(5), 716-725.
  8. 석재은, 장은진 (2016). 여성독거노인과 남성 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1(2), 321-349.
  9. 손숙미, 김문정 (2001). 보건소 내원 노인들의 질병별 영양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4), 668-677.
  10. 신길자, 조홍근 (1997). 한국인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계절변화에 따르는 혈압변동에 대한 연구. 대한내과학회, 53(6), 769-777.
  11. 이수정, 류현숙, 송경희, 이홍미 (2015). 일부 농촌 지역에서 회합 급식을 하는 여자 노인의 우울 정도, 신체계측 및 영양섭취실태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8(4), 517-526. https://doi.org/10.9799/ksfan.2015.28.4.517
  12. 이해원 (1997). 노인복지론. 서울: 유풍출판사.
  13. 이혜숙, 최귀화, 유영경, 임신일 (2012). 노인 대상의 교육 및 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의 메타분석. 노인복지연구, 56(0), 93-114.
  14. 통계청 (2015).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 http://kostat.go.kr/
  15. 통계청 (2016).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 http://kostat.go.kr/
  16. 정경희(2016). 노년기 거주 현황과 과제: 거주 실태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239, 6-20.
  17. 추수경, 강남이, 이승훈 (2007). 성남시 독거노인의 맞춤형 영양 처방 음식 제공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4), 467-475.
  18. 최영희, 신경림, 김옥수, 고성희, 공은숙, 김건희 등 (2015). 노인과 건강, (5). 서울:현문사.
  19. 최용민, 이상주 (2003). 사회적 지원망이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2(1) 193-217.
  20. 최희정, 유장학 (2011).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17(2), 149-155. https://doi.org/10.14370/JEWNR.2011.17.2.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