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Test of the Interactionist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Main Caregiver Depression, and Youth Aggression

가구소득, 주양육자 우울, 청소년 공격성 간의 종단적 상호교류관계 검증 :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이용하여

  • 김동하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 ;
  • 엄명용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1.28
  • Accepted : 2016.02.29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e primary goal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main caregiver depression, and youth aggression from the interactionist perspective. The data were derived by combining the 2006, 2009 and 2012 survey waves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is data set covered the full span of adolescence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 study utilized 561 families as the final sample and conduct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analysis. As a result, the early income status, main caregiver depression and youth aggression were likely maintained over time. Second, the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main caregiver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main caregiver depression and youth aggression was not found in the current study.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main caregiver depression between income and youth aggression was not found in the present study.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interactionist model in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income and main caregiver depression involves reciprocity and mutual influence across time. These findings have major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s in regards to low-income families.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경제적 환경과 주양육자 및 자녀의 발달 관계를 사회원인론적 관점이나 사회선택론적 관점에 입각해서 단편적으로 보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가구소득, 주양육자 우울, 청소년 공격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호 영향을 주고받을 것으로 가정하는 상호교류모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2006년, 2009년, 2012년도의 다중정보체계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주양육자와 자녀로 구성된 561가구이며, 분석기간은 아동기 후기부터 청소년기 전체를 포괄한다. 분석결과, 가구소득, 주양육자 우울, 청소년공격성은 모두 강한 자기회귀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소득과 주양육자 우울 간의 상호교류관계가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가구소득과 청소년 공격성 간에 종단적 관계에서 주양육자의 우울이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경제적 환경과 관련된 주양육자 및 청소년 문제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