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Affecting Factors on Outcome in Labor Marke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대학 진로·취업 프로그램이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연구

  • Received : 2016.06.02
  • Accepted : 2016.08.26
  • Published : 2016.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 and university features affecting outcome in labor market after university graduates. For accomplish this, multi-level analysis modeling with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as adopted.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3 data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we added the Information Service of Education data for university information. The result of analysis were as follows. (a) Factors affecting outcome in labor market after university graduate were both student and university features. Significant features were house income, gender, academic major, GPA, and satisfaction in view point of student level. In university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variables likes foundation, location, education costs, school type, and satisfaction. (b) We found the different significant variables between student and school level in the participations on the university career program. Significant features were job-experience and job-exhibition in student level,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after adding variable in school level. In the school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in subjects related career and job, job-exhibition, and consulting.

본 연구는 대졸자들의 졸업 후 노동시장의 성과에 영향 요인을 대학진로 관련 프로그램 참여를 중심으로 개인수준과 대학수준으로 다층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이 2013년도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2013)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학의 특성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대학알리미'사이트의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다층분석(HLM)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에는 개인 특성과 대학 특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특성으로 가계소득, 성별, 전공계열, 졸업평균학점(GPA), 대학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특성에는 대학설립유형, 소재지, 학생교육비, 대학유형, 평균대학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및 취업관련 프로그램 참여는 개인수준에서 직장체험, 교내취업박람회 등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학수준에서 변인들을 투입했을 때 유의하지 않았다. 대학평균 프로그램 참여율은 진로, 취업관련 교과목과 교내취업박람회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진로관련 개인 및 집단 상담 참여율은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졸자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 및 취업 관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개인수준과 대학수준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대졸자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 및 취업 관련 다양한 프로그램들 개발을 위한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