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자(娘子)농악'과 '소녀(少女)농악'을 통해본 여성 농악예인의 활동

Nong-ak Artist's Activitie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Maiden's (娘子) Nong-ak" and 'Girls' (少女) Nong-ak"

  • 박혜영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투고 : 2016.01.13
  • 심사 : 2016.02.20
  • 발행 : 2016.02.29

초록

'낭자군(娘子軍')과 더불어 '여성농악'이 탄생했다. 본고에서는 남성들의 전유물이나 다름없던 농악의 주체로서 여성이 등장한 내력, 특히 국극단 출신 여성농악예인의 출현이 주목된다. 이 연구에서는 낭자농악대와 소녀농악대의 활동 내력에 대하여, 새로이 발굴한 기사자료들을 전면에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다루었다. 본고에 소개하는 '여성 농악예인'들은 기존에 알려진 남원여성농악단 성립 이전의 여성 농악인들과, 그 이후의 세대들을 아우른다. 여성 특유의 매력을 발산하며 인기를 누린 예인들은 각종 농악경연에 참가하고 포장걸립을 전전했다. 여성농악인들은 우도농악 명인들로부터 전수를 받아 기량을 갖추고, 화려한 복색으로 이목을 끌었다. 농악계의 여성들은 특히 시대의 흐름을 간파하여 활동무대를 넓히고, 다양한 장르와 융합하면서 융통성과 순발력을 발휘했다. 여성 농악인들은 세대와 성별, 지역과 국가의 경계를 넘나들며 활동했다. 소녀부터 기혼녀에 이르기까지 팀원으로 편성될 수 있었고, 때로는 어린 소년들을 영입하거나, 원로 남성농악인들과 연대하기도 했다. 또한 이들은 지역을 넘어, 국내외의 무대를 누비면서, 해외 순방에도 박차를 가했다. 특히 어린 소녀농악인들은 한국문화의 상품성을 선보이고, '순결한 농악예술무대'를 장식하는 문화적 매개자로 동원되기도 했다. 이들은 스스로의 활동에 대한 실리와 경제적 이윤을 추구하거나, 정치적 선동을 할 수 없는 '천사 같이 춤추는 예쁜 인형'이나 다름없었고, 그 후원자는 국내외 정계 인사들이었다. 여성농악인들은 국내외 전반에 걸쳐 각계각층의 인사들과 교류하면서 농악의 저변 확대에 기여했다. 해외로 파견된 소녀들의 농악공연이 대개 어린이들이나 학생들 위주였던 반면, 국내에서 기성세대와 연합하여 공연활동을 하던 소녀들은 그저 농악이 좋아서 여성농악단에 입단하여 기예를 습득하고, 공연하며 실전 경험을 쌓으면서 스스로 입지를 다져갔다. 해방 이후 낭자농악, 소녀농악이라는 이름을 걸고 농악의 무대화를 선도한 여성예인들은 대중적 인지도를 얻어 농악의 저변 확대에 기여했다. 사당패, 협률사, 낭자농악대, 소녀농악대, 여성농악단 등 한 세기를 풍미한 여성 농악예인들은, 농악판에 팽배하던 '남존여비(男尊女卑)'의 관습을 뒤틀고 농악문화의 새 전통을 일군 주인공들이다.

"Women's Nong-ak (農樂, Traditional Korean music performed by farmers)" was born together with "Maiden group." This study focuses on the reason why women appeared as principal agents of Nong-ak which was almost exclusive to men previously and especially, on the appearance of women Nong-ak Artists who was previously worked in Traditional Drama Troupe. This study empirically deals with details of activities of Maiden's (娘子) Nong-ak troupes and Girls' (少女) Nong-ak troupes through newspaper articles. Women Nong-ak Artists enjoyed popularity with their peculiar attractions. Participating in Nong-ak contests and collecting money for their performances, women Nong-ak Artists learned their skills form masters of Woodo Nong-ak and attracted attention with their colorful costumes. Women of Nong-ak circle especially saw through the trend of the time, expanded their arena of activities and exercised flexibility and ability to react quickly to changing situations while mixing with various genres. In particular, young girls were mobilized to show value and marketability of Korean culture as cultural medium who decorated "Pure Nong-ak art stage." They were no different from "Pretty dolls dancing like angels" who could not purse their interest and economic benefit or incite political cause and their patrons were domestic and overseas political figures. Women artists, who put Nong-ak on the stage in the name of Maiden's (娘子) Nong-ak troupes and Girls' (少女) Nong-ak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contributed to expansion of market base. Women Nong-ak artists, who dominated a century in such troupes as Sadangpae, Hyuprulsa, Maiden's (娘子) Nong-ak troupes, Girls' (少女) Nong-ak troupes and Women Nong-ak troupes, were the very heroines who overturned the conventions of "male predominance (男尊女卑)" which filled Nong-ak arena and cultivated a new tradition of Nong-ak cul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