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er Bowl Ad Meter and Advertising Appeals in Cultural Dimensions

슈퍼볼 애드미터와 광고 어필사이의 문화측면에서 연관성 연구

  • 김진설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과) ;
  • 이윤철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16.01.13
  • Accepted : 2016.03.25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Super Bowl adverts with high Ad Meter scores had more advertising appeals related to U.S. culture in Hofstede's dimension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analysis on U.S. consumer preferences on adverts in terms of culture under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merican sport event: Super Bowl. The study was based on a content analysis of top and bottom 10 Super Bowl adverts during a period of consecutive seven years 2005 through 2011. The top and bottom ten were grouped based on the Ad Meter scores by the USA Today. The number of adverts interpreted by two coders along with the author was 139. The coding results implies that adverts in the top 10 group carried more appeals connected to US culture in Hofstede dimensions, such as youth, untamed, and magic in uncertainty avoidance dimension. Meanwhile, such appeals as ornamental, vain, and status in high power distance dimension were mainly found in the bottom 10 adverts group. Grounded on the findings from the content analysis, links between the score levels and the presence of certain appeals may offer marketers a hint on what appeals they emphasize when producing adverts in a certain cultural bound, let alone Super Bowl adverts targeting TV viewers in the U. S. A.

이 연구의 목적은 Ad 미터 점수가 높은 슈퍼볼 광고가 홉스테드 모델과 관련있는 광고 어필을 더 많이 가지는지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대표적인 미국적인 스포츠인 슈퍼볼 이벤트에서 미국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선호도를 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한데 있다. 이 연구는 2005년부터 2011년까지 7년간의 슈퍼볼 광고 중 상위 10위와 하위 10위 광고를 대상으로 한 내용 분석에 기초하였다. 상위 및 하위 하위 광고는 USA 투데이가 발표한 Ad 미터점수를 참고하였고 2명의 코더가 저자와 함께 총 139개 광고를 코딩하였다. 상위 10 그룹의 광고들이 홉스테드 모델 중 낮은 불확실성 회피 측면과 연관된 젊음, 길들여지지않음, 마법 같은 어필을 더 많이 보여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높은 권력차이의 측면과 관련된 장식, 허영, 지위 같은 어필들이 주로 하위 10위권 그룹의 광고에서 많이 나타났다. 내용 분석에 기초한 이번 발견에 근거하여, 특정한 어필과 점수 수준의 관계가 슈퍼볼을 TV로 시청하는 사람들을 타켓으로 한 광고를 제작할 시 어떤 문화적인 측면에서 어필들을 채택해야하는지에 대한 제안점을 제공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