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minose appearing in Jeongjeon of Jongmyo

종묘 정전에 나타나는 누미노제(Numinose) 특성 연구

  • 조은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
  • 이찬 (국민대학교 공간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6.06.28
  • Accepted : 2016.09.07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Between various ideological experiences, such as spatial, artistic and religious experiences, a consistent and transcendental sense exists, which is difficult to systemize or establish, in all the senses human beings experience. It shows that the depth of essence may be much deeper than that of religion or science in limits of humans' thinking and experiences. On the premise that we need to rationally understand and systemize such a sublime experience, it is thought that we will be able to expand the system of our senses through a new approach breaking away from the previous concepts used to interpret a spatial experience. Rudolf Otto, a German philosopher and comparative religion scholar, explains such an essential sense through Numinose Theory. As his theoretical analysis and approach are used to explore the mechanism of such a transcendental emotion, which is impossible to express with such words as 'sanctity', 'sublimity' and 'reverence', from various perspectives, but intend to exclude dogmatic logic. Therefore, they seem to become new and useful tools in aesthetically understanding space design and objects of arts.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value Numinose Theory has in the aspect of understanding space design, based on which this study intends to use the Numinose concept as a concept of interpreting 'Jongmyo Jeongjeon'.

Keywords

References

  1. Rudolf Otto, 성스러움의 의미, 분도출판사, 길희성 역, 2013
  2. 이정우, 객관적 선험철학 시론, 그린비, 2011
  3. Mircea Elide, 상징, 신성, 예술, 서광사, 1991
  4. William E. Paden, 성스러움의 해석, 청년서, 2005
  5. 유요한, 종교적 인간 상징적 인간, 이학사, 2009
  6. 김형수, 신 인식과 자기 인식-신 개념을 통한 정신의 인식 가능성, 누멘, 2012
  7. 김개천, 미의신화, 컬리그라퍼, 2012
  8. J. Wach, 비교종교학, 민음사, 김종서 역, 2004
  9. 박성연, 종묘 제례악, 문사철, 2013
  10. 김동욱, 종묘와 사직, 대원사, 2005
  11. 배국원, 현대종교철학의 이해, 동연, 2000
  12. 김미영,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민속원 2010
  13. 이재경, Rudolf Otto의 종교철학 안에서 Numinose가 갖는 종교적 의미에 대한 연구, 광주가톨릭대 석사논문, 2011
  14. 최정화, 루돌프 오토의 '성스러움'이 탄생되기 전후의 맥락, 종교와 문학 제22호,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2012
  15. 김유겸, 종교기원에 관한 인본주의적 고찰 -에리히 프롬의 사상을 중심으로, 부산가톨릭대 석사논문, 2007
  16. 홍순목, 종묘건축의 공간 체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8
  17. 진경성, 종묘의 건축적 상징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제2호, 1998
  18. 정지윤, 이집트 신전건축의 기하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0
  19. 차미정, Claes Oldenburg와 Richard Serra의 Soft 조각과 Hard 조각의 비교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1995
  20. 김명주, 소쇄원 공간의 재해석을 이용한 도심지 공원 계획안, 건국대 석사논문, 2004
  21. 박현아, 소쇄원의 유희적 특성을 이용한 게스트하우스 계획연구, 국민대 석사논문, 2010
  22. 이진영, 종묘공간의 기호 현상학적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2012
  23. 서동수, 경계에 의한 건축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동의대 석사논문, 2002
  24. 유병훈, 종묘 길의 건축 특성 고찰, 동국대 산업기술연구원, 1999
  25. 김민정, 종묘제례악의 연출원리와 미학적 특성, 한양대 우리춤연구 창간호, 2005
  26. 유선미, 현상학적 지각체계를 통한 체험공간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석사논문, 2013
  27. 신성곤, 종묘제도의 탄생 -종묘의 공간과 배치를 중심으로, 한양대 동아시아문화연구 제57집, 2014
  28. 최미령, 숭고의 개념을 통해 본 빌 비올라의 작품 연구, 성신여대 석사논문, 2013
  29. 전찬진, 종묘의 건축 공간 깊이 표현 기법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26권 제1호, 2006
  30. 홍순목, 종묘의 건축 공간에 나타나는 시지각적 인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할술발표논문집 제26권 제1호, 2006
  31. 김병욱, 포스트모던 이미지와 성스러움의 문제, 성균관대학교,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21집, 2007
  32. 김영건, 왕양명의 심(心)에 보이는 신성과 성성에 대한 이해, 성균관대 동양철학연구 제66집, 2011
  33. 이용주, 예(禮) 유교적 의미 기호 -유교 의례의 해석학 시론, 유학연구, 제18집, 2008
  34. 류주희, 현대건축에 있어서 숭고의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권 1호, 2011
  35. 최진, 종묘 내 길의 유형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9권 제2호, 1999
  36. http://www.doopedia.co.kr/
  37. https://commons.wikimedia.org
  38. http://heritage.unes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