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학생의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7.19
  • Accepted : 2016.09.28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 of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The results of such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aising 'future creative talents' armed with problem-solving capability they honed in softwar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between ex ante and ex post samples in a t-test which was performed to verify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37)=4.305, p<.01). Their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was high in the average score as it dropped from 3.00 in the ex-ante test to 2.51 in the ex pos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of scratch programming influences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ly, suggesting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re interested in new problematic situations they found in information science and discover new problem-solving methods in the programming education, thereby showing positive feedback in the education performance.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nable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 completely and change their psychological states.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between ex ante and ex post samples in a t-test which was performed to verify thei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t(37)=3.074, p<.01). Thei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was high in the average score as it dropped from 4.06 in the ex-ante test to 3.55 in the ex pos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of scratch programming influence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ly: they understood problems associated with technology, explored diverse breakthroughs for the identified problems and assessed and improved resolutions. Third, a moderate correlation was confirmed between their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r=.343, p<.05).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took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 demonstrated its influ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agination for problem solving, positivity in the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confidence for problem solving in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이 연구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이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 및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력을 갖춘 '미래형 창의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을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37)=4.305, p<.01). 전체 평균에서도 사전검사 3.00점에서 사후검사 2.51점으로 점수가 낮아짐에 따라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은 중학생의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7)=3.074, p<.01). 전체 평균에서도 사전검사 4.06점에서 사후검사 3.55점으로 점수가 낮아짐에 따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은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은 중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43, p<.05).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중학생은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의 문제 해결을 위한 상상, 긍정성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문제 해결 자신감의 상관관계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a).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 보도자료.
  2. 교육부(2015b).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제2015-74호[별책 10].
  3. 김영애 외(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4. 방종환(2011). 전문계 고등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영어 어휘와 읽기 전략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삼성전자 주니어소프트웨어아카데미(2016). Creating3.
  6. 심세용(2016).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아두이노 STEAM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심영기(2014). 기술적 문제 해결 팀 활동에서 팀원의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상호작용의 관계분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안성훈 외(2015). 2015년도 SW교육 연구학교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9. 양권우(2010). 스크래치가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 14(4), 547-553.
  10. 이은경, 이영준(2008). Scratch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학생의 몰입수준과 프로그래밍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56(2), 359-382.
  11. 이은하(2008). 청소년용 에니어그램 성격검사도구 개발 및 상담에의 활용.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한규(2006).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조준필(2012). 기술교육에서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스크래치 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한진(2012). 공학 교육 전공 대학생의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기술적 문제 해결력 간의 관계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한진, 김태훈(2012).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MBTI 성격 유형 간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10-129.
  16. 진영학(2012).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최유현(2013).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 및 발명태도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학회, 13(3), 271-288.
  18. Clancy, S., & Dollinger, S. (1993). Identity, self, and personality: I. Identity status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th on Adolescence, 3, 227-246. https://doi.org/10.1207/s15327795jra0303_2
  19. Davis, J. A. (1971). Elementary survey analysis. Englewood, NJ: Prentice-Hall.
  20. Fraenkel, J. R., & Wallen, N. E. (1996). How to Design and Evaluate Research in Education. NY : McGRAW-HILL.
  21. Heppner, P. P. (1988). The Problem Solving Inventory (PSI) L Manual.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ist.
  22. Heppner, P. P., Hibel, J. H., Neal, G. W., Weinstein, C. L., & Rabinowitz, F. E. (1982). Personal problem solving: A descriptive study of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 580-590.
  23. Heppner, P. P. et al. (1982). Personal problem solving: A descriptive study of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 580-590.
  24. Heppner, P. P., & Petersen, C. H.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 66-75. https://doi.org/10.1037/0022-0167.29.1.66
  25. Heppner, P. P., Reeder, B. L., & Larson, L. M. (1983). Cognitive variables associated with personal problem-solving appraisa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0, 537-545. https://doi.org/10.1037/0022-0167.30.4.537
  26. Wu, T. F., Custer, R. L., & Dyrenfurth, M. J. (1996). Technological and Personal Problem Solving Styles : Is there a Difference?.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7(2), 5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