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Network Hospital and the Ban on Opening and Operating the Muliple Medical Institution

네트워크병원과 의료기관 복수 개설·운영 금지 제도에 관한 고찰

  • Received : 2016.12.04
  • Accepted : 2016.12.28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Our Constitution obliges the state to protect the health of the people, and the Medical Law, which embodied Constitution, sets out in detail the matters related to open the medical institution and one of them is to prohibit the operation of multiple medical institutions In the past, there was a provision stipulating the same purpose. But because the Supreme Court interpreted that several medical institutions could be opened if the medical treatment was not made at the additional medical instition which was opened in the another doctor,s license, multiple medical institutions could be opened and operated. However, some health care providers opened the several medical institutions to another doctor's license just by the excuse of the business management and then did illegal medical cares like the unfair luring of patients, overtreatment, and commition treatment for more profits. So, the health rights of the people came to be infringed on. Accordingly, lawmakers amended the Medical Law for medical personnel not to open and to operate more than one medical institution. As the amended medical law prohibited a medical personnel to open multiple medical institution, some medical personnels insisted that the amended medical law is unconstitutional under which they could not be able to open and operate medical institutions on based on free investment and bring out the benefits of network hospitals. But the regulation to prohibit multiple institutions does not apply only to a medical personnel. Many other experts like lawyer and pharmacist can open only one office under such a restriction. If the regulation goes out of force, the procedure that multiple medical institutions should be opened and operated in the capacity as a medical corporation or a non-profit corporation does not have to be followed. And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permission for medical personels to open multiple medical institutions could lead virtually to commercial hospital. If in the nation with a very low rate of public medical service, If only a few medical personnels with capital own many medical institutions and operate commercially them, this could cause a falling-off in quality of medical service, ultimately infringe on the health rights and the life right of the people.

우리 헌법은, 국가로 하여금 국민의 건강을 보호할 의무를 지우고 있고, 그 구체화된 규범인 의료법은 의료기관 개설 등에 관한 사항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는데, 그 내용 중 하나가 의료인의 의료기관 복수개설 운영 금지 제도이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판례는 '다른 의사 명의로 추가 개설하는 의료기관에서 직접 의료행위 등을 하지 않는다면 여러 개의 의료기관을 개설 운영할 수 있다'고 해석함으로써, 사실상 복수의 의료기관을 개설 운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 의료인들이 다른 의사의 면허로 의료기관을 여러 장소에 개설하고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환자유인행위를 하거나 과잉진료 및 위임치료를 하는 등의 불법의료행위를 조장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권 등을 침해하는 현실적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입법자는 의료법의 개정을 통해 의료인은 어떠한 명목으로도 둘 이상의 의료기관을 개설하거나 운영할 수 없도록 의료기관 개설제도를 정비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개정 의료법 하에서 1인의 의료인이 더 이상 복수의 의료기관을 개설 내지 운영할 수 없게 되자, 일부 의료인들은 새로이 개정된 규정 하에서는 네트워크병원의 장점을 살릴 수 없다며, 개정 의료법의 규정이 위헌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사무소의 복수개설을 금지하는 규정은 의료인에게만 특별한 제한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며, 변호사, 약사 등 수많은 다른 전문자격사들에 대해서도 하나의 사무소만을 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자신이 직접 그 본연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소적 범위 내에서만 사무소를 책임지고 개설 운영토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동 규정이 위헌적 소지가 있어 폐지된다면, 어렵사리 의료법인 또는 비영리법인을 설립하여 여러 개의 의료기관을 개설 운영하는 절차를 따를 이유도 없게 된다. 나아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의료인의 복수 의료기관 개설을 허용할 경우 사실상 영리병원을 허용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요컨대 공공의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대적으로 적은 우리나라의 보건 의료 현실에서 일부 소수의 자본력 있는 의료인이 수많은 의료기관들을 독점하여 소유하고 사실상 영리병원으로 운영한다면, 이는 의료서비스의 질 저하를 초래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권 내지 생명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점을 깊이 고려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재정누수 사례분석, 2014.
  2.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법 해설, 세진, 2011.
  3.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 판례집, 한아문화, 2009.
  4. 국민건강보험공단, 보건의료 판례집, 세원, 2011.
  5. 국민건강보험공단, 보험급여비용 환수지침, 2014.
  6. 국민건강보험공단, 사무장병원 길라잡이-업무매뉴얼 및 조사기법-, 2014.
  7. 국민건강보험공단, 사무장병원 유형별 소장 작성 및 사해행위취소 입증방법, 2016.
  8. 국민건강보험공단, 전국 수사관 및 경찰관 교육, 2016.
  9. 국민건강보험공단, 2016년 의료협동조합 위탁 용역사업 최종보고서, 2016.
  10. 대한의사협회, 의료법원론, 법문사, 2008.
  11. 명순구 외, 역사와 해설 국민건강보험법, 법문사, 2011.
  12. 보건복지부, 2012년 의료법 민원질의.회신 사례집, 2012.
  13.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개설 및 의료법인 설립 운영 편람, 2012.
  14. 이상돈, 의료형법, 법문사, 1998.
  15. 이상돈.김나경, 의료법강의, 법문사, 2011.
  16. 정홍기.조정찬, 제3판 국민건강보험법, 한국법제연구원, 2005.
  17. 최재천.박영호.홍영균, 의료형법, 육법사, 2003.
  18.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영리법인병원 도입 유형과 비영리법인병원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2009.
  1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무장병원 등 의료기관의 재정누수 실태와 관리방안, 2015.
  20. 김경수, 헌법상 국가의 건강보호의무와 그 실현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 대학원, 2002.
  21. 김계환, "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에 관한 규제 동향", 형사정책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3.
  22. 김민우, "의료민영화를 논한다", 노동사회과학, 2014.
  23. 김영신, "의료법상 금지되는 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의 범위", 법학논고 제41집, 경북대 법학연구원, 2013.
  24. 김준래, "의료법상 의료기관 개설제한의 위반유형에 관한 연구", 의료법학 제 15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4.
  25. 김준래, "의료협동조합의 의료기관 개설. 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의료기관 개설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6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5.
  26. 김준래, "네트워크병원과 복수의료기관 개설 운영.금지 규정에 대하여", 병원경영.정책연구, 2016.
  27. 백경희, "현행법상 의료법인의 비영리성과 문제점", 의료법학 제8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7.
  28. 서정석, "영리병원 도입 방식의 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1호, 2015.
  29. 위매화, 의료민영화 논쟁과 의료공공성 확보 -영리병원 설립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강원대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1.
  30. 장연화, "의료법상 의료기관의 개설제한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제12집 제2호, 인하대 법학연구소, 2009.
  31. 전현희.김선욱, "한국에서 의료기관 설립과 운영상의 새로운 과제", 의료법학 6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5.
  32. 최수희, 네트워크병원에 관한 법적 고찰, 석사학위 논문, 충북대학교 법무대학원, 2008.
  33. 홍완식, "영리병원법안에 대한 입법평론", 입법학연구 제9집 제2호, 2012.
  3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급여비용 청구 심사 자료, 2016.
  35.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2011년 치과 행위별 진료현황, 2016.
  36. 국민건강보험공단, 2013-2014년 치과 행위별 진료현황, 2016.
  37.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시 시군구별 치과의원 네트워크 비율 현황, 2016.
  38. 국민건강보험공단, 시군구별 치과의원 폐업 비율 현황, 2016.
  39.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기관 개설 및 운영실태 관리 지원 -건강보험공단 업무 보고-, 2015. 2.
  40. 국민건강보험공단, 일반 병원 및 네트워크 병원 진료행태 비교, 2016.
  41. 국민건강보험공단, 치과의원 네트워크 비율과 폐업률 상관관계, 2016.
  42. 민주당 김용익 의원실, 김현미 의원실, 병원을 삼킨 투기자본 -미국 기업형 네트워크치과의 폐해와 교훈-, 2013.
  43. 보건복지부, 복수의료기관 개설.운영 금지 집행 지침, 2014.
  44. 보건복지위원회,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2011. 11.
  45. 보건복지위원회,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 심사보고서. 2011. 12.
  46. 김준래, "네트워크 병원과 의료인의 의료기관 이중개설 금지(1)". 메디컬업져버, 2016.3.31.
  47. 김준래, "네트워크 병원과 의료인의 의료기관 이중개설 금지(2)", 메디컬업져버, 2016.4.5.
  48. 김준래, "네트워크 병원과 의료인의 의료기관 이중개설 금지(3)", 메디컬업져버, 2016.4.14.
  49. 김준래, "의료인의 의료기관 복수개설․ 운영 금지-찬성", 서울경제, 2016. 9. 8.
  50. 데일리메디, "의사 1인 1개소법 위헌 판결나면 변호사.약사도 줄소송", 2016. 7. 14.
  51. 메디칼타임즈, "합법과 불법 기로에 선 병원경영지원회사, 해법은", 2016. 9. 5.
  52. 시사메디인, "네트워크병원 '엇갈린 판결', 향후 파장은?", 2016. 12. 12.
  53. 의약뉴스, "비영리법인 명의대여 진화 사무장병원 철퇴", 2016. 11. 28.
  54. 의학신문, "국민 건강 위해 1인 1개소법, 반드시 합헌 돼야", 2016. 7. 15.
  55. 의협신문, "1인 1개소법 무너지면 의료 영리화 시간 문제", 2016. 7. 15.
  56. 중앙일보, "치과계, '의료기관 1인1개소법' 관련 토론회 개최", 2016. 9. 28.
  57. 청년의사, "이중개설 금지 위헌되면 병원 물론 약국도 네트워크화", 2016. 7. 15.
  58. 헬스포커스, "의료기관 개설제한 위반 '무한 진화'", 2015. 1. 30.
  59. MBC PD수첩, "소문난 병원의 수상한 비밀"편, 2013. 8. 방영.
  60. TV조선, "과잉 규제' vs 의료 공공성-1인 1개소법 헌재 결정은?", 2016. 8. 26. 방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