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gal Issues in Clinical Trial on Minor

미성년자 대상 임상시험에 관한 법적 문제점

  • 송영민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6.11.28
  • Accepted : 2016.12.28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All forms of Clinical trial should be fully equipped with protection systems for experimental subjects considering their uncertainty and various risks. Existing laws have some regulations in pharmaceutical affairs act and medical device act. Nonetheless, there is a limit to protect the subjects considering law objective to perform administration of medicine. Furthermore, the clinical trial on minor has no direct regulations in pharmaceutical affairs act, but prescribes certain portion in clinical trial assessment guideline on infants or medicine clinical trial management standard, however there is a limit because that is just recommendation not having legal effectiveness. The legislative solution would be possible for legal problems of clinical trial on minor by examining treatment system on minor in organ transplant act and clinical trial on minor in other foreign laws stronger than usual medical practice in terms of degree of human body invasion. I suppose that the control system of clinical trial being done focusing on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medical device act and other guidelines in existing laws system should be resolved by legislating 'trial subject protection law', in addition, this would be well balanced in organ transplant act on protection system of minor organ donors. Furthermore, the judgement on the consent ability and spontaneity in clinical trial on minor should be judged considering maturity and mentality of minor by clinical tri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based on legislative solution mentioned above.

모든 형태의 임상시험은 시험 자체가 불확실하며, 리스크가 다양하므로 피험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가 완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임상시험에 관한 법률은 약사법과 의료기기법에서 일정한 규정을 두고 있으나 이는 '의약행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법목적에 비추어 피험자 보호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더 나아가 미성년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은 약사법 등에서 직접적인 규정을 두지 않고,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 평가 가이드라인'이나 '의약품임상시험관리기준' 등에서 일정 부분 규율하고 있으나 이는 법적 효력이 없는 권고사항이라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 미성년자 대상 임상시험에 대한 법흠결 문제는 인체침습의 정도 면에서 통상적인 의료행위의 경우보다 강한 장기이식법상의 미성년자 취급제도와 기타 외국법상의 미성년자 임상시험 제도를 검토함으로서 입법적 해결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현행법 체계상 약사법, 의료기기법 기타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임상시험 규율체계를 이른바 "피험자보호법"이라는 법률제정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영민, 뇌사 및 장기이식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민사법리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2. 송영민, "생체장기이식과 의료과오법리", 원광법학 제24권 제2호, 2008.
  3. 위계찬, "의약품 임상시험에서 피험자보호", 의료법학 제13권 2호, 2012.
  4.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국 임상제도과 보도자료(배포 2016.2.25.), 식약처, '15년 임상시험 승인현황 및 정기점검 결과 발표 -제약사의 임상시험 승인건수 전반적 증가- -임상시험실시기관 수준에 따라 점검주기 및 항목 차별화-.
  5.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국 임상제도과, 임상시험 피해자 보상에 대한 규약 및 절차 마련을 위한 가이드라인(2013.11.).
  6. 식품의약품안전청, 소아에 대한 의약품 적정사용 정보집[전문가용], 2010. 12.
  7.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제안자: 박정의원 등 15인, 제안일자: 2016.07.15.
  8. 이양희․ 김상원, "국제아동인권규범의 이행 -이동권리협약 중심으로-", 성균관법학 제25권 제2호, 2013.
  9. 임상시험 아직도 피 뽑고 돈 버는 '마루타 알바' 누명 -시험 참가자의 안전성 더 높여야-, 시사저널 2015.12.10.(목) 1365호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45732.
  10. Curran, A Problem of Consent: Kidney Transplantation in Minors, 34 N. Y. U. L. Rev. 1959.
  11. Duttge, in: Deutsch/Spickhoff/Taupitz u.a.(Hrsg.), Die Implementierung der GCP-Richtlinie und ihre Ausstrahlungswirkungen, 2011.
  12. Huppe/Raspe, in: Boos/Merkel/Raspe/Schone-Seifert (Hrsg.), Nutzen und Schaden aus klinischer Forschung am Menschen, 2008.
  13. Woodside, Organ Transplantation: The Doctor,s Dilemma the Lawyer's Responsibility, 31 Ohio St. L. J.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