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ausality in Medical Civil Liability

의료민사책임에서의 인과관계에 관한 소고

  • 백경희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6.11.20
  • Accepted : 2016.12.27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It can determine the outcome of the lawsuit whether or not there is a causality between the medical malpractice of a physician and the patient's injury when the patient is filing a lawsuit against the physician in order to pursue civil liability for a medical accident. In medical malpractice lawsuits, it is not easy to judge causality between different civil cases because of the special nature of medical care. Also, information such as medical records is concentrated on doctors and the medical knowledge of the patient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with the doctor. Therefore, it is recognized through medical malpractice lawsuits that the burden of proof of the causality burdened by the plaintiff patient is relaxed. In this paper, I examine the legal theory on how to recognize causality in medical civil liability and then concern the attitude of the case in Korea, which is divided into the types of the causality - such as the case of general medical practice, explanation duty, no causality with medical malpractice.

환자가 의사를 상대로 의료사고에 대한 민사책임을 추궁하기 위하여 소송을 제기하게 될 때, 의사의 의료과실과 환자에게 발생한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소송의 승패를 좌우한다. 의료과실소송에서는 의료가 지니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다른 민사사건과 달리 인과관계의 존부의 판단이 쉽지 않다. 또한 의료과실소송에서는 진료기록을 비롯한 정보가 의사에게 집중되어 있고, 환자의 의료지식은 의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원고인 환자가 부담하는 인과관계에 관한 증명책임의 완화가 판례를 통하여 인정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의료민사책임에서 인과관계를 어떻게 인정하는지에 관한 법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판례의 태도를 인과관계가 문제되는 유형별 - 일반적 의료행위의 경우, 설명의무의 경우, 의료과실과의 인과관계가 없는 경우 - 로 나누어 고찰하기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규, "진료기회보장론과 인과관계 및 위자료배상의 신경향", 비교법학 제15집, 부산외국어대학교 비교법연구소, 2004.
  2. 김민정, 기회상실의 손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3. 김상중, "민법 제763조에 의한 채무불이행 책임규정의 불법행위 책임에의 준용의 입법적 타당성", 민사법학 제62호, 2013.
  4. 김상영,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의 인과관계", 과실의 입증책임,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제37권 제1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1996.
  5. 김천수, "의사책임소송에 있어서의 입증문제에 관한 고찰 - 독일의 의사책임법리론을 중심으로-", 법정논총 제7집,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3.
  6. 노태헌, "의료소송에서의 책임인정과 비용-효과 분석", 의료법학 제5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4.
  7. 박영규, "통상손해의 범위", 서울법학 제19권 제3호, 2012.
  8. 박영호,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입증과 그 방법(대법원 1995. 2. 10. 선고 93다52402 판결에 대한 연혁적 분석을 중심으로)", 저스티스 통권 제77호, 한국법학원, 2004.
  9. 박희호, "책임법에 있어서 인과관계의 구체적 척도에 관한 연구 - 대법원 판례에서 사용되는 척도를 중심으로-", 동아법학 제56호, 2012.
  10. 범경철, "의료소송에서 환자의 입증책임의 완화", 전북법학 논집 제1집,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00.
  11. 범경철, "의사의 설명의무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의료법학 제4권 제2호, 2003.
  12. 배성호, "의료과오소송과 기회상실론", 인권과 정의 제310호, 대한변호사협회, 2002.
  13. 백경희,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인과관계의 판단과 입증책임에 관한 최근 판례의 경향 -일본 판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8권 제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7.
  14. 백경희, "불성실한 진료에 대한 의료민사책임법리 구성", 법과 정책 제20집 제2호,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4.
  15. 백경희.이인재, "의료과실책임과 유해물질 제조물책임에서의 인과관계에 관한 최근 판결의 동향 및 증명책임 경감 논의에 대한 검토", 경희법학 제 47권 제3호, 2012.
  16. 석희태, "의료과오에서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법학연구 제2집,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법률문제연구소, 1992.
  17. 안법영, "산부인과 진료와 의사의 주의의무 -대법원판결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창간호", 대한의료법학회, 2000.
  18. 안법영, "의료사고 소송상 인과관계 추정", 의료법학 제6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5.
  19. 안법영, "의료판례에서의 인과성과 책임귀속의 판단 -독일법원 판결례와의 비교 고찰-", 의료법학 제14권 제1호, 2013.
  20.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제9판, 박영사, 2015.
  21. 이종태, 의료과실의 이론과 실제, 청암미디어, 2001.
  22. 위계찬, "독일민법상 인과관계 및 손해의 귀속", 재산법연구 제31권 제2호, 2014.
  23. 정영환, "자유심증주의", 고려법학 제49권,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7.
  24. 조재건,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의 입증책임", 민사법연구 제8집, 대한민사법학회, 2000.
  25. 곽윤직(집필대표), 민법주해(IX), 2005.
  26. 채순, "의사의 치료 전 설명의무와 환자의 동의권(자기결정권)", 비교사법 통권 제39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07.
  27. A.Spickhoff, Die Entwicklung des Arztrechts 2001/2002 NJW 2002 Heft 24.
  28. A.Spickhoff, Grosser Behandlungsfehler und Beweislastumkehr, NJW 2004 Heft 33.
  29. G.Muller, Arzthaftung und Sachverständigenbeweis, MedR vol. 19. no. 10, Springer, 2001. 10.
  30. Jeffery Mullis, Medical Malpractice, Social Structure and Social Control, Sociological Forum, Vol. 10, No.1, 1995.
  31. Parzeller, M. ․ Zedler, B., "Das Patientenrechtegesetz (PatRG) - Teil 3: Beweislast in Haftungsfragen und kritisches Fazit (Mit 1 Tabelle)", Archiv fur Kriminologie, Vol. 233 No.1, 2014.
  32. 伊澤純, 医療過誤訴訟における医師の説明義務違反, 成城法学 62号, 成城大学法学会,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