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Oral Epic Olonkho in Yakutia: Focusing on the Analysis of Nurgun Boutur the Swift

야쿠트 구비서사시 '올롱호' 연구 시론: 『용감한 뉴르군 보오투르』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5.10
  • Accepted : 2016.06.08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Altai Humanities Belt connecting Siberia to Central Asia is very important to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t had a hug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an ancient civiliz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a variety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 of folklore and anthropology as well as archeology. One of these studies is about the oral epic. The oral epic remains in the form of a unique transmission in Korea, but it wasn't that long ago when it was noted as the component of the Altai Humanities Belt. In that context, some epics from Central Asia, Mongolia, and Siberia were introduced to Korea. This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conducted to introduce the oral epic Olonkho from Yakutia in Siberia to Korean academia. Although it was revealed recently, Olonkho is highly valued. The epic study has been buried from the Western point of view, but Olonkho is expected to provide a global perspective to the field of epic study. Above all, it contains a very significant clue to a new study because the content and the style of performance a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 Additionally, the original form is relatively well preserved. In particular, it explains how human thinking and behaviors have changed in the transition from the mythical age to the heroic age. This change appears in the ethnic history of Yakutia, as well as in the formation process for all Altai countries around the 10th century. Therefore, this preliminary investigation will be a foundation to facilitate the translation of the voluminous Olonkho into Korean, and to conduct full-fledged research on it. In particular, it can motivate a study on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comparison to the tradition of oral epics between Central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Altai Humanities Belt.

시베리아에서 중앙아시아까지 연결되는 알타이 인문벨트는 문명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더구나 한반도의 교대문명 형성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고고학을 비롯하여 민속학과 인류학 등에서는 이에 관해 그동안 다양한 연구를 해왔고, 그 가운데 하나가 구비서사시다. 구비서사시는 한국에서 독특한 전승의 양식으로 남아있지만, 알타이 인문벨트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주목하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최근에 우리에게 중앙아시아와 몽골, 그리고 시베리아의 일부 서사시가 소개된 것도 그런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론의 목적은 시베리아에 위치한 야쿠티아의 구비서사시 올롱호를 국내 학계에 소개하는 데 있다. 올롱호는 최근에야 그 모습을 드러냈지만, 그것이 차지하는 위치는 막중하다. 그동안 서사시 연구가 서구중심의 시각에 매몰되어 있었다면, 올롱호는 서사시 연구에 있어서 보다 글로벌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도 그 내용이나 구연방식이 서구의 그것과는 크게 다르고, 그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서 새로운 연구 실마리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신화시대에서 영웅시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인류의 사고와 행동양식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설명하고 있기도 하다. 그것은 야쿠티아의 민족역사 뿐만 아니라 10세기를 전후한 알타이 제 국가들의 형성과정까지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시론은 방대한 서사시 올롱호 원문의 한국어 번역을 촉진하고, 본격적인 내용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특히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와 한반도의 구비서사시 전통을 비교하여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살필 수 있다면 알타이 인문벨트 형성을 위한 중요한 담론이 될 뿐만 아니라 문명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