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Viewpoint Drowned Repetitive Cycle of Flow vs Float Regulating History of Pansory and Floating Possibility of Lost Pansori in Age of Image Media

판소리사를 잠류·부상의 반복 싸이클로 보는 새로운 관점과 영상매체 시대 재매개화를 통한 실전판소리의 부상 가능성 - 실전판소리 <옹고집전>과 영화 <광해>를 통해

  • Received : 2016.01.09
  • Accepted : 2016.03.10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viewpoint on the history of Pansori transmission and suggested a new viewpoint on lostPansori transmission. Untill now, lost seven songs have been criticized for failure in Pansory's transmission history because it ceased to satirize negativity of abnormal character without creating a bearer of new value goals in the new age this paper resulted in another conclusion which extends Pansori history's process to modern times in the point of succession and duration of Pansori esthetics. Currently the above reason creats a problem ofcomplete nonmention that confront Pansori's twelve songs which does not apply to lost seven songs. If the evaluation standard of literary history used for lost seven songs is applied to inherited five songs, The inherited five songs also failed in the esthetic cultural history of present times. To resolve this issue, this study suggested a new viewpoint to replace the existing viewpoint that label Pansori's history as a historical structure consisting of success of inherited five songs and failure of lost seven songs repetitive replacement cycle of float and flow. This study provided constructive on lost Pansory of premodern times and presented entire Pansori as a flowing state. This paper futher identified the stages of decline the lost seven songs since the 20thcentury but sets the stage or finding a new qualitative possibility. This new theory was suggested through extant aspects of the movie that was a reproduction of in the present media age.

본 연구는 판소리 전승사를 보는 기존 관점을 재고하고 판소리 실전 문제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제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실전 7가는 정상적 삶의 감각이 부재하고 성격적 결함을 갖고 있는 인물들의 부정성을 풍자하는데 그치고, 새로운 시대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가치의 담지자를 창출하지 못하여 전승에서 탈락했다고 규정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전 판소리가 전승 5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했던 근대이행기를 넘어, 판소리 미학의 양식적 계승과 지속이라는 측면에서 판소리사 전개의 편폭을 현대로 확장해 본 결과 다른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상기 이유가 현 시점에서는 비단 실전 7가에만 해당되지 않는, 판소리 12가 직면한 총체적인 차원의 문제라는 사실이다. 실전 7가에게 내려졌던 문학사적 평가 잣대를 전승 5가에도 적용한다면, 전승 5가도 현 시대의 예술문화사에서 실패한 것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판소리사를 전승 5가와 실전 7가의 역사적 성공과 실패가 결합된 구조물로 보는 기존 관점을 부상과 잠류(潛流)의 반복적인 교체 싸이클로 대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이 관점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재의 판소리사 전체와 전근대 시기의 실전 7가를 잠류의 상태로 규정하였다. 20세기 이후의 실전 7가가 쇠퇴의 단계를 밟아나간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질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단계에 있었던 것으로 파악한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이론을 현대 매체 시대에 실전 판소리 <옹고집전>을 재생산한 영화 <광해>의 존재양상을 통해 시론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