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and prospect of North Korea's Cyber threat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에 대한 분석과 전망

  • 이대성 (동의대학교 / 경찰행정학과) ;
  • 안영규 (신경대학교 / 경찰행정학과) ;
  • 김민수 (경기대학교 / 융합보안학과)
  • Received : 2016.08.22
  • Accepted : 2016.09.19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In modern societ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given people a lot of opportunities. But on the other side cyber attack also gives enormous damage to people. Recently Korea has become the target of cyber attack. The threat of it is growing. Especially North Korea has committed hostile actions against South Korea. North Korea has recently attacked the computer networks of South Korea's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The types of North Korea's cyber attack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if we see it with the viewpoint of software, it tries to destroy or control the Internet, infects the networks with viruses, worms, Trojan Horse and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I suggest the following to solve the problem. First, South Korea should unify the organizations to respond to the attacks of North Korea, as North Korea has a unified organization for the cyber attack. Second, they should think about the establishment of "Cyber Terrorism Prevention Act" to systematically respond to the software attacks.

현대사회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인류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막대한 손해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 한국도 사이버 공격의 대상이 되었고, 그 위협의 범위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북한은 한국을 대상으로 한 적대행위를 지속적으로 자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가중요시설 등의 전산망을 공격하는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 유형으로는 소프트웨어(Software) 측면에서 인터넷 내부를 파괴하거나 조정하는 컴퓨터 바이러스(Virus)와 웜(Worms),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분산서비스 거부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은 사이버 공격을 위하여 일원화된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으므로, 한국도 효과적인 대처를 위해 일원화된 대응조직체제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소프트웨어 측면의 공격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칭 "사이버테러리즘방지법"의 제정을 적극 검토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진, "북한의 대남테러 조직 및 테러전망",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스라엘 국제대테러연구소 공동 국제학술회의 자료집, 75-98, 2016.
  2. 이대성, "북한의 대남테러리즘 분석과 향후전망: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집권기를 중심으로", 한국테러학회보, 5(1): 125-147, 2012.
  3. 김진무, "북한의 비대칭전력을 이용한 대남군사전략을 방관하지 말아야 할 때", 북한, 410: 84-92, 2006.
  4. 박창권, "안보를 위협하는 북한의 비대칭전력에 새로운 대응전력과 능력을 강화할 때", 북한, 411: 121-132, 2006.
  5. http://www.jcs.mil.kr: 2016. 2. 7.
  6. http://www.rand.org: 2016. 2. 8.
  7. 윤규식,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과 위협 전망", 군사논단, 68: 64-95, 2011.
  8. Libicki, Martin C. What Is Information Warfare?, Washing, D. C.: National Defense University, 1995.
  9. 김기수,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과 대비방안",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 293-311.
  10. 노훈.이재욱, "사이버전의 출현과 영향, 그리고 대응방향", 국방정책연구, 53: 177-201, 2001.
  11. 배달형, "국가군사전략급 수준에서 북한 사이버 위협과 한국군의 대응방향", 전략연구, 52: 147-174, 2011.
  12. 육군사관학교, 북한학, 서울: 황금알, 2004.
  13. Lee Dae Sung,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n Cyber-Terrorism and its Counter measures", Korean Terrorism Studies Review, 2 (2): 1-37, 2009.
  14. 임종인.권유중.장규현.백승조, "북한의 사이버전력 현황과 한국의 국가적 대응전략", 국방정책연구, 29(4): 9-45, 2013.
  15. 유동열, "북한의 사이버 위협 실태와 대책", 한국안보정책학회.한국테러학회.한국반테러정책연구원.국가안전정책학회 공동학술세미나 자료집, 47-78, 2016.
  16. www.yonhapnews.co.kr: 2016. 8.13.
  17. 행정자치부, 국가기반체계 보호전략 개발연구, 경기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2.
  18. 김인수, "북한의 사이버전 수행능력의 평가와 전망", 통일정책연구, 24(1): 117-148,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