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대구. (2006).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23-53.
- 강대구, 김정남, 김민수, 이웅, & 변규식. (2006). 최근 귀농실태와 지원대책방안 연구. 세종: 농림부.
- 고상환, & 김동현. (2011). 제주지역 귀농, 귀촌 교육 참여자 특성 및 교육 만족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 18(4), 983-1010.
- 고성준. (2007). 귀농자의 실태와 안정적 정착을 위한 연구: 전라북도 귀농자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백수, & 이정화. (2013).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대한 생태체계적 분석. 농촌사회 , 23(2), 7-48.
- 김성수, 정지웅, 임형백, 고운미, 김정태, & 이성. (2004). 귀농자들의 농촌정착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 11(1), 53-65.
- 김형용. (1998). 귀농자의 실태와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경영학회지 , 14(1), 205-223.
- 김혜민. (2015). 귀농, 귀촌 중단사례와 함의. 농정연구 , 52, 185-214.
-
마상진, 박대식, 박시현, 최용욱, 남기천, 남승희, & 최윤지. (2015). 귀농
${\cdot}$ 귀촌 시기별 귀농${\cdot}$ 귀촌 과정 및 경제${\cdot}$ 지역사회활동 실태 변화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7(2), 1-21. -
마상진, 박대식, 박시현, 최윤지, 최용욱, & 남기천. (2014). 귀농
${\cdot}$ 귀촌인의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 : 1차 년도 (2014).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마상진. (2012). 귀농
${\cdot}$ 귀촌자의 영농실태와 교육요구 분석 .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문승태, & 김소라. (2012). 귀농인들의 귀농 전과 후 지각된 삶의 질 수준의 비교 연구. 농업경영
${\cdot}$ 정책연구 , 40(3), 841-863. - 박공주, 윤순덕, & 강경하. (2006).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계획 , 12(4), 63-76.
- 박성복. (2013).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와 그 요인들 간의 통합적 영향관계.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4(3), 253-277.
- 새전북신문. (2014). 귀농 정착이 왜 힘든가 (2014. 2. 25).
-
서규선, & 변재면. (2000). U턴 귀농자 장
${\cdot}$ 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촌지도와 개발 , 7(1), 137-153. - 서만용, & 구자인. (2005). 귀농자의 농촌정착에 관한 탐색적 연구. 농어촌관광연구 , 12(2), 145-171.
-
송미령, 성주인, 김정섭, & 심재현. (2015). 귀농
${\cdot}$ 귀촌 증가 추세와 정책 과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오수호. (2013). 귀농
${\cdot}$ 귀촌가구의 이주${\cdot}$ 정착 특성과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동헌. (2009). 지방자치단체의 귀농 관련 자치법규의 비교 분석: 귀농의 조례 및 규칙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 17(3), 19-32.
- 조창완. (2009). 전남 귀농 활성화 방안 . 무안: 전남발전연구원.
-
차광주. (2010). 현장에서 본 귀농 활성화 방안. Paper presented at the 농업전망 2010 (녹색성장과 농업
${\cdot}$ 농촌의 새로운 활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채상헌. (2013). 귀농정착 현황 및 귀농정착 성공요인 분석: 귀농귀촌교육수료생 대상 영농정착실태조사 사례 중심으로. 한국 농
${\cdot}$ 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43-60. - 최윤지, 한송희, & 공민재. (2015). 귀농 교육의 만족도, 성취도,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21(1), 51-61. https://doi.org/10.7851/ksrp.2015.21.1.051
- 최윤지. (2010). 귀농단계별 지원주체의 역할과 운영 체계 구축 . 전주: 농촌진흥청.
-
통계청. (2015). 2014년 귀농
${\cdot}$ 귀촌인 통계. 대전: 통계청. - Fielding, J. G. (1974). Geography as social science. New York, U.S.: Harper and Row Publishers.
- Gordon, R. (2000). The future of young farmers in the European Union. Luxembourg, EU: European Parliament.
-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h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New Jersey, U.S.: Pearson Prentice Hall.
- Johnson, S. E., Bowlan, M., McGonigal, J., Ruhf, K., & Sheils, C. (2001). Listening to new farmers: Findings from new farmer focus groups. Massachusetts, EU: New England Small Farm Institute.
- Poston, D. L., & Coleman, M. T. (1983).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he non-metropolitan turnaround in U.S. counties: an alternative procedure. Rural Sociology, 48, 436-446.
- Reeve, I., & Stayner, R. (2006). Preparing entrants to farming: Scoping programs and strategies. Canberra, Australia: Rural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 Sell, R. (1982). A research note on the demography of occupational relocations. Social Forces, 60, 859-865. https://doi.org/10.1093/sf/60.3.859
Cited by
- 성인교육에서 교수리더십, 학습동기,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귀농·귀촌 학습자를 중심으로- vol.24, pp.1,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7.24.1.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