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Case-based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for Preventing Malpractice in Operating Room

수술실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사례중심 멀티미디어 학습콘텐츠 개발

  • 박지명 (한양대학교 서울병원/한양대학교 대학원) ;
  • 황선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Received : 2016.07.14
  • Accepted : 2016.09.19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case-based self-learning multimedia contents for preventing malpractice that frequently occurred among nurses working in the operating room. Methods: Based on the learning needs of operating room nurses, real case reports, and literature reviews, the case-based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dure. The assessment of learning needs was performed by the combination of survey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of interviews for 40 operating room nurses. Results: The learning contents included four learning modules with real malpractice cases from the areas of operating preparation, nursing skills during opera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of operating room, and patient safety and observation-related. The 80 minute long case-based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were finally developed after content validity tests from clinical experts. Each module contained photos, sounds and flash animation with voice recording on the contents of nursing error cases and standardized protocols. Conclusion: The developed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based on real error cases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n educational hands-on training materials for nurses to prevent malpractice in the operating room.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에서의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간호사 대상의 교육을 목적으로 문헌고찰과 실제 경험한 오류사례와 요구도 조사 및 수술실 사건보고서 자료 분석을 통하여 사진, 음성녹음,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영상 자료를 활용한 사례중심 멀티미디어 학습콘텐츠를 개발하였다. 1시간 분량의 학습콘텐츠는 4가지 학습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영역별로 성우의 음성과 함께 플래시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실제 간호오류 사례를 이야기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부터 흥미와 현장감을 높였다. 또한 각 영역별 사례를 통해 학습자에게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였고 표준화된 수술실 간호업무프로토콜을 대처방안으로 제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콘텐츠는 신규간호사 뿐만 아니라 경력 간호사의 수술실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교육용 자료로써 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콘텐츠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을 위한 시스템 마련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란, "환자안전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1호, pp.1-8, 2011.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1
  2. S. O. Poore, N. M. Sillah, A. Y. Mahajan, and K. A. Gutowski, "Patient safety in the operating room: I. Preoperative,"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Vol.130, No.5, pp.1038-1047, 2012. http://dx.doi.org/10.1097/PRS.0b013e31826945d6
  3. H. Alfredsdottir and K. Bjornsdottir, "Nursing and patient safety in the operating roo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1, No.1, pp.29-37, 2008.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462.x
  4. 박경숙, 수술실 간호오류 발생가능성 사정도구의 개발 및 간호사의 경험정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5. 채수정, 안준희, 김은혜, 김효정,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등급별 간호행위분석," 임상간호연구, 제18권, 제1호, pp.86-98, 2012. https://doi.org/10.22650/JKCNR.2012.18.1.86
  6. 김희영, 장금성,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개발시스템 개발,"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01-314, 2011.
  7. 노연호, 유양숙, "수술실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5호, pp.489-499, 2012. http://dx.doi.org/10.7475/ kjan.2012.24.5.489
  8. A. P. Gurses, G. Kim, E. A. Martinez, J. Maesteller, L. Bauer, L. H. Lubomski, P. J. Pronovost, and D. Thompson,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patient safety hazards in cardiovascular operating rooms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 multisite study," BMJ Quality & Safety, Vol.21, No.10, pp.810-818, 2012. http://dx.doi.org/10.1136/bmjqs -2011-000625
  9. 박광옥, 김종경,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확보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제45권, 제5호, pp.761-772, 2015. http://dx.doi.org/10.4040/jkan.2015.45.5.761
  10. C. L. Sommers, "Considering culture in the use of problem-based learning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 Is it important?," Nurse Education Today, Vol.3, No.10, pp.1109-1111, 2014.
  11. L. Christine and C. L. Sommers, "Considering culture in the use of problem-based learning to improve critical thinking-Is it important?," Nurse Education Today, Vol.34, No.7, pp.1109-1111, 2014. http://dx.doi.org/10.1016/ j.nedt.2014.03.010
  12. 유문숙, 박진희, 이시라, "비디오활용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6호, pp.863-871, 2010. http://dx.doi.org/10.4040/ jkan.2010.40.6.863=
  13. 이진아, 사례학습법을 이용한 E-러닝 Programming 학습 콘텐츠 설계 및 구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4. 김기경, 송말순, 이준상, 김영신, 윤소영, 백지은 등, "판례를 이용한 환자안전관련 간호과오 예방 교육이 간호사의 안전지각, 안전통제감, 자율성 및 책임수요성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18권, 제1호, pp.67-75, 2012.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1.67
  15. 김정순, 김명수, 황선경, "수술실의 간호오류 및 과오 예방을 위한 E-learning 실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17권, 제5호, pp.697-708, 2005.
  16. J. A. Antonow, A. B. Smith, and M. P. Silver, "Medication error reporting: A survey of nursing staff,"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Vol.15, No.1. pp.42-48, 2000. https://doi.org/10.1097/00001786-200010000-00006
  17. L. S. Roy, "Stop the rise in nursing errors systematically," Nursing Management, Vol.31, No.11, pp.21-22. 2000. https://doi.org/10.1097/00006247-200011000-00016
  18. C. B. Suzanne, "Accident prevention in surgical settings-keeping patient safe," Journal of Association Operating Room Nurses, Vol.75, No.2, pp.361-363, 2002a. http://dx.doi.org/10.1016/ S0001-2092(06)61415-4
  19. 김명수, 김정순, "수술실 간호과오 측정도구 개발," 간호행정학회지, 제9권, 제2호, pp.193-203, 2003.
  20. 김은정, 황선영, "웹기반 사례중심 심폐응급간호 학습 프로그램 개발," 성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 1호, pp.70-79, 2010.
  21. B. Seels and R. C. Richey,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1994.
  22. 박은희, 황선영, "간호학생을 위한 웹기반 수술 간호 학습콘텐츠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6-46, 2011.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36
  23. 성영희, 권인각, 황지원, 김지영, "신입간호사를 위한 투약 간호 e-learning 프로그램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6호, pp.1113-1124, 2005.
  24. 박진희, 이은하, 배선형, "간호대학생에서 e-러닝의 학업성취도 영향요인: 웹기반 건강사정 전자교과서를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2호, pp.182-190, 2010. http://dx.doi.org/10.4040/ jkan.2010.40.2.182
  25. 김기경, "간호과오책임 예방을 위한 웹기반 진단 평가 프로그램 개발,"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1호, pp.33-43, 2011. http://dx.doi.org/10.11111/ jkana.2011.17.1.33
  26. S. Arora, L. Hull, N. Sevdalis, T. Tierney, D. Nestel, M. Woloshynowych, A. Darzi, and R. Kneebone, "Factors compromising safety in surgery: stressful events in the operating room," American Journal of Surgery, Vol.199, pp.60-65, 2010. http://dx.doi.org/10.1016/j.amjsurg.2009.07.036
  27. M. E. Jeong and H. S. Park, "Effects of cased-based lear-ning 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nursing pe-rformance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 Nursing, Vol.22, No.3, pp.308-317. 2015. http://dx.doi.org/10.7739/jkafn. 2015.22.3.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