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R Technology for The Contents of Petroglyph Museum

VR기술을 활용한 암각화 박물관의 콘텐츠 개발 연구

  • Received : 2016.07.19
  • Accepted : 2016.10.04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The Petroglyph is a drawing on the rock which reflects the art, religion, myth, and life style of prehistoric society. Recently lots of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to develop the contents applying the petroglyphs in the fields of exhibition, education, entertainment, and commercial. This research aims to find some possible VR contents based on the petroglyphs text. The review on the Ulsan petroglyph museum which is the first and the only petroglyph museum in Korea was the first step. Some limitation and problems were found in the current contents which could be overcome by using VR technology. The next step was the overall review of VR system and devices, and then I analyzed five cases of VR contents which specifically applied to the cultural heritages. Based on the analysis of case studies I propose some possible VR contents more immersive and interactive covered with whole range of petroglyphs context, environmental, social, cultural, technical and artistic.

암각화는 선사시대의 기록으로서 선사인들의 생활, 신앙, 예술, 신화 등 다양한 의미를 갖는 문화유산이다. 이에 전시, 교육, 오락, 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암각화를 활용한 콘텐츠 연구와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이 연구는 암각화 박물관에서 VR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할 수 있는 전시 콘텐츠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먼저 현재 암각화 박물관의 전시콘텐츠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VR의 기법을 활용한 문화유산 콘텐츠의 사례들을 검토해 보았다. 5건의 사례를 통해 콘텐츠의 내용과 사용된 VR 기법을 검토한 결과 암각화의 다양한 콘텐츠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개발 가능한 콘텐츠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암각화의 입체적 디지털 자료화, 둘째 시각범주를 조작할 수 있는 암각화의 입체적 재현, 셋째 암각화의 촉지각, 압각 등 체험범주의 확장, 넷째 다양한 맥락에서 암각화 스토리텔링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 마지막으로 암각화 가상박물관 구축 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전호태, "한국의 선사 및 고대 초기 예술과 반구대 암각화," 역사와 경계, p.85, 2012.
  2. http://bangudae.ulsan.go.kr 울산 암각화 박물관 소개
  3. 울산광역시 울산박물관, 울산박물관 5개년 발전 계획(2015-2019), p.55, 2015(2).
  4. 심소연, 문정민, "박물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몰입요소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18호, p.371, 2014.
  5. 김희정, 정승환, 강응관, "암각화를 응용한 디지털 콘텐츠로의 활용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집, 제25권, 제1호, 2012.
  6. 정영기, "동작인식기반의 3D 암각화 VR 콘텐츠 구현,"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9권, 제1호, pp.25-31, 2014.
  7. Noboru Koshizuka and Ken Sakamura, Tokyo University Digital Museum, The university Museum, The University Tokyo, p.1, 2000.
  8. 박재영, "디지털박물관 전시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인문콘텐츠, 제33권, p.153, 2014.
  9. Nestor Tsirliganis, George Pavlidis, Anestis Koutsoudis, Despina Papadopoulou, Apostolos Tsompanopoulos, Konstantinos Stavroglou, Zacharenia Loukou, and Christodoulos Chamzas, "Archiving Cultural Objects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Vol.5, pp.379-384, 2004. https://doi.org/10.1016/j.culher.2004.04.001
  10. 이재현,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1. 김용기, 체험형 전시공간의 실내환경 연출에 관한 연구 -인터렉티브 매체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11.
  12. Fabio Bruno, Stefano Bruno, Giovanna De Sensi, Maria-Laura Luchi, Stefania Mancuso, and Maurizio Muzzupappa, "From 3D reconstruction to virtual reality: A complete methodology for digital archaeological exhibitio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Vol.11, pp.42-49, 2010. https://doi.org/10.1016/j.culher.2009.02.006
  13. Marcello Carrozzino and Massimo Bergamasco, "Beyond virtual museums: Experiencing immersive virtual reality in real museums,"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Vol.11, p.453, 2010.
  14. 이하우, 한국 선사암각화의 제의표현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박사논문, p.15, 2010.
  15. 송화섭, "북방 수렵유목문화 관점에서 본 반구대 암각화," 한국암각화연구, 제16집, pp.33-50, 2012.
  16. 강삼혜, "천전리 암각화의 기하학적 문양과 선사 미술," 강좌 미술사, 제36호, pp.11-37, 2011.
  17. 이용식, "고대 암각화의 음악고고학적 연구," 한국음악사학보, 제48집, pp.303-320, 2012.
  18. 김홍명, "반구대암각화를 주제로 한 스카프디자인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5권, 제3호, pp.77-88,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