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o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between Family Stress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Women's Social Worker in Middle Age

중년기 여성 사회복지사의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 송유미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9.07
  • Accepted : 2016.10.02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family resilience between the family stress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women social worker and welfare specialist, considering that women's middle age needs the resilience including the adaptation, reestablishment in the family life cycle. The sampling target was the 328 women social workers in the middle age, and it performed the Sobel Test for th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after enforc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ext, it is same. Firstly, the economic problem was most highly severe among the family stress subfactor. Secondly, there was altogether the part mediation effect of the family resilience' subfactors, ie, communication processes, belief systems and organizational patterns between the family stress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conclusion, if the family stress which the middle aged women social worker confronted was accurately analyzed and the family is intervened so that the family resilience functions properly,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would be able to be improved.

본 연구는 중년기가 가족생활주기상의 적응, 재정립 등의 탄력성이 필요한 시기임을 고려하여 사회복지 영역에서 상당수 차지하는 여성 사회복지사의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표집대상은 대구 경북지역 중년기 여성 사회복지사 328명이었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한 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논의점 및 결론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경제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근본적으로 사회복지사의 보수체계의 열악함을 뒷받침하여 합리적인 보수결정에 대한 시스템 마련을 제언하였다. 둘째,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 가족탄력성 하위요인인 의사소통과정, 신념체계, 조직유형 모두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특히, 의사소통과정이 가장 강력하게 매개효과가 있음에 따라 정확하고 명확한 정보교환을 의사소통의 필수조건으로 하여 개방된 감정표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결국, 중년기 여성 사회복지사가 직면하고 있는 가족스트레스를 정확히 분석하여 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과 같은 가족탄력성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개입한다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지현, 김태현,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 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29-257, 2005.
  2. 정무성, 고이경, 김성미, 김선희, 서울시 사회복지인력 근로조건 및 처우실태보고서,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2007.
  3. 아시아투데이, 잡코리아의 공동조사, http://www.jobkorea.co.kr/Recruit/Co_Read/C/mt00
  4. 송유미, 전재일,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0권, 제3호, pp.291-311, 2004.
  5. 신중환, 사회복지의 가치.조직.동료 적합성이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 신중환, 김정우,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과 비과업행동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와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4호, pp.135-161, 2013.
  7. 송유미, 이선자, 이제상, "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4호, pp.317-340, 2013.
  8. 박지현,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9. 이경자, 중년기 부부갈등 치유를 위한 건강한 부부대화법 연구,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10.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3년 9월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현황, http//www.welfare.net
  11. P. G. Boss, Family stress management: Family studies text series,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1988.
  12. D. N. Dixon, P. P. Heppner, C. H. Peterson, and R. R. Ronning, "Problem-solving workshop trai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6, pp.133-139, 1979. https://doi.org/10.1037/0022-0167.26.2.133
  13. 신혜섭, "중년기 위기와 가족 스트레스," 생활과학연구, Vol.11, pp.84-90, 2006.
  14. 김명자,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15. 최동숙, "부부간의 스트레스 인지수준 및 디스트레스 수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Vol.76, pp.165-179, 1989.
  16. 최연실, 청소년 자녀기 가족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17. 이평숙,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4.
  18.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호, 2001.
  19. 김영주, 가족탄력성이 초등학교에 통합된 장애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0. 조미경, "취학 전 장애아동 부모가 인식한 가족 탄력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27권, 제1호, pp.325-326, 2011.
  21. 김현주, 이성애,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한부모 가족과 양부모 가족의 비교," 청소년복지연구, 제13권, 제3호, pp.215-241, 2011.
  22. 이선애, 만성질환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3. 김안자,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4. 김행섭, 여성한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성인애착과 가족탄력성 및 실존적 여성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5. 유용식, 치매노인가족의 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6. 노재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처우와 노무 관리상의 문제점,"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일감 법학, 제34권, pp.149-183, 2016.
  27. 김정은, 성희자,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6권, 제1호, pp.187-213, 2013.
  28. 김은아, 중년기 부인의 자아정체감과 생의 의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29. 박금자, 중년기 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30. 임효영,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 지원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1. 진명훈, 중년기 남성의 여가활동유형과 인구사회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2. 홍선경, 중년기 여성의 성역할 태도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33. 황주연, 중년기여성의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4. 서양열, "사회복지사 처우의 문제들," 열린전북, 5통권 제162호, pp.15-18, 2013.
  35. 전병주,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수준 및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직렬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168-179, 2014.
  36. C. P. Barnard, "Resiliency: A shift in our perception?," American journal of family herapy, Vol.22, pp.135-144, 1994. https://doi.org/10.1080/01926189408251307
  37. 남정자, 조맹제, 최은진, 한국인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보고서, pp.96-29, 1996.
  38. 강정희, 가족친화적 기업복지제도의 제공 정도와 조직문화의 가족친화성이 기혼근로자의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9. 김태홍, 고인아, 가족친화적인 고용정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서울: 여성정책연구원, 2001.
  40. 김지경,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3호, pp.91-104, 2002.
  41. 박주희, "취업주부의 다중역할 수행의 효과-취업주부의 역할만족도와 긴장도 및 역할 만족도와 긴장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가정관리학회, 제23권, 제6호, pp.117-131, 2005.
  42. 유상미,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애착 유형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3. 엄태완, 이기영, "북한이탈 주민의 우울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8, pp.5-35, 2004.
  44. F. Walsh, 가족과 레질리언스(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Second Edition)(양옥경, 김미옥, 최명민 역), 서울: 나남출판, 1998.
  45. B. Silliman, Rational for resilient families concept paper, National Network for Family Resiliency, 1994.
  46. 남기민, 이정은, "노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통권 57호, pp.85-112, 2012.
  47. D. A. Kenny, D. A. Kashy, and N. Bolger, "Data analysis in social psychology," In D. Gilbert, S. Fiske, & G.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1, 4th ed. pp.233-265, Boston, MA:McGraw-Hill, 1998.
  48. E. Spotts, J. M. Neiderhiser, E. M. Hetherington, and D. Reiss, "The relation between observational measures of social problem solving and familial antisocial behavior: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Vol.11, No.4, pp.351-374, 2001. https://doi.org/10.1111/1532-7795.00016
  49. 백은령, 사회복지실천론, 대왕사, 2008.
  50. 정연자, 중년기 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이 위기감 극복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0.
  51. T. J. D'Zurilla and M. R. Goldreid, "Problem-solv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78, pp.107-126, 1971.
  52. T. J. D'Zurilla and A. M. Nezu, Social problem-solving in adults. in P. C. Kendall(Ed.), Advances in cognitive-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Academic Press, 1982.
  53. 이영화, 임왕규, "직무스트레스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서울소재 재가노인방 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414-429,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414
  54. 조예경, 자원봉사활동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5. 조혜정, "기독교 중년여성의 신앙성숙이 삶의 질과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교육정보, Vol.32, 2012.
  56. 박경,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의 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9권, 제2호, pp.265-283, 2004.
  57. J. Block and A. M. Ke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49-361,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58. 유은애,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가 자아탄력성을 통해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9. 송영경,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및 학교적응,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0. 이은희, 결혼이민 여성의 양육스트레스가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광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1. 김제선, "사회복지사 등의 보수체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 보수실태조사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5권, 제1호, pp.57-81, 2013.
  62. 박소라,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을 위한 문제 해결훈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63. D. P. Mackinnon, C. M. Lockwood, J. M. Hoffman, G. West, and V. Sheets,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1, pp.83-117,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1.83
  64.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McCubbin, 1984.
  65.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사업체노동력 조사 결과, 2012.
  66. 박상진, 윤연옥, 박미현, 위선경,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인력 및 근로조건 실태조사,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2003.
  67. 황동섭,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