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R&D on Firm's R&D Spending

정부R&D투자가 기업 규모별 R&D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정준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최기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이병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Received : 2016.08.18
  • Accepted : 2016.09.07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government R&D investment to find out whether it complements or substitutes for the firm R&D. In order to do it panel data set was constructed for the period of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based on the number of 1301 data by utilizing national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NTIS) and publicly announced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was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size of the firm(large corporation, small and medium sized firm) of which sample was obtained from only listed company. The result of two-way fixed effect model and two-way random effect model is as follows. In case of large corporation, government R&D investment has an effect of substitute for the company's R&D on the other hand, small and medium sized firm shows an complementary effect. It verifies that current R&D policy is appropriate. Therefore government's direct subsidy is expected to be successful to fertilize firm's innovation by allocating government R&D budget efficiently.

정부의 R&D투자가 실제적으로 기업의 R&D투자를 진작시키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서 아직 합의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한편 2016년도의 주요부처 정부R&D 예산이 삭감된 가운데 대기업에 대한 정부R&D투자는 줄이고 중소 중견기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로 하여 이러한 정책이 향후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실증 분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와 공시된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 1301개의 데이터를 기초로 이원고정효과모형과 이원확률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표본은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했으며 기업규모별(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로 정부R&D투자가 기업R&D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기업에 대한 정부R&D투자는 다소 유의한 범위를 벗어나기는 하였으나 구축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하게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보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정부 정책의 방향이 합당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정부의 제약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자체 R&D투자를 유도하고 나아가 글로벌 강소기업의 혁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미래창조과학부, 201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보고서, 2014.
  2.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2015.
  3. 연승민, 김슬기, 김재수, 이병희, "정부연구비 지원 변동이 기초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IT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157-17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157
  4.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년도 정부연구개발투자 방향 및 기준, 2015.
  5. P. David, B. Hall, and A. Toole, "Is public R&D a complement or substitute for private R&D? A review of the econometric evidence," Research Policy, Vol.29, No.4, pp.497-529, 2000. https://doi.org/10.1016/S0048-7333(99)00087-6
  6. K. Arrow, Economic Welfare and the Allocation of Resources to Invention, In The Rate and Direction of Inventive Activity, ed. R. Nelson, 609-625.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2.
  7. R. Nelson, "The Simple Economics of Basic Scientific Researc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6, No.3, pp.297-306, 1959.
  8. P. Romer,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8, No.5, pp.S71-S102, 1990. https://doi.org/10.1086/261725
  9. S. Lach, "Do R&D Subsidies Stimulate or Displace Privatel R&D Evidence from Israel,"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50, No.4, pp.369-390, 2002. https://doi.org/10.1111/1467-6451.00182
  10. 권남훈, 고상원, "기업 R&D 투자에 대한 정부 직접 보조금의 효과," 국제경제연구, Vol.10, No.2, pp.157-181, 2004.
  11. 김호, 김병근, "정부보조금의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한 효과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5권, 제3 호, pp.649-674, 2012.
  12. 최대승, 김치용, "경제불황('08-'09)하의 기업에 대한 정부 R&D지원 효과 실증 분석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64-291, 2015.
  13. 최석준, 김상신,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의 기업 자체 R&D투자에 대한 효과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Vol.10, No.4, pp.706-726, 2007.
  14. 유천, 김학민, "중소기업 R&D출연.보조금 지원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5호, pp.51-56, 2014.
  15. 송종국, 김혁준, "R&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7권, 제1호, pp.1-48, 2009.
  16. 유민화, 박중구,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과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행태 분석 -보완 대체효과의 결 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19권, 제16호, pp.2445-2468, 2006.
  17. 홍필기, 서환주, "정부의 연구개발투자 보조금은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촉진하는가?," 재정정책논집, 제13권, 제2호, pp.85-111, 2011.
  18. M. Almus and D. Czarnitzki, "The Effects of Public R&D Subsidies on Firms' Innovation Activities: The Case of Eastern Germany," Journal of Business & Economic Statistics, April 2003, Vol.21, No.2, pp.226-236, 2003. https://doi.org/10.1198/073500103288618918
  19. S. Wallsten, "The effects of government -industry R&D programs on private R&D: the case of the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program," RAND Journal of Economics, Vol.31, No.1, pp.82-100, 2000. https://doi.org/10.2307/2601030
  20. D. Czarnitzki and C. Lopes-Bento, "Value for Money? New Microeconomic Evidence on Public R&D Grants in Flanders," Research Policy, Vol.42, No.1, pp.76-89, 2013. https://doi.org/10.1016/j.respol.2012.04.008
  21. M. Marino, S.Lhuillery, P. Parrotta, and D. Sala, "Additionality or crowding-out? An overall evaluation of public R&D subsidy on private R&D expenditure," Research Policy, forthcoming, 2016.
  22. E. Einio, "R&D Subsidies and Company Performance: Evidence from Geographic Variation in Government Funding Based on the ERDF Population-Density Rul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96, No.4, pp.710-28, 2014. https://doi.org/10.1162/REST_a_00410
  23. C. Dimos and G. Pugh, "The effectiveness of R&D subsidies: A meta-regression analysis of the evaluation literature," Research Policy, Vol.45, No.4, pp.797-815, 2016. https://doi.org/10.1016/j.respol.2016.01.002
  24. B. Alecke, T. Mitze, J. Reinkowski, and G. Untiedt, "Does Firm Size make a Difference? Analysing the Effectiveness of R&D Subsidies in East Germany," German Economic Review, Vol.13, No.2, pp.174-195, 2012. https://doi.org/10.1111/j.1468-0475.2011.00546.x
  25. 조성표, 박선영, "연구개발지출 관련 연구들에 대한 검토 및 향후 연구방향," 회계학연구, 제38권, 제1호, pp.427-269, 2013.
  26. 안숙찬, "중소제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 분석," 중소기업연구, 제33권, 제1호, pp.33-50, 2011.
  27. 전승훈, 강성호, 임병인, "선형패널자료 분석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통계연구, Vol.9, No.2, pp.1-24, 2004.
  28. 신태영, 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 :기업규모, 산업구조와 기술혁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9.
  29. 최봉호, 김상춘, "연구개발의 수출에 대한 영향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2권, 제1호, pp.251-270, 2010.
  30. 이병기, 한국기업의 연구개발투자 결정요인과 기술정책, 한국경제연구원, 1996.
  31. 이문재, 최만규, "제약회사의 현금흐름이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 -코스닥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pp.473-48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473
  32. A. Bhargava, L. Franzini, and W. Narendranathan, "Serial correlation and the fixed effects model,"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49, pp.533-549, 1982. https://doi.org/10.2307/2297285

Cited by

  1.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Medical Device Industry in Korea: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alysis vol.15, pp.12, 2018, https://doi.org/10.3390/ijerph15122659